버스 동호인/용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삼보영, 보쌈 : [[보영운수]]와 [[삼영운수]]를 이르는 말
*삼보영, 보쌈 : [[보영운수]]와 [[삼영운수]]를 이르는 말
*명신성 : [[명성운수]]와 [[신성운수]]를 이르는 말.
*명신성 : [[명성운수]]와 [[신성운수]]를 이르는 말.
*캉인 : [[강인여객]]의 별명.
*부산 패밀리, 부팸 : [[부산교통]]의 별명.
*부산 패밀리, 부팸 : [[부산교통]]의 별명.
*경코 : [[경북코치서비스]]의 줄임말.
*경코 : [[경북코치서비스]]의 줄임말.
21번째 줄: 22번째 줄:
*에로, 음란, 공기로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명에 들어가는 '에어로'를 바꿔 부르는 말. {{ㅊ|[[음란마귀]]가 낀 버스}}
*에로, 음란, 공기로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명에 들어가는 '에어로'를 바꿔 부르는 말. {{ㅊ|[[음란마귀]]가 낀 버스}}
** 음란마을, 에타 : [[현대 에어로타운]]의 별명.
** 음란마을, 에타 : [[현대 에어로타운]]의 별명.
** 음란도시, 공기로도시 : [[현대 에어로시티]]의 별명.
** 음란도시, 공기로도시, AC : [[현대 에어로시티]]의 별명.
** 조낸 음란도시, 슈에시, SAC(삭) : 슈퍼 에어로시티의 별명.
** 조낸 음란도시, 슈에시, SAC(삭) : 슈퍼 에어로시티의 별명.
**새 조낸 음란도시, 뉴슈에시, NSAC(엔삭) :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별명.
**새 조낸 음란도시, 뉴슈에시, NSAC(엔삭) :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별명.
**음란우주 : [[현대 에어로스페이스]]의 별명.
**음란우주 : [[현대 에어로스페이스]]의 별명.
**음란여왕 : [[현대 에어로퀸]]의 별명.
*하클 :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하이클래스]]의 별명.
*블시, 파란도시 : [[현대 블루시티]]의 별명.  
*블시, 파란도시 : [[현대 블루시티]]의 별명.  
*꿀벌900, 굴려봐900, 지구촌900, 초록도시 : [[현대 그린시티]]의 별명.
*꿀벌900, 굴려봐900, 지구촌900, 초록도시 : [[현대 그린시티]]의 별명.
45번째 줄: 48번째 줄:
**순항화살 : [[크루징애로우]]의 별명.
**순항화살 : [[크루징애로우]]의 별명.
*안녕힘 : [[하이파워]]의 별명.
*안녕힘 : [[하이파워]]의 별명.
*큰새 : [[기아 그랜버드]]의 별명.
*팬더 : 전조등이 [[팬더]]곰같이 생겨서 붙여진 2008년에 마이너체인지한 [[자일대우 BS]]시리즈, [[자일대우 BC]], [[BH116]]의 별명.
 
*큰새 : [[기아 그랜버드]]의 별명. 세부 차종의 별명은 아래에 기재한다.
**푸른들판 : 그린필드의 별명.
**공원길 : 파크웨이의 별명.
**파란하늘 : 블루스카이의 별명.
**햇빛 : 썬샤인의 별명.
**비단길 : 실크로드의 별명.
 
*땅콩버스 : [[한국화이바 프리머스]]의 별명.
*땅콩버스 : [[한국화이바 프리머스]]의 별명.
*대머리 : 전면부에 LED 행선판 수납 공간이 없고 앞유리가 천장 끝까지 올라온 것을 이르는 말.
*대머리 : 전면부에 LED 행선판 수납 공간이 없고 앞유리가 천장 끝까지 올라온 것을 이르는 말.
*리클 : 리클라이닝(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의 준말. 이 기능이 없는 좌석은 무리클이라고 말한다.
*리클 : 리클라이닝(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의 준말. 이 기능이 없는 좌석은 무리클이라고 말한다.
52번째 줄: 64번째 줄: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 파란색, 빨간색, 노랜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 파란색, 빨간색, 노랜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몬드리안 도색 :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몬드리안 도색 :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3분요리 : 여러 노선에 투입하는 예비차를 이르는 말. 3분안에 행선판 끼우기 등 노선 세팅을 한다고 해서 생겨난 말이다.
== 노선 ==
== 노선 ==
*아웃(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를 지나가지 않는 노선을 이르는 말.
*아웃(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를 지나가지 않는 노선을 이르는 말.

2016년 8월 5일 (금) 15:47 판

틀:넘겨주기 있음

개요

공식적인 버스 용어는 아니지만 버스와 관련된 속어, 은어, 신조어들을 정리한 항목이다.

개별 항목이 생길때마다 링크 추가바람.

회사

차량

영어로 된 모델명을 우리말로 바꾼 별명들이 생겨나고 있다. 세종대왕님이 좋아하십니다.

  • 큰새 : 기아 그랜버드의 별명. 세부 차종의 별명은 아래에 기재한다.
    • 푸른들판 : 그린필드의 별명.
    • 공원길 : 파크웨이의 별명.
    • 파란하늘 : 블루스카이의 별명.
    • 햇빛 : 썬샤인의 별명.
    • 비단길 : 실크로드의 별명.
  • 대머리 : 전면부에 LED 행선판 수납 공간이 없고 앞유리가 천장 끝까지 올라온 것을 이르는 말.
  • 리클 : 리클라이닝(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의 준말. 이 기능이 없는 좌석은 무리클이라고 말한다.
  • 좌개차 : 좌석개조차의 줄암말.
  •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 파란색, 빨간색, 노랜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 몬드리안 도색 :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 3분요리 : 여러 노선에 투입하는 예비차를 이르는 말. 3분안에 행선판 끼우기 등 노선 세팅을 한다고 해서 생겨난 말이다.

노선

  • 아웃(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를 지나가지 않는 노선을 이르는 말.
  • 인(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가 중간 정류장이고 기점, 종점이 타지인 노선을 이르는 말.
  • 택배근성 : 뺑뼁 도는 굴곡노선을 이르는 말.
  • 빗자루질 : 노선 하나를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해서 승객을 쓸어담는 것을 이르는 말.

시설

버스 문화

  • 버덕, 버덕후 : 버스 동호인의 별명.
  • 미타, MM : 미드타운 매드니스의 준말.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철도와 버스 둘 다 도중하차라고 말하지만 니코동에서는 철도만 도중하차라고 말하고 버스는 '버스테이 시리즈'라고 말한다.
  • 잡사 : '잡다한 사진'의 줄임말.

해악 및 민폐

  • 버싸대 : 버스 싸이코 대원의 준말로 버스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버스퍼거 : 버스+아스퍼거 증후군이긴 한데 정상적인 철도 동호인에게 쓰이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버싸대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 속도충 : 과속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기타

  • 버카, 교카 : 교통카드의 준말.
    • 버카충, 교카충 : 교통카드충전의 준말.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알못 : 버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