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Mykim5902(토론)의 편집을 칭동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트랜스젠더}}
{{트랜스젠더}}
{{질병 정보
{{질병 정보
| 배경색 =
| 이름           = 성전환증<br />Transexualism
| 이름 = 성전환증
| ICD10          = {{ICD10|F|64.0||f|60}}
| 그림 =  
| ICD9           =  
| 그림크기 =
| ICDO          =
| 그림설명 =
| OMIM          =
| ICD10 = 64.0
| MedlinePlus    = 001527
| ICD9 =  
| eMedicineSubj  =
| ICD0 =  
| eMedicineTopic =
| 질병DB = 001527
| MeshID        =  
| 질병DB_mult =
| MeshID =  
| MeshName =  
| MeshYear = <!-- 생략할 경우 기본값 = 2010 -->
| MeshNumber =  
}}
}}



2015년 6월 2일 (화) 17:02 판

틀:의학

성전환증
Transexualism
질병 정보

Transsexualism

자신의 육체적, 유전자적 성별과 스스로 인지하는 자신의 성별(성정체성)이 반대인 경우를 뜻한다.

FTM(Female To Male)[1]

Y 염색체가 없지만 스스로를 남성으로 인지하는 경우. 외부에는 (그리고 어쩌면 그 스스로에게도) 드센 애나 레즈비언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

여성기를 남성기로 만드는 것은 남성기를 여성기로 만드는 것보다 어렵고, 생각보다 여성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도 어렵고 해서 외부성기를 만드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다고 한다.

FTM 남성이 임신을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여담이지만 FTM 분들 중에는 타가메 겐고로 만화에 나올법한 몸매를 가지신 분들도 상당하다...

MTF(Male To Female)

Y염색체가 있지만 스스로를 여성으로 인지하는 경우. 외부에는 (그리고 어쩌면 그 스스로에게도) 여장남자, 게이, 성 도착자 등으로 오해받는다.

외부성기를 만드는 경우가 FTM보다는 흔하지만 역시 그렇게 많지는 않으며, 유방 성형 만을 받은 상태일 때가 많다. 이런 경우를 쉬메일이라고 부른다. 일본어로 뉴하프(New half)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트랜스젠더들은 쉬메일이나 뉴하프라는 표현을 성전환자를 성정체성대로 인정하지 않겠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차별어로 여긴다.

여성호르몬 중 특히 에스트로겐혈관을 약화시키므로 호르몬 대체 요법 자체가 심혈관계에 부담을 가져오게 된다.

  1. 참고로 이 용어(FTM, MTF)는 여타 동성애자들의 용어와 다르게 거의 전 세계 공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