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인물 ==
== 인물 ==
* [[조제프 드 메스트르]] 백작 - [[에드먼드 버크]]와 함께 근대 이후 서양의 보수주의 뿌리의 두 축으로, 에드먼드 버크는 기존의 가치 하에서 나쁜 전통은 버리고 온건한 개혁을 추구하는 등 진보/변화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은 '[[자유보수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지만, 메스트르는 절대군주정과 교황무류권까지 옹호한 '전통보수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ref>다만 둘 다 [[대중주의]](=포퓰리즘)를 거부했다. 즉 나치나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같은 우파-포퓰리스트들은 애시당초 제대로된 의미의 보수가 아니라는 것이다.</ref>
* [[조제프 드 메스트르]] 백작 -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자주 언급되나, [[에드먼드 버크]]만큼 많이 언급되지는 않는다. 에드먼드 버크는 기존의 가치 하에서 나쁜 전통은 버리고 온건한 개혁을 추구하는 등 진보/변화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 '[[자유보수주의]]'의 시초라고 할 수 있지만, 메스트르는 절대군주정과 교황무류권까지 옹호한 [[반동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했기 때문이다.<ref>다만 둘 다 [[대중주의]](=포퓰리즘)를 거부했다. 즉 나치나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같은 우파-포퓰리스트들은 애시당초 제대로된 의미의 보수가 아니라는 것이다.</ref><ref>이러한 메스트르의 극단적 성향 때문에 자유보수주의자 대다수는 버크를 옹호하나 전통주의자 중에는 메스트르를 옹호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ref>
* [[율리우스 에볼라]]
* [[율리우스 에볼라]]
* [[J. R. R. 톨킨]] - 그 유명한 '반지의 제왕' 쓴 판타지 소설가 맞다.
* [[J. R. R. 톨킨]] - 그 유명한 '반지의 제왕' 쓴 판타지 소설가 맞다.
* [[매슈 아널드]]
* {{ㅊ|[[에드먼드 버크]]}} - 현대 기준에서 보면 전통보수주의라 보일 수도 있으나 그가 18세기 초중반 인물이라 그렇다. 그는 철학적으로 자유보수주의에 가까운 인물이다.
* {{ㅊ|[[토머스 칼라일]]}} - 버크처럼 반동주의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추가 바람]].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6월 22일 (토) 22:45 판


개요

전통주의(Traditionalism) 전통보수주의(Traditionalist conservatism)는 우익이념으로 예로부터 혹은 전근대로부터 내려오는 문화의 정신과 양식에 기반한 전통을 복고하려고 하거나 강하게 지키려는 보수주의의 한 분파이다.

인물

  • 조제프 드 메스트르 백작 -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자주 언급되나, 에드먼드 버크만큼 많이 언급되지는 않는다. 에드먼드 버크는 기존의 가치 하에서 나쁜 전통은 버리고 온건한 개혁을 추구하는 등 진보/변화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 '자유보수주의'의 시초라고 할 수 있지만, 메스트르는 절대군주정과 교황무류권까지 옹호한 반동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했기 때문이다.[1][2]
  • 율리우스 에볼라
  • J. R. R. 톨킨 - 그 유명한 '반지의 제왕' 쓴 판타지 소설가 맞다.
  • 매슈 아널드
  • 에드먼드 버크 - 현대 기준에서 보면 전통보수주의라 보일 수도 있으나 그가 18세기 초중반 인물이라 그렇다. 그는 철학적으로 자유보수주의에 가까운 인물이다.
  • 토머스 칼라일 - 버크처럼 반동주의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추가 바람.

같이 보기

  1. 다만 둘 다 대중주의(=포퓰리즘)를 거부했다. 즉 나치나 트럼프 같은 우파-포퓰리스트들은 애시당초 제대로된 의미의 보수가 아니라는 것이다.
  2. 이러한 메스트르의 극단적 성향 때문에 자유보수주의자 대다수는 버크를 옹호하나 전통주의자 중에는 메스트르를 옹호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