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항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한국철도공사 중부권 물류사업단을(를) 추가함)
11번째 줄: 11번째 줄: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2133 묵호항선|노선링크=묵호항선|노선거리=5.1 km
|노선폭=8em|노선명=묵호항선|노선링크=묵호항선|노선거리=5.1 km
|전역폭=10em|전방면=[[동해역|동해]] 방면|전역=[[동해역|동해]]|전거리=5.1 km
|전역폭=10em|전방면=[[동해역|동해]] 방면|전역=[[동해역|동해]]|전거리=5.1 km
|당역폭=8em|당역='''묵호항'''
|당역폭=8em|당역='''묵호항'''

2019년 11월 4일 (월) 21:37 판


개요

묵호항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영동선의 원형인 철암-묵호항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여객취급도 하였던 역이지만 동해에서 옥계까지의 철도가 개통되면서 화물취급역으로 용도전환 되었다.

역할

이 역은 1930년대 당시 묵호항을 통한 강원도 삼척탄전 일대의 무연탄을 취급하는 역할로 시작하였다. 또한 삼척선북평선을 통한 양회수송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 당시는 지금처럼 강원도 영동지방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교통이 영 좋지 않았고, 영동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화물이 넘어가는 가장 효율적인 운송경로는 묵호항을 통해 포항까지 해상운송을 한 뒤, 포항에서 다시 서울로 가는 철도로 환적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철도는 어찌어찌 영서지방과 연결이 되긴 했지만, 문제는 통리재를 넘어가는 황지본선 구간이 1963년이 되어서야 개통이 되었다는 것. 즉, 그 이전에는 통리재를 그 악명높은 인클라인으로 넘어야만 했던 것이다. 물론 인클라인으로 여객은 어찌어찌 수송하겠는데 문제는 이 인클라인의 용량 자체가 시멘트 물량을 소화하기에는 택도없는 용량인데다 간혹 고장이 나 버리면 수도권 일대의 시멘트 가격이 폭등하는 문제점을 늘 안고 있었다. 거기에 태백선 철도 전구간의 개통이 1975년이니까 그 이전에는 철로를 통해 영동지방에서 화물운송을 하려면 영주까지 빙빙 돌아가야 하는데 이 당시 철도가 효율이 좋을리가.... 결국 제대로 된 철도 운송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상황이었다. 때문에 이 묵호항으로 몰려드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서 아예 묵호항선까지 별도로 개통하여 당시 영동선의 부족했던 선로용량까지 증대시키는 작업까지 하였던 것.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묵호항선
(5.1 km)
동해 방면
동해 5.1 km
묵호항 묵호 방면
묵호 0.8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