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부산광역시을(를) 삭제함, 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을(를) 추가함)
54번째 줄: 54번째 줄:


[[분류:지하철]]
[[분류:지하철]]
[[분류:부산광역시]]
[[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

2016년 11월 4일 (금) 14:10 판

부산 도시철도
釜山都市鐵道 / Busan Subway

개요

대한민국 동남부의 핵심 도시인 부산에서 운행되는 도시철도(지하철) 체계로, 부산교통공사가 모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985년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상당히 역사 깊은 지하철로, 서울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독특한 매력이 있는 편이다.

수도권과는 달리, 광역전철과 함께 발달하지는 못하였다. 첫 지하철이 개통한지 30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광역전철 체계가 자리잡지 못하고 있으며, 2016년말 동해선 전철이 개통되어도 일부 구간에 그칠 예정이다. 이 때문에 통합 명칭은 주어지지 않았으며, 그저 부산 도시철도(혹은 부산 지하철)로만 불릴 뿐이다. 연계되는 노선으로는 2016년 10월 기준으로 부산김해경전철이 끝이다.

노선

색상 노선명 기점 종점 영업 거리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 1 1호선 신평 노포 32.5 km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 2 2호선 장산 양산 45.2 km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 3 3호선 수영 대저 18.1 km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 4 4호선 미남 안평 12.7 km

운임

승차권

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은 3종으로 종이권(마그네틱 승차권), 교통카드, 정기승차권이다.

운임제도

수도권 전철과는 달리 구간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구간제와는 다르게 거리비례로 이동구간을 재는 독특한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10 km 이하로 이동하는 경우가 1구간이며, 10 km를 초과하는 경우가 2구간으로 지정된다. 역별로 구간이 다르기 때문에 각 역의 발권기에서 구간을 안내하고 있으며, 확인이 가능하다.

같이 보기

  • 부산김해경전철: 공식적으로는 부산 도시철도의 체계와는 다른 노선이다. 운임 체계가 다르나 환승할인이 되는 노선이라, 환승 안내가 이루어지기는 한다.

틀: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