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환승통로 이야기 추가)
63번째 줄: 63번째 줄:


[[경기도]] 남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등 여러도시들이 서울로 통하는 관문이다.<del>[[경기 버스 103]]이 있지만 분당으로 가는 손님은 잠실근방에서 타기에 넘어가자.</del> 그러기에 11시넘은 야밤에는 이역 주변에서 지하철에서 버스 갈아타려고 기다리는 줄이 그야말로 장사진이다.
[[경기도]] 남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등 여러도시들이 서울로 통하는 관문이다.<del>[[경기 버스 103]]이 있지만 분당으로 가는 손님은 잠실근방에서 타기에 넘어가자.</del> 그러기에 11시넘은 야밤에는 이역 주변에서 지하철에서 버스 갈아타려고 기다리는 줄이 그야말로 장사진이다.
현재 4호선과 2호선을 잇는 환승통로는 꽤나 길어보이지만, 넘쳐나는 수요로 인해 의도적으로 환승거리를 늘린 것이다.
== 주석 ==
==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2015년 4월 26일 (일) 11:44 판

舍堂驛 / Sadang Station

사당 / 舍堂 / Sadang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2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227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남부순환로 지하 2089
(舊 사당동 1129번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1983년 12월 12일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서울메트로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4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43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 3
(舊 사당동 588-44번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서울메트로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섬식 승강장
colspan="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2호선
방 배
1.6km
사 당 낙성대
1.7km
colspan="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4호선
총신대입구
이 수
1.1km
사 당 남태령
1.6km

개요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동작대로 상에 있는 2호선4호선의 환승역.

연혁

1983년 12월 12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교대-서울대입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이후 1984년 2호선의 전구간이 개통되고,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면서 1994년까지 4호선의 시종착역을 맡았다. 이후 1994년 과천선이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특징

4호선은 전구간(상계역~사당역 구간)이 개통될 때인 1985년 10월 18일부터 인덕원역~사당역이 개통된 1994년 4월 1일까지 이 역에서 시종착했다. 4호선이 남태령역을 넘어서 과천시내를 경유 후에 안산선과 직통 운전하여 지금의 수도권 전철 4호선 운행 체계가 된 이후, 이 역의 환승객 수는 급증하였다. 그 인파는 신도림역과도 비교가 가능할 정도라고 한다. 살려줘!!!

실제로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전까지만 해도 수도권 전철 출근 시간대 혼잡률 1위 구간이 서울 지하철 2호선(외선순환) 사당→방배 구간이었다. 헬게이트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 남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등 여러도시들이 서울로 통하는 관문이다.경기 버스 103이 있지만 분당으로 가는 손님은 잠실근방에서 타기에 넘어가자. 그러기에 11시넘은 야밤에는 이역 주변에서 지하철에서 버스 갈아타려고 기다리는 줄이 그야말로 장사진이다.

현재 4호선과 2호선을 잇는 환승통로는 꽤나 길어보이지만, 넘쳐나는 수요로 인해 의도적으로 환승거리를 늘린 것이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