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피해: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400px 카스피해(Caspian Sea)는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 있는 세계 최대의 호수로 북아메리카의 오대호 전체보다...)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러시아에 볼가강과 돈강을 연결하는 볼가-돈 운하가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아조프해]]-[[돈강]]-[[볼가강]]-[[카스피해]]를 통해서 바깥 바다의 배들이 카스피해로 들어오거나 카스피해의 배들이 바깥바다로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아조프해 또한 대륙 안으로 깊숙히 들어와있는 바다라 여기서 대양으로 나가려면 [[케르치 해협]]을 통해서 [[흑해]]로 들어가고 여기서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지나 지중해서 나와서 다시 [[지브롤터 해협]]이나 [[수에즈 운하]]로 빠져나가야 된다.
러시아에 볼가강과 돈강을 연결하는 볼가-돈 운하가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아조프해]]-[[돈강]]-[[볼가강]]-[[카스피해]]를 통해서 바깥 바다의 배들이 카스피해로 들어오거나 카스피해의 배들이 바깥바다로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아조프해 또한 대륙 안으로 깊숙히 들어와있는 바다라 여기서 대양으로 나가려면 [[케르치 해협]]을 통해서 [[흑해]]로 들어가고 여기서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지나 지중해서 나와서 다시 [[지브롤터 해협]]이나 [[수에즈 운하]]로 빠져나가야 된다.
아제르바이잔측에 따르면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생태계가 파괴되어 카스피 물범의 경우 100년전에 비해서 1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기후 변화로 해수면이 내려가고 있다고 한다.<ref>[https://web.archive.org/web/20190417191035/http://www.nationmultimedia.com/detail/opinion/30367864 Caviar pool drains dry as Caspian Sea slides towards catastrophe]</ref>
==생태==
바깥 바다와는 격리된 만큼 다른 바다와는 다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6종의 철갑상어, 청어 등을 포함하여 약 160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카스피 거북]] 같은 파충류나 [[카스피해 물범]]처럼 카스피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도 있다.
고생물학자들의 발굴에 의하면 비교적 최근까지는 고래도 서식했다고 한다.
==인접국==
==인접국==
*[[러시아]]
*[[러시아]]

2021년 5월 29일 (토) 21:53 판

Caspian Sea from orbit.jpg

카스피해(Caspian Sea)는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 있는 세계 최대의 호수로 북아메리카의 오대호 전체보다 더 크다. 표면적은 371,000km2, 평균 수심은 211m, 최대 수심은 1,025m에 달한다.

상세

염도가 1.2%인 함수호로 바다의 평균 염도인 3.5%의 1/3수준이 염도를 가지고 있다. 카스피해로 흘러들어오는 주요 하천은 볼가강, 우랄강, 쿠라강, 테릭강이며 이중 볼가강에서 유입되는 물이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카스피해의 고도는 -28m로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카스피해로 들어온 물은 증발 이외의 방법으로는 호수 밖으로 나갈 수 없다. 하지만 사해와 달리 카스피해는 본래 테티스해의 일부였던 것이 판의 이동에 의해서 육지에 갇힌 것이라 원래부터 짠물이었다.

러시아에 볼가강과 돈강을 연결하는 볼가-돈 운하가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아조프해-돈강-볼가강-카스피해를 통해서 바깥 바다의 배들이 카스피해로 들어오거나 카스피해의 배들이 바깥바다로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아조프해 또한 대륙 안으로 깊숙히 들어와있는 바다라 여기서 대양으로 나가려면 케르치 해협을 통해서 흑해로 들어가고 여기서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을 지나 지중해서 나와서 다시 지브롤터 해협이나 수에즈 운하로 빠져나가야 된다.

아제르바이잔측에 따르면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생태계가 파괴되어 카스피 물범의 경우 100년전에 비해서 1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기후 변화로 해수면이 내려가고 있다고 한다.[1]

생태

바깥 바다와는 격리된 만큼 다른 바다와는 다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6종의 철갑상어, 청어 등을 포함하여 약 160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카스피 거북 같은 파충류나 카스피해 물범처럼 카스피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도 있다.

고생물학자들의 발굴에 의하면 비교적 최근까지는 고래도 서식했다고 한다.

인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