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시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폐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법시험'''
'''사법시험 司法試驗'''
'''司法試驗'''


현재 정식 명칭은 [[사법시험]]이지만, 과거의 명칭인 '''사법고시'''로도 불려지고 있다.
정식 명칭은 [[사법시험]]이다.
 
‘사법고시’라는 명칭은 종전 명칭인 ‘고등'''고시''' 사법과’에 대한 속칭 정도로 보인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법시험’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는데, 판사나 검사의 임용을 위한 시험이 아니고 법조인 자격만을 부여하는 시험이므로 고시(考試)라는 명칭은 적절하지 않다.<ref>“고시(考試): 어떤 자격이나 면허를 주기 위하여 시행하는 여러 가지 시험. '''주로 공무원의 임용 자격'''을 결정하는 시험을 이른다.” 표준국어대사전.</ref> 줄여서 '[[사시]]'라고도 한다.


== 개요 ==
== 개요 ==
[[법조인]]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 다만 여기서 '법조인'이란 [[노무사]], [[법무사]] 등의 유사법조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변호사]]' 자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법조인]]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 다만 여기서 '법조인'이란 [[노무사]], [[법무사]] 등의 [[유사법조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판사]], [[검사]] 및 [[변호사]]’의 자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여야 판사, 검사 및 변호사의 자격이 주어지므로 ‘사법연수원 입소자격’을 얻기 위한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물론 사법연수원이 사법시험 합격자의 연수 기능만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ㅊ|그게 뭐야}} 그외에 군법무관임용시험이 수년 간 실시되고 있지 않으므로 [[군법무관]]에 지원할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 폐지 예정 ==
{{인용문2|'''변호사시험법''' 부 칙[2009.5.28 제9747호] 제2조(다른 법률의 폐지) 사법시험법은 폐지한다.}}
[[2007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도입이 확정되면서 선발인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며 폐지 수순을 밟게 되었다. [[2016년]] [http://www.moj.go.kr/HP/COM/bbs_03/ListShowData.do 마지막 1차 시험]이 진행되었고, [[2017년]] [http://www.moj.go.kr/HP/COM/bbs_03/ShowData.do?strOrgGbnCd=103000&strRtnURL=BAR_60200000&strNbodCd=noti0085&strWrtNo=564&strAnsNo=A 마지막 2차 시험]이 진행되었다. 조만간 마지막 3차 시험이 있을 예정이다.
 
== 존치론 ==
많은 국민들이 ‘공정성’, ‘신분 상승의 기회’ 등을 운운하며 {{ㅊ|그리고 신림동 고시촌 사람들이 ‘죽느냐 사느냐’를 운운하며}}<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92486551 “고시생보다 더…‘司試 존치’ 외치는 고시촌 주민”] 한국경제신문, 2014.9.25. 자. 2015.5.20. 확인.</ref>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였고, 급기야 [[2015년]] 관악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는 [[오신환]] 의원이 당선됨에 따라 사법시험 존치가 [[새누리당]] 당론이 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2015년#6월|2015년 6월]] 국회에 계류 중인 사법시험 존치 법안은 5개에 달한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2804104 ‘응시 5회로 제한’ 司試 존치법안 5번째 발의]</ref> 거기에 고시생들은 2015년 8월 [[헌법재판소]]에 사법시험 존치를 요구하는 내용의 헌법소원을 제기하였고,<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4&aid=0002859944 사법시험 존치를 위해 헌법소원까지 제기한 이유는?]</ref> [[국회]]에 선발인원 1,000명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 입법청원마저 하였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3542450 고시생들 "사법시험 유지하고 1000명 선발 보장" 입법청원]</ref>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법시험 존치 법안들은 법사위를 넘지 못하였고, 제19대 국회의 회기 종료와 함께 모두 폐기되었다. 한편 제20대 국회 시작과 함께 새누리당 함진규, 김학용 의원은 사법시험 존치 및 법학전문대학원생들의 시험 응시 허용을 골자로 하는 변호사시험 개정안을 발의하였다.<ref>[http://m.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2670 사법시험, 수명 연장 가능할까?]</ref> 헌법재판소는 2016년 9월 29일, 사법시험의 폐지를 명시한 변호사시험법 부칙 제2조에 대하여 청구인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합헌). [http://search.ccourt.go.kr/ths/pr/ths_pr0101_P1.do 2012헌마1002 결정문 확인]
 
한편 [[이재명]] 성남시장(이하 '이재명 후보')은 2017년 1월 31일 서울 관악구 관악청소년회관에서 열린 초청 강연회에서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사법시험을 존치시킬 것이라고 공언하였다.<ref>[http://m.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67 이재명 “사법시험을 꼭 부활시킬 것"], 돌직구뉴스, 2017.2.1.</ref> 그러나 이재명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사법시험 폐지 입장을 갖고 있는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였다.<ref>[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70403183151001&query=더불어민주당%20대선%20후보%20경선%20결과(종합) 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결과(종합)]</ref> 이어지는 대통령 선거에서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ref>[http://m.news1.kr/articles/?2988031&1 유승민 "한국당식 보수는 망할 것…새 보수에 동참해 달라"], news1, 2017.5.8.</ref>,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ref>[http://m.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270 홍준표 후보 “사법시험 존치에 외무고시까지 부활”], 법률저널, 2017.5.4.</ref>가 각각 사법시험 존치를 공약하였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로스쿨 제도 전면 재검토<ref>[http://m.fnnews.com/news/201703011645338094 "로스쿨로 일원화" vs. "서민 위해 사시 필요"], 파이낸셜뉴스, 2017.3.1.</ref>를 공약하였으나 문재인 후보가 최종적으로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ref>[http://m.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45802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 선출], 뉴스메이커, 2017.6.7.</ref>되면서 사법시험 존치는 불가능해졌다.


2007년 법학전문대학원 [[로스쿨]] 도입이 확정되면서 선발인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며 폐지 수순을 밟게 되었다.
{{주석}}


== 존치 ==
[[분류:법]]
[[2016년]] 마지막 1차 시험이 있을 예정이고, [[2017년]] 마지막 2차, 3차 시험이 있을 예정이다. 다만, 많은 국민들이 '공정성', '신분 상승의 기회'를 운운하며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였고, 급기야 [[2015년]] 관악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는 [[오신환]] 의원이 당선됨에 따라 사법시험 존치가 [[새누리당]] 당론이 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분류:시험]]

2021년 5월 17일 (월) 22:08 기준 최신판

사법시험 司法試驗

정식 명칭은 사법시험이다.

‘사법고시’라는 명칭은 종전 명칭인 ‘고등고시 사법과’에 대한 속칭 정도로 보인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법시험’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는데, 판사나 검사의 임용을 위한 시험이 아니고 법조인 자격만을 부여하는 시험이므로 고시(考試)라는 명칭은 적절하지 않다.[1] 줄여서 '사시'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법조인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 다만 여기서 '법조인'이란 노무사, 법무사 등의 유사법조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판사, 검사변호사’의 자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여야 판사, 검사 및 변호사의 자격이 주어지므로 ‘사법연수원 입소자격’을 얻기 위한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물론 사법연수원이 사법시험 합격자의 연수 기능만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그게 뭐야 그외에 군법무관임용시험이 수년 간 실시되고 있지 않으므로 군법무관에 지원할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폐지 예정[편집 | 원본 편집]

변호사시험법 부 칙[2009.5.28 제9747호] 제2조(다른 법률의 폐지) 사법시험법은 폐지한다.

2007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도입이 확정되면서 선발인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며 폐지 수순을 밟게 되었다. 2016년 마지막 1차 시험이 진행되었고, 2017년 마지막 2차 시험이 진행되었다. 조만간 마지막 3차 시험이 있을 예정이다.

존치론[편집 | 원본 편집]

많은 국민들이 ‘공정성’, ‘신분 상승의 기회’ 등을 운운하며 그리고 신림동 고시촌 사람들이 ‘죽느냐 사느냐’를 운운하며[2]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였고, 급기야 2015년 관악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는 오신환 의원이 당선됨에 따라 사법시험 존치가 새누리당 당론이 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2015년 6월 국회에 계류 중인 사법시험 존치 법안은 5개에 달한다.[3] 거기에 고시생들은 2015년 8월 헌법재판소에 사법시험 존치를 요구하는 내용의 헌법소원을 제기하였고,[4] 국회에 선발인원 1,000명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 입법청원마저 하였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법시험 존치 법안들은 법사위를 넘지 못하였고, 제19대 국회의 회기 종료와 함께 모두 폐기되었다. 한편 제20대 국회 시작과 함께 새누리당 함진규, 김학용 의원은 사법시험 존치 및 법학전문대학원생들의 시험 응시 허용을 골자로 하는 변호사시험 개정안을 발의하였다.[6] 헌법재판소는 2016년 9월 29일, 사법시험의 폐지를 명시한 변호사시험법 부칙 제2조에 대하여 청구인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합헌). 2012헌마1002 결정문 확인

한편 이재명 성남시장(이하 '이재명 후보')은 2017년 1월 31일 서울 관악구 관악청소년회관에서 열린 초청 강연회에서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사법시험을 존치시킬 것이라고 공언하였다.[7] 그러나 이재명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사법시험 폐지 입장을 갖고 있는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였다.[8] 이어지는 대통령 선거에서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9],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10]가 각각 사법시험 존치를 공약하였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로스쿨 제도 전면 재검토[11]를 공약하였으나 문재인 후보가 최종적으로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12]되면서 사법시험 존치는 불가능해졌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