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토막글 선정)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왕국'''(王國)은 [[국가원수]]가 [[왕]]인 [[나라]]를 가리킨다. [[영어]]로는 '''킹덤'''(kingdom)이라고 부르며, 기실 현대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왕국은 [[동양]]보다는 서양의 킹덤을 [[번역]]한 명칭에 가깝다.
==뜻==
'''왕국(王國) 영어:kingdom'''


임금 왕()자에 나라 국(國)자를 쓴 말 그대로 왕이 사는 나라이다.
== 정의 ==
[[군주제]] 국가 중 [[군주]]의 호칭이 왕이라면 왕국이라고 부르며, 왕국을 다스리는 왕은 국왕(國王)이라고 부른다. 주권의 유무는 별개의 문제로, 왕보다 더 높은 [[황제]]가 책봉한 왕이 다스리는 영토도 왕국이다.


== 정보 ==
[[유럽]]에는 복수의 왕국이 연합해 이루어진 [[연합왕국]]도 존재한다.
'''동양은 왕국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서양은 나라들을 왕국이라고 부르는 편이다. 현재 왕국이 있었던 곳은 대부분 유럽 아니면 이스라엘 쪽이다. 미국은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매우 짧기 때문에 미국은 유럽이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왕국이 없다. 또 [[성경]]을 읽으면 구약 때 왕국이 엄청나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ㅈ|신약은 제국(로마)이 등장한다.}}
 
== 역사 ==
[[대한민국]] 이전에 [[한반도]]에 위치한 옛 나라들은 거의 왕국이었다. 단적인 예로 [[조선]]과 [[고려]]도 군주가 왕이었기에 엄연히 왕국이다. 다만 [[한국사]]에서 왕국이라는 명칭은 대개 생소한 편인데 왕국이라는 표현 대신 나라(아니면 '')라는 표현을 썼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 등지에서 왕국이라는 표현을 찾아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양은 나라들을 왕국이라고 자주 부르는 편이다. 유럽을 보면 왕국이라는 말이 많이 등장한다. {{ㅈ|미국은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매우 짧기 때문에 미국은 유럽인들이 대거 이주해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왕국이 없다.}} 중동 쪽도 왕국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성경]]을 읽으면 구약 때 왕국이 엄청나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ㅈ|신약은 제국(로마)이 등장한다.}}
 
그러나 왕국이라 하여 왕이 죄다 모든 권력을 가졌던 것은 아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예로 들면 그 하위에는 보헤미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등이 하위 구성국가로서 존재했었다. 쉽게 말하면 속국 개념으로서 존재하기도 했던 것이다.
 
== 현대의 왕국 ==
현대에도 군주제 국가는 남아있고, 그 중에서도 왕국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는 국가는 여럿 존재한다. 왕국이라고 하면 전근대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실질적인 국가 운영을 [[정부수반]]([[총리]] 등)이 책임지는 현대의 왕국은 전근대의 왕정제 국가하고는 그 본질이 많이 다르다.
* [[부탄]]
* [[영국]]
* [[캄보디아]]
* [[타이]]
* [[네덜란드]]
* [[스페인]]
* [[덴마크]]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오만]]
* [[말레이시아]]
* [[브루나이]]
* [[일본]]
 
== 비슷한 것 ==
* 대공국, 공국, 백작령, 후작령
* 제국
* <del>권위주의 국가</del>


== 현재 ==
왕국을 왕이있는 나라라고 할 때 현재 왕이 있는 나라는 동양에는 일본에 왕이 있고 서양에는 [[교황]]이라는 왕이 있다.{{ㅈ|이 외에도 왕은 꽤 있다.}}
{{주석}}
{{주석}}
[[분류:나라]]
[[분류:나라]]
[[분류:문화]]
[[분류:군주제]]

2022년 2월 18일 (금) 21:03 기준 최신판

왕국(王國)은 국가원수나라를 가리킨다. 영어로는 킹덤(kingdom)이라고 부르며, 기실 현대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왕국은 동양보다는 서양의 킹덤을 번역한 명칭에 가깝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군주제 국가 중 군주의 호칭이 왕이라면 왕국이라고 부르며, 왕국을 다스리는 왕은 국왕(國王)이라고 부른다. 주권의 유무는 별개의 문제로, 왕보다 더 높은 황제가 책봉한 왕이 다스리는 영토도 왕국이다.

유럽에는 복수의 왕국이 연합해 이루어진 연합왕국도 존재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이전에 한반도에 위치한 옛 나라들은 거의 왕국이었다. 단적인 예로 조선고려도 군주가 왕이었기에 엄연히 왕국이다. 다만 한국사에서 왕국이라는 명칭은 대개 생소한 편인데 왕국이라는 표현 대신 나라(아니면 '국')라는 표현을 썼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 등지에서 왕국이라는 표현을 찾아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양은 나라들을 왕국이라고 자주 부르는 편이다. 유럽을 보면 왕국이라는 말이 많이 등장한다. [1] 또 중동 쪽도 왕국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성경을 읽으면 구약 때 왕국이 엄청나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그러나 왕국이라 하여 왕이 죄다 모든 권력을 가졌던 것은 아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예로 들면 그 하위에는 보헤미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등이 하위 구성국가로서 존재했었다. 쉽게 말하면 속국 개념으로서 존재하기도 했던 것이다.

현대의 왕국[편집 | 원본 편집]

현대에도 군주제 국가는 남아있고, 그 중에서도 왕국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는 국가는 여럿 존재한다. 왕국이라고 하면 전근대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실질적인 국가 운영을 정부수반(총리 등)이 책임지는 현대의 왕국은 전근대의 왕정제 국가하고는 그 본질이 많이 다르다.

비슷한 것[편집 | 원본 편집]

  • 대공국, 공국, 백작령, 후작령
  • 제국
  • 권위주의 국가

각주

  1. 미국은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매우 짧기 때문에 미국은 유럽인들이 대거 이주해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왕국이 없다.
  2. 신약은 제국(로마)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