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목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친목||서로의 우정을 도모하는 행위}}
'''친목질'''은 서로 친하다는 뜻을 가진 친목(親睦)과 행위를 뜻하는 질의 합성어로, 운영자와 운영자의 측근들이 서로 친목을 다지는 행위가 영 좋지 않은 쪽으로 발전하여 다른 집단을 암묵적으로 배척하는 행위를 말한다. 즉 부정적인 친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친목질에 늪에 빠진 커뮤니티는 친목질에 대한 외부의 반발을 감당하지 못 하고 이용자들이 빠져나가 커뮤니티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운영자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행위를 금기로 여겨 친목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고 있다.


* [[리브레 위키]]에서는 친목질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의 사용자 문서가 [[틀:사용자 문서]]에 위배된 행위를 했을 시에는 직접 그 부분을 지워주시길 바랍니다.<br />
국가·사회 단위에서 문제가 일어난 친목질은 [[하나회]]를 예시로 들을 수 있다.


== 개요 ==
== 사회생활에서의 친목 ==
'''친목질'''은 서로 친하다는 뜻을 가진 친목(親睦)과 행위를 뜻하는 질의 합성어로, 운영자와 운영자의 측근들이 서로 친목을 다지는 행위가 영 좋지 않은 쪽으로 발전하여 다른 집단을 암묵적으로 배척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친목질에 늪에 빠진 [[커뮤니티]]는 친목질에 대한 외부의 반발을 감당하지 못 하고 이용자들이 빠져나가 커뮤니티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운영자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이를 경계하고 있다.  
사회생활에서도 이러한 친목질을 볼 수 있으며, 사실 이 쪽이 병폐가 매우 심각하다. 왜냐하면 직장생활은 생계와도 직결된 문제라 다른 곳으로 갈 수 있을지는 몰라도, 아예 직장생활 자체를 하지 않고 [[히키코모리|집에서 가만히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친목질이 심해질 경우 [[뇌물]]죄나 부정입학 등 [[범죄]] 행위로 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병폐가 방치될 경우 사회 전반의 질서가 무너져서 사회에 대한 신뢰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 사회생활에서의 친목질 ==
대표적으로 사장이 잘 아는 측근들만 중요한 자리에 앉히는 [[낙하산 인사]]나 사장의 친한 친구에게 특혜를 주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사회생활에서도 이러한 친목질을 볼 있으며, 사실 쪽이 [[병폐]]가 매우 심각하다. 왜냐하면 [[직장생활]]은 생계와도 직결된 문제라 다른 곳으로 갈 수 있을지언정, 그만들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친목질이 심해질 경우 [[뇌물]]죄나 부정입학 등 [[범죄]]가 될 수도 있는 행위로 발전할 수도 있다.
 
== 온라인 공간에서의 친목'''질''' ==
===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
인터넷상에서는 처음에는 개인이 직접 사이트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뮤니티에 정보가 많이 모여 사람들이 게시판에서 유입됐을 때 커뮤니티의 [[네티즌]]들이 한 집단을 형성하여 이들간에 친목을 다지게 된다.
 
하지만, 이런 친목 행위가 다른 집단을 배척하거나 운영자의 사익만을 추구하는 행위로 나갈 경우, 그 집단은 외부 사람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배타적인 자세가 되고 그들끼리 끼리끼리 노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친목 집단에서 배척된 세력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친목 집단에 낄 없겠구나"라는 박탈감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결국 참지 못 하고 다른 커뮤니티로 빠지거나 아예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그만두게 된다.
 
이것은 중소규모 커뮤니티 입장에서는 매우 치명적인 영향으로 작용하는데, 커뮤니티는 새롭게 유입된 회원들을 수혈에 비유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 수혈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인물로 전락하여 "[[그들만의 리그]]"로 남게 된다.
 
또한, 친목질과 관련해서 안 좋은 사건이 발생할 경우 커뮤니티 밖에서 활동하는 네티즌들 입장에서는 안 좋은 쪽으로 지명도가 생길 수밖에 없어서 친목질이 생긴 커뮤니티의 접근을 꺼려하거나, 애초에 관심을 끊기 때문에 지명도가 낮아져서 [[검색 엔진]]을 통해 그 커뮤니티의 접근이 어려워지게 된다. 설령, 친목질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활동을 한다 하더라도 친목질로 인해 발성하는 이상한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 하고 금방 탈퇴해 버리는 일도 빈번하다.
 
결국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존 유저는 떠나고 신규 유입도 차단되어 커뮤니티가 망하게 된다. 친목 행위로 끝장나는 커뮤니티들이 늘어나면서 대형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는 일부 갤러리를 중심으로 지나친 친목 현상을 배척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친목 자체를 혐오하기까지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목 행위를 '''좆목질'''이나 '''좆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시인사이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일베저장소]], [[아카라이브]]도 마찬가지이며, [[에펨코리아]], [[엠엘비파크]]도 어느 정도 이러한 경향이 있는 편이다. 또한 이러한 친목 배척, 특정 유저의 네임드화 방지, 릴레이 익명 게시판 등 한국 특유의 온라인 환경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타국과 달리 실명제 커뮤니티보다는 익명 커뮤니티가 더욱 활성화되어 있다.
 
다만, 한국 커뮤니티라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 친목질이 공공연히 일어나는 커뮤니티도 있다. [[루리웹]], [[클리앙]] 등 진보 성향이 강하거나 연령대가 50대 이상의 비중이 다수인 인터넷 커뮤니티는 친목에 대한 규정이 없어 대놓고 친목이 일어나거나, 친목에 대한 규제가 있어도 유명무실한 경우가 많다. 이는 정치 성향이 진보, 리버럴일 경우 대체로 같은 성향의 사람들끼리의 연대 의식이 있기 때문이고, 이 것이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으로 확장된 느낌이 강하기 때문이다. 연령대가 50대 이상 비중이 높은 커뮤니티는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서로 간의 연대와 소통으로 친목을 다지는 경우가 많다.<ref>이들은 오프라인으로도 정기 모임을 가지는 경우도 흔하다.</ref> 그리고 친목질에 대한 해악이 그렇게까지 문제의식을 가질 정도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결정적으로 "자신의 생업이 있기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친목에 목숨까지 걸 정도까지 활동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사장이 아는 측근들만 중요한 자리에 앉히는 [[낙하산 인사]]나 사장의 친한 친구에게 특혜를 주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즉,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친목에 관한 규제는 대체로 디시인사이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이트와 그렇지 않은 사이트로 나뉘는 편이다.
 
=== 한국의 인터넷 방송인과 팬덤에서 ===
[[트위치]], [[유튜브]] 등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들도 실시간 채팅 및 트게더, 팬카페 등에서 시청자들끼리 친목하면 매우 강경한 제재나 채팅 및 팬덤 게시판의 영구 차단을 내리는 일도 많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마찬가지로 신규 시청자의 실시간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시청자가 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머보다 더욱 주목을 받게 되는 현상, 일명 "네임드" 시청자로 인해 방송흐름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친목, 네임드화 방지를 위해 유튜브 다시보기 썸네일이나 다시보기 영상 중에서 후원자 이름, 댓글 닉네임, 핸들네임을 모조리 모자이크 처리하기도 한다.
 
팬덤 게시판이나 팬카페 등지에서도 친목질 금지 조항은 공지사항에 아예 서두부터 쓰여 있는 경우도 있으며, 친목을 매우 강경하게 통제하는 데 혈안이 된 스트리머는 단 한 번만의 친목 행위로도 영구 차단조치를 하거나 팬덤 게시판과 팬카페의 닉네임을 모두 바코드 형태<ref>대문자 I(아이)와 소문자 l(엘)만을 무작위하게 섞는 닉네임.(예를 들어 IIllllIIllIIll식으로 섞는 닉네임이 바코드식 닉네임이다.) 정확히 어떤 글자인지 알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익명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나, 자칫 친목 하나 잡겠다고 욕설, 패드립, 어그로, 증오발언 등의 불량 유저들을 신고하기가 번거로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닉네임이 허용된다면 피신고자의 닉네임 언급 후 신고 내용을 적어 신고하면 되지만, 바코드식 닉네임만 허용되는 팬카페에서 불량 유저를 신고하려면 결국 문제가 되는 전체 내용을 캡쳐해서 일일이 이미지 파일로 첨부해 신고해야 한다. 직장인들의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서도 이러한 바코드 닉네임 문화가 여기서 수출된 경우이다.</ref>, 의미 없는 난수, 의미 없는 무작위 알파벳 나열 등 익명화 닉네임으로 통일시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BJ는 트위치의 방송 문화와는 다르다. BJ마다 방송마다 전부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트위치 스트리머 못지 않게 매우 강경한 친목 통제를 하는 경우도 있는 반면, 그렇지 않고 서로 소통, 친목이 주가 되는 방송도 있다.
 
=== 영미권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
물론 친목질에 대해 매우 강경하게 배척하는 태도를 보이는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와 달리, 영미권을 위시한 해외 인터넷 커뮤니티는 친목질 개념이 없다. 심지어 몇몇 포럼, 게시판, 디스코드 채널 등에서는 공공연히 친목행위가 일어난다. 영미권의 포럼 등에서 친목이 공공연히 일어나는 것을 본 한국인들은 이러한 점에서 컬쳐쇼크를 느끼기도 한다.
 
이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개념과 문화가 한국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영미권의 인터넷 공간에서는 일차적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친목을 다지며 소통을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한 편이다. 한국식의 불특정 익명의 다수가 방문하여 글이나 댓글을 다는 익명 게시판 방식이랑은 다르게, 영미권은 커뮤니티의 형식이 아닌 세부 주제를 다루는 포럼, [[인터넷 릴레이 챗|IRC]]의 형태로 발전되어왔으며, 반은 실명제로 활동하는 체제가 정착되어 있다. 또한, 의견 개진에 필요한 대화라면 서로간의 닉네임을 언급하거나 핸들네임을 태그하는 경우도 당연시 여기고 있다.


==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친목질 ==
물론 한국처럼 친목질이라고 불리는, 악성 친목을 아예 제재하지 않는 건 아니다. 가령, [[레딧]]의 경우에는 특정 SubReddit의 주제와 현저히 맞지 않는 게시글, 지극히 개인적인 사생활 이야기는 관리자가 알아서 블라인드 처리, 노출 우선순위를 하위권으로 조정 등을 해준다. 게시판 관리자가 거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점도 한몫 한다. 이러한 글은 길어도 24시간 이내로 블라인드 조치된다.<ref>이는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에서 친목질 등 문제가 되는 글을 신고해도 삭제해 주지 않거나 매크로 답변으로 일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디시인사이드 운영진 측의 방만한 운영에 염증을 느끼는 도중, 결국 마이너 갤러리 기능이 추가되자, 주요 갤러리는 관리가 용이한 마이너 갤러리로 이주하는 경우도 많다. 갤러리 매니저가 디시의 운영자를 대신해서 일반 유저인 "매니저"와 매니저가 임명하는 "부매니저"들이 하도록 되어 있어서, 기존 메인 갤러리에서 운영자가 처리하지 않았던 친목질을 유저 단계에서 자율적인 차단을 할 수 있다.</ref> 친목의 관한 규정 자체도 공지사항 단위에서 없는 경우도 흔하다.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 운영진처럼 방만한 운영이 잘 없고 문제 되는 게시물은 알아서 걸러주니까 이런 공지를 따로 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영미권은 친목 행위보다는 오히려 욕설, 증오·인종차별 발언, 스팸 광고를 더 강경히 규제하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친목은 커뮤니티에 독이 된다. 친목질은 [[신규]] 유입을 막고 있던 사람들도 떠나가게 만드는데, [[커뮤니티]]는 [[신규]] [[유입]]을 수혈이라 부를만큼 중요하기 때문. 친목이 과도해 [[친목질]]로 변질되면 집단 자체가 외부 사람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배타적]]인 자세가 되고 그들끼리 끼리끼리 노는 경향을 보인다. 새로 들어왔다고 해도 이런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해 금방 나가게 된다고.


결국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존 유저는 떠나고 신규 유입도 차단되어 [[커뮤니티]]가 망하게 된다.
=== 영미권의 인터넷 방송인과 팬덤에서 ===
친목행위로 [[끝장]]나는 [[커뮤니티]]들이 늘어나면서 [[디시인사이드]] 등 일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지나친 친목 현상을 배척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친목]] 자체를 혐오하기까지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목]] 행위를 '''좆목질'''이나 '''좆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트위치, 유튜브 등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들도 실시간 채팅 및 디스코드, 팬덤 게시판 등에서 시청자들끼리 딱히 친목한다고 제지하지 않는다.<ref>물론 방송 진행에 심각한 지장을 끼칠 정도의 도배까지 갈 경우에는 제지한다. 이는 친목질으로써 제지가 아니라 도배로써의 제지다.</ref> 심지어는 특정 스트리머를 좋아하는 팬덤에서 세부 파벌이 형성된 경우도 흔하다. 앞서 언급했듯 영미권 스트리머 또한 실시간 채팅에서의 서로를 헐뜯고 비방하는 증오·인종차별 발언, 스팸 광고, 도배를 더욱 규제한다.


=== 친목 행위 자체가 문제되는가 ===
== 친목 행위 자체가 문제되는가? ==
친목질로 인해 커뮤니티가 와해될 수 있다는 이유로 [[닉언급]]이나 [[정모]], [[파티 게임]] 등 친목 행위를 아예 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누군가 [[왕따]]를 당할 수 있으니 [[인간관계]]를 하면 안된다는 말과 같다.
친목질로 인해 커뮤니티가 와해될 수 있다는 이유로 닉네임을 언급하거나 [[정모]], 파티 게임 등 친목 행위를 아예 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누군가 [[왕따]]를 당할 수 있으니 인간관계를 하면 안 된다는 말과 같다.


인터넷에서의 대다수 [[커뮤니티]]는 [[친목]]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친목]] 자체를 문제삼기란 힘든데, 친목을 넓게 해석하면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도 [[친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커뮤니티의 경우 [[친목질]]을 [[만악의 근원]]이라 지칭하며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밖에서의 일까지 문제삼는데 [[오프라인]]에서의 [[친목]]까지 규제한다는 것은 자칫 과도한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
인터넷에서의 대다수 커뮤니티는 친목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친목 자체를 문제삼기란 힘든데, 친목을 넓게 해석하면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도 친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커뮤니티의 경우 친목질을 [[만악의 근원]]이라 지칭하며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밖에서의 일까지 문제삼는데 오프라인에서의 친목까지 규제한다는 것은 자칫 과도한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


[[친목질]]로 망했다는 인터넷 커뮤니티들은 친목 행위를 해서 망한게 아니라, 과도한 친목 행위의 병폐인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배척]]이 착실하게 이루어져 '''너무 먼 길'''을 가 버린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친목]]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할 필요는 없다. 더군다나 적절한 수준의 [[친목]]은 커뮤니티에도 [[활력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친목질로 망했다는 인터넷 커뮤니티들은 친목 행위를 해서 망한게 아니라, 과도한 친목 행위의 병폐인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 배척이 착실하게 이루어져 '''너무 먼 길'''을 가 버린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친목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할 필요는 없다. 더군다나 적절한 수준의 친목은 커뮤니티에도 활력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정리하자면 '''[[친목질]]로 일어난 [[병폐]]는 친목 행위 자체보다는 [[커뮤니티]]를 자신들의 공간처럼 [[사유화]]하고 자신들끼리 놀면서 [[뉴비배척|뉴비를 배척]]하는 등 과도한 친목 행위''', 즉 [[친목질]]이 원인이다. 따라서 친목 행위 자체를 혐오할 필요는 없으며, 지나친 친목 행위인 [[친목질]]에 대해 관리하고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어느 정도가 지나친 친목인가에 대해서는 고민해 봐야 할 부분.
정리하자면 '''친목질로 일어난 병폐는 친목 행위 자체보다는 커뮤니티를 자신들의 공간처럼 사유화하고 자신들끼리 놀면서 뉴비를 배척하는 등 과도한 친목 행위''', 즉 친목질이 원인이다. 따라서 친목 행위 자체를 혐오할 필요는 없으며, 타 집단을 배척하는 지나친 친목 행위인 친목질에 대해서는 관리하고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어느 정도가 지나친 친목인가에 대해서는 고민해 봐야 할 부분.


또한 규모가 어느 정도 큰 사이트나 커뮤니티는 [[친목질]]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드문데, 워낙 글 리젠이 활발하기 때문에 앞서 말했던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배척]]이 힘들기 때문이라고.
또한 규모가 어느 정도 큰 사이트나 커뮤니티는 친목질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드문데, 워낙 글 갱신이 활발하기 때문에 앞서 말했던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 배척이 힘들기 때문이라고.


=== 친목질의 범위 ===
=== 친목질의 범위 ===
친목질을 자칫 잘못하면 [[웹 사이트]] 내로 한정하기 쉽다. 하지만 [[친목질]]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매우 넓다. 태초에는 [[PC 통신]]이 있었고 현재 대표적인 곳으로는 [[인터넷 릴레이 챗|IRC]] 및 [[카카오톡]] 등이 있다. 분위기로 봐서도 [[뉴비]]가 끼어들 여지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초창기 [[리브레 위키]]가 [[인터넷 릴레이 챗|IRC]]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회의를 하고 다시는 IRC 채널을 쓰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유도 이 때문.
친목질을 자칫 잘못하면 [[웹 사이트]] 내로 한정하기 쉽다. 하지만 친목질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매우 넓다. 태초에는 [[PC 통신]]이 있었고 현재의 대표적인 곳으로는 [[인터넷 릴레이 챗|IRC]] 및 [[카카오톡]] 오픈채팅, [[디스코드]] 등이 있다. 분위기로 봐서도 [[뉴비]]가 끼어들 여지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초창기 [[리브레 위키]]가 [[인터넷 릴레이 챗|IRC]]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회의를 하고 다시는 IRC 채널을 쓰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유도 이 때문.


== 기타 ==
== 기타 ==
[[디시인사이드]]의 운영자인 [[김유식]]은 '친목질은 커뮤니티의 근간'이며,  그 이외의 네임드 유저, 어그로, 허세 등 '''분탕짓 빼고는 다 된다'''고 발언하였다. <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rozen&no=1178417] 김유식, 2014.04.16 12:22:40 KST </ref>
[[디시인사이드]]의 운영자인 김유식은 "친목질은 커뮤니티의 근간"이며,  그 이외의 네임드 유저, 어그로, 허세 등 '''분탕짓 빼고는 다 된다'''고 발언하였다.<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rozen&no=1178417] 김유식, 2014.04.16 12:22:40 KST </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집단사고]]
* [[집단사고]]
* [[나무위키 운영진 IRC 친목질 사태]]
* [[나무위키 운영진 IRC 친목질 사태]]
* [[엔젤하이로 친목질 사건]]


{{각주}}
[[분류:속어]]
[[분류:속어]]
[[분류:사회 문제]]

2024년 5월 21일 (화) 01:44 기준 최신판

친목질은 서로 친하다는 뜻을 가진 친목(親睦)과 행위를 뜻하는 질의 합성어로, 운영자와 운영자의 측근들이 서로 친목을 다지는 행위가 영 좋지 않은 쪽으로 발전하여 다른 집단을 암묵적으로 배척하는 행위를 말한다. 즉 부정적인 친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친목질에 늪에 빠진 커뮤니티는 친목질에 대한 외부의 반발을 감당하지 못 하고 이용자들이 빠져나가 커뮤니티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운영자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행위를 금기로 여겨 친목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고 있다.

국가·사회 단위에서 문제가 일어난 친목질은 하나회를 예시로 들을 수 있다.

사회생활에서의 친목[편집 | 원본 편집]

사회생활에서도 이러한 친목질을 볼 수 있으며, 사실 이 쪽이 병폐가 매우 심각하다. 왜냐하면 직장생활은 생계와도 직결된 문제라 다른 곳으로 갈 수 있을지는 몰라도, 아예 직장생활 자체를 하지 않고 집에서 가만히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친목질이 심해질 경우 뇌물죄나 부정입학 등 범죄 행위로 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병폐가 방치될 경우 사회 전반의 질서가 무너져서 사회에 대한 신뢰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사장이 잘 아는 측근들만 중요한 자리에 앉히는 낙하산 인사나 사장의 친한 친구에게 특혜를 주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친목[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편집 | 원본 편집]

인터넷상에서는 처음에는 개인이 직접 사이트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뮤니티에 정보가 많이 모여 사람들이 게시판에서 유입됐을 때 커뮤니티의 네티즌들이 한 집단을 형성하여 이들간에 친목을 다지게 된다.

하지만, 이런 친목 행위가 다른 집단을 배척하거나 운영자의 사익만을 추구하는 행위로 나갈 경우, 그 집단은 외부 사람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배타적인 자세가 되고 그들끼리 끼리끼리 노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친목 집단에서 배척된 세력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친목 집단에 낄 수 없겠구나"라는 박탈감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결국 참지 못 하고 다른 커뮤니티로 빠지거나 아예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그만두게 된다.

이것은 중소규모 커뮤니티 입장에서는 매우 치명적인 영향으로 작용하는데, 커뮤니티는 새롭게 유입된 회원들을 수혈에 비유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 수혈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인물로 전락하여 "그들만의 리그"로 남게 된다.

또한, 친목질과 관련해서 안 좋은 사건이 발생할 경우 커뮤니티 밖에서 활동하는 네티즌들 입장에서는 안 좋은 쪽으로 지명도가 생길 수밖에 없어서 친목질이 생긴 커뮤니티의 접근을 꺼려하거나, 애초에 관심을 끊기 때문에 지명도가 낮아져서 검색 엔진을 통해 그 커뮤니티의 접근이 어려워지게 된다. 설령, 친목질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활동을 한다 하더라도 친목질로 인해 발성하는 이상한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 하고 금방 탈퇴해 버리는 일도 빈번하다.

결국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존 유저는 떠나고 신규 유입도 차단되어 커뮤니티가 망하게 된다. 친목 행위로 끝장나는 커뮤니티들이 늘어나면서 대형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는 일부 갤러리를 중심으로 지나친 친목 현상을 배척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친목 자체를 혐오하기까지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목 행위를 좆목질이나 좆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시인사이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일베저장소, 아카라이브도 마찬가지이며, 에펨코리아, 엠엘비파크도 어느 정도 이러한 경향이 있는 편이다. 또한 이러한 친목 배척, 특정 유저의 네임드화 방지, 릴레이 익명 게시판 등 한국 특유의 온라인 환경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타국과 달리 실명제 커뮤니티보다는 익명 커뮤니티가 더욱 활성화되어 있다.

다만, 한국 커뮤니티라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 친목질이 공공연히 일어나는 커뮤니티도 있다. 루리웹, 클리앙 등 진보 성향이 강하거나 연령대가 50대 이상의 비중이 다수인 인터넷 커뮤니티는 친목에 대한 규정이 없어 대놓고 친목이 일어나거나, 친목에 대한 규제가 있어도 유명무실한 경우가 많다. 이는 정치 성향이 진보, 리버럴일 경우 대체로 같은 성향의 사람들끼리의 연대 의식이 있기 때문이고, 이 것이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으로 확장된 느낌이 강하기 때문이다. 연령대가 50대 이상 비중이 높은 커뮤니티는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서로 간의 연대와 소통으로 친목을 다지는 경우가 많다.[1] 그리고 친목질에 대한 해악이 그렇게까지 문제의식을 가질 정도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결정적으로 "자신의 생업이 있기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친목에 목숨까지 걸 정도까지 활동하지 않는다.

즉,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친목에 관한 규제는 대체로 디시인사이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이트와 그렇지 않은 사이트로 나뉘는 편이다.

한국의 인터넷 방송인과 팬덤에서[편집 | 원본 편집]

트위치, 유튜브 등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들도 실시간 채팅 및 트게더, 팬카페 등에서 시청자들끼리 친목하면 매우 강경한 제재나 채팅 및 팬덤 게시판의 영구 차단을 내리는 일도 많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마찬가지로 신규 시청자의 실시간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시청자가 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머보다 더욱 주목을 받게 되는 현상, 일명 "네임드" 시청자로 인해 방송흐름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친목, 네임드화 방지를 위해 유튜브 다시보기 썸네일이나 다시보기 영상 중에서 후원자 이름, 댓글 닉네임, 핸들네임을 모조리 모자이크 처리하기도 한다.

팬덤 게시판이나 팬카페 등지에서도 친목질 금지 조항은 공지사항에 아예 서두부터 쓰여 있는 경우도 있으며, 친목을 매우 강경하게 통제하는 데 혈안이 된 스트리머는 단 한 번만의 친목 행위로도 영구 차단조치를 하거나 팬덤 게시판과 팬카페의 닉네임을 모두 바코드 형태[2], 의미 없는 난수, 의미 없는 무작위 알파벳 나열 등 익명화 닉네임으로 통일시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BJ는 트위치의 방송 문화와는 다르다. BJ마다 방송마다 전부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트위치 스트리머 못지 않게 매우 강경한 친목 통제를 하는 경우도 있는 반면, 그렇지 않고 서로 소통, 친목이 주가 되는 방송도 있다.

영미권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편집 | 원본 편집]

물론 친목질에 대해 매우 강경하게 배척하는 태도를 보이는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와 달리, 영미권을 위시한 해외 인터넷 커뮤니티는 친목질 개념이 잘 없다. 심지어 몇몇 포럼, 게시판, 디스코드 채널 등에서는 공공연히 친목행위가 일어난다. 영미권의 포럼 등에서 친목이 공공연히 일어나는 것을 본 한국인들은 이러한 점에서 컬쳐쇼크를 느끼기도 한다.

이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개념과 문화가 한국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영미권의 인터넷 공간에서는 일차적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친목을 다지며 소통을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한 편이다. 한국식의 불특정 익명의 다수가 방문하여 글이나 댓글을 다는 익명 게시판 방식이랑은 다르게, 영미권은 커뮤니티의 형식이 아닌 세부 주제를 다루는 포럼, IRC의 형태로 발전되어왔으며, 반은 실명제로 활동하는 체제가 정착되어 있다. 또한, 의견 개진에 필요한 대화라면 서로간의 닉네임을 언급하거나 핸들네임을 태그하는 경우도 당연시 여기고 있다.

물론 한국처럼 친목질이라고 불리는, 악성 친목을 아예 제재하지 않는 건 아니다. 가령, 레딧의 경우에는 특정 SubReddit의 주제와 현저히 맞지 않는 게시글, 지극히 개인적인 사생활 이야기는 관리자가 알아서 블라인드 처리, 노출 우선순위를 하위권으로 조정 등을 해준다. 게시판 관리자가 거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점도 한몫 한다. 이러한 글은 길어도 24시간 이내로 블라인드 조치된다.[3] 친목의 관한 규정 자체도 공지사항 단위에서 없는 경우도 흔하다.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 운영진처럼 방만한 운영이 잘 없고 문제 되는 게시물은 알아서 걸러주니까 이런 공지를 따로 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영미권은 친목 행위보다는 오히려 욕설, 증오·인종차별 발언, 스팸 광고를 더 강경히 규제하는 경향이 있다.

영미권의 인터넷 방송인과 팬덤에서[편집 | 원본 편집]

트위치, 유튜브 등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들도 실시간 채팅 및 디스코드, 팬덤 게시판 등에서 시청자들끼리 딱히 친목한다고 제지하지 않는다.[4] 심지어는 특정 스트리머를 좋아하는 팬덤에서 세부 파벌이 형성된 경우도 흔하다. 앞서 언급했듯 영미권 스트리머 또한 실시간 채팅에서의 서로를 헐뜯고 비방하는 증오·인종차별 발언, 스팸 광고, 도배를 더욱 규제한다.

친목 행위 자체가 문제되는가?[편집 | 원본 편집]

친목질로 인해 커뮤니티가 와해될 수 있다는 이유로 닉네임을 언급하거나 정모, 파티 게임 등 친목 행위를 아예 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누군가 왕따를 당할 수 있으니 인간관계를 하면 안 된다는 말과 같다.

인터넷에서의 대다수 커뮤니티는 친목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친목 자체를 문제삼기란 힘든데, 친목을 넓게 해석하면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도 친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커뮤니티의 경우 친목질을 만악의 근원이라 지칭하며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밖에서의 일까지 문제삼는데 오프라인에서의 친목까지 규제한다는 것은 자칫 과도한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

친목질로 망했다는 인터넷 커뮤니티들은 친목 행위를 해서 망한게 아니라, 과도한 친목 행위의 병폐인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 배척이 착실하게 이루어져 너무 먼 길을 가 버린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친목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할 필요는 없다. 더군다나 적절한 수준의 친목은 커뮤니티에도 활력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정리하자면 친목질로 일어난 병폐는 친목 행위 자체보다는 커뮤니티를 자신들의 공간처럼 사유화하고 자신들끼리 놀면서 뉴비를 배척하는 등 과도한 친목 행위, 즉 친목질이 원인이다. 따라서 친목 행위 자체를 혐오할 필요는 없으며, 타 집단을 배척하는 지나친 친목 행위인 친목질에 대해서는 관리하고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어느 정도가 지나친 친목인가에 대해서는 고민해 봐야 할 부분.

또한 규모가 어느 정도 큰 사이트나 커뮤니티는 친목질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드문데, 워낙 글 갱신이 활발하기 때문에 앞서 말했던 커뮤니티 사유화와 뉴비 배척이 힘들기 때문이라고.

친목질의 범위[편집 | 원본 편집]

친목질을 자칫 잘못하면 웹 사이트 내로 한정하기 쉽다. 하지만 친목질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매우 넓다. 태초에는 PC 통신이 있었고 현재의 대표적인 곳으로는 IRC카카오톡 오픈채팅, 디스코드 등이 있다. 분위기로 봐서도 뉴비가 끼어들 여지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초창기 리브레 위키IRC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회의를 하고 다시는 IRC 채널을 쓰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유도 이 때문.

기타[편집 | 원본 편집]

디시인사이드의 운영자인 김유식은 "친목질은 커뮤니티의 근간"이며, 그 이외의 네임드 유저, 어그로, 허세 등 분탕짓 빼고는 다 된다고 발언하였다.[5]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이들은 오프라인으로도 정기 모임을 가지는 경우도 흔하다.
  2. 대문자 I(아이)와 소문자 l(엘)만을 무작위하게 섞는 닉네임.(예를 들어 IIllllIIllIIll식으로 섞는 닉네임이 바코드식 닉네임이다.) 정확히 어떤 글자인지 알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익명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나, 자칫 친목 하나 잡겠다고 욕설, 패드립, 어그로, 증오발언 등의 불량 유저들을 신고하기가 번거로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닉네임이 허용된다면 피신고자의 닉네임 언급 후 신고 내용을 적어 신고하면 되지만, 바코드식 닉네임만 허용되는 팬카페에서 불량 유저를 신고하려면 결국 문제가 되는 전체 내용을 캡쳐해서 일일이 이미지 파일로 첨부해 신고해야 한다. 직장인들의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서도 이러한 바코드 닉네임 문화가 여기서 수출된 경우이다.
  3. 이는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디시인사이드의 메인 갤러리에서 친목질 등 문제가 되는 글을 신고해도 삭제해 주지 않거나 매크로 답변으로 일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디시인사이드 운영진 측의 방만한 운영에 염증을 느끼는 도중, 결국 마이너 갤러리 기능이 추가되자, 주요 갤러리는 관리가 용이한 마이너 갤러리로 이주하는 경우도 많다. 갤러리 매니저가 디시의 운영자를 대신해서 일반 유저인 "매니저"와 매니저가 임명하는 "부매니저"들이 하도록 되어 있어서, 기존 메인 갤러리에서 운영자가 처리하지 않았던 친목질을 유저 단계에서 자율적인 차단을 할 수 있다.
  4. 물론 방송 진행에 심각한 지장을 끼칠 정도의 도배까지 갈 경우에는 제지한다. 이는 친목질으로써 제지가 아니라 도배로써의 제지다.
  5. [1] 김유식, 2014.04.16 12:22:4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