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츠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사)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넷츠고
|이름     = 넷츠고
| 패비콘      =
|원어이름 =  
| 로고          =
|패비콘  =  
| 로고 설명 =
|로고     =  
| 그림         =
|그림     =  
| 그림 설명 =
|그림설명 =  
| 그림 크기 =
|URL      = http://www.netsgo.com/
| 표어          =
|종류     = [[포털 사이트]]
| 종류         = [[포털 사이트]]
|운영    =
| 회원 가입 =
|제작    =  
| 언어 = [[한국어]]
|언어     = [[한국어]]
| 영리 여부 = 영리
|시작일   = 1997년 8월 15일
| 시작일     = 1997년 8월 15일
|종료일   = 2002년 3월 31일
| 종료일     = 2002년 3월 31일
|회원가입 =
| 소유자      = [[SK 커뮤니케이션]]
|라이선스 =  
| 제작자      =
|영리여부 = 영리
| 현재 상태 = [[네이트]]와 통합 후 폐쇄
|작성언어 =  
| 주소          = http://www.netsgo.com/}}
|비고    =  
}}
'''넷츠고'''(Netsgo)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190917 1997년 8월 15일]에 [[SK텔레콤]]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PC통신]]이자 [[포털 사이트]]이다.
'''넷츠고'''(Netsgo)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190917 1997년 8월 15일]에 [[SK텔레콤]]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PC통신]]이자 [[포털 사이트]]이다.
==역사==
==역사==
SK텔레콤은 1997년 6월에 새로 시작할 인터넷 서비스의 이름을 '넷츠고'로 지었으며,[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60600289109009&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7-06-06&officeId=00028&pageNo=9&printNo=2898&publishType=00010] 1997년 8월 15일에 넷츠고의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비스를 막 시작할 당시 넷츠고는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시사, 게임, 날씨, 경제, 문화 등의 PC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과 PC통신이 결합된 '신개념 PC통신'으로 불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5649] <s>그리고 몇 년 안가 이러한 종류의 '신개념 PC통신'은 포털 사이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s> 넷츠고가 사용한 주소는 'http:// www.netsgo.com' 이었으며,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을 탑재한 넷츠고 전용 브라우저와  01442 번호의 전국 전용망을 사용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190917] 이후 1997년 10월 28일에 넷츠고는 월 1만원의 요금제를 적용하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5649] 넷츠고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9038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이용 고객들에게 요금의 20%를 할인해주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17525 SK텔레콤의 휴대전화 및 삐삐 통신 서비스와 넷츠고의 전자우편를 연동하는] 등 고객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고, 1998년 2월에 가입자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09268] 어느 정도 고객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1998년 3월 네티즌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천리안 (PC통신)|천리안]], [[하이텔]], [[유니텔]], [[나우누리]]에 이어 5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PC통신 서비스로 조사되고[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32400329123009&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3-24&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388&publishType=00010] 1998년 상반기 동안 천리안이 125만명, 하이텔이 101만명, 유니텔이 75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할 때 넷츠고는 21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3000099116013&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06-30&officeId=00009&pageNo=16&printNo=10100&publishType=00010] 경쟁사에 비해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SK텔레콤은 1997년 6월에 새로 시작할 인터넷 서비스의 이름을 '넷츠고'로 지었으며,[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60600289109009&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7-06-06&officeId=00028&pageNo=9&printNo=2898&publishType=00010] 1997년 8월 15일에 넷츠고의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비스를 막 시작할 당시 넷츠고는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시사, 게임, 날씨, 경제, 문화 등의 PC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과 PC통신이 결합된 '신개념 PC통신'으로 불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5649] <s>그리고 몇 년 안가 이러한 종류의 '신개념 PC통신'은 포털 사이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s> 넷츠고가 사용한 주소는 'http:// www.netsgo.com' 이었으며,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을 탑재한 넷츠고 전용 브라우저와  01442 번호의 전국 전용망을 사용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190917] 이후 1997년 10월 28일에 넷츠고는 월 1만원의 요금제를 적용하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5649] 넷츠고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09038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이용 고객들에게 요금의 20%를 할인해주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17525 SK텔레콤의 휴대전화 및 삐삐 통신 서비스와 넷츠고의 전자우편를 연동하는] 등 고객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고, 1998년 2월에 가입자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09268] 어느 정도 고객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1998년 3월 네티즌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천리안 (PC통신)|천리안]], [[하이텔]], [[유니텔]], [[나우누리]]에 이어 5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PC통신 서비스로 조사되고[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32400329123009&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3-24&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388&publishType=00010] 1998년 상반기 동안 천리안이 125만명, 하이텔이 101만명, 유니텔이 75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할 때 넷츠고는 21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3000099116013&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06-30&officeId=00009&pageNo=16&printNo=10100&publishType=00010] 경쟁사에 비해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br/>
<br />




이후 1999년부터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VT기반의 PC통신이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포털 사이트]]에 밀려나기 시작하면서 천리안, 하이텔, 나우누리 등 [[PC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웹 포털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시작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526263] 넷츠고는 서비스를 시작할 때부터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VT기반 서비스에 집중해온 PC통신 서비스에 비하면 유리한 위치에 있었지만[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82500209142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8-25&officeId=00020&pageNo=42&printNo=24283&publishType=00010] 2000년 6월 알렉사(Alexa)에서 공개한 페이지뷰 순위에서 천리안, [[신비로]], [[엠파스]], [[심마니]] 등 국내의 중위권 포털 사이트보다도 적은 순위를 차지하는 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07023] 포털 사이트 분야에서도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s>그래도 유니텔의 포털 사이트 보다는 페이지뷰 수가 많다.</s> 2000년 8월에 SK텔레콤에서 넷츠고가 분사되며 포털 사이트 '넷츠고'의 운영 주체는 SK텔레콤에서 (주)넷츠고로 바뀌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268023] 이후 넷츠고는 2001년부터는 게임, 운세, 영화, 증권 등 주제별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고 SK텔레콤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와의 제휴를 통해 고객의 수를 늘리는 전략을 선택했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331826] 이러한 인터넷과 포털 사이트의 제휴는 더 발전하여 '넷츠고'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포털 서비스인 '엔탑' 등 SK텔레콤 산하의 4개 인터넷 서비스를 통폐합한 종합 포털 사이트 [[네이트]]의 출범으로 이어진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98410] [[네이트]]는 2001년 10월 16일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0090615] 오랜 기간의 내부 정비를 거친 후 2002년 12월 27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580229], 넷츠고는 네이트에 흡수되면서 2002년 3월 31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http://web.archive.org/web/20020611202435/http://wwwbbs.netsgo.com/bbs/html/article.asp?bbs=notice1&artid=6896]
이후 1999년부터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VT기반의 PC통신이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포털 사이트]]에 밀려나기 시작하면서 천리안, 하이텔, 나우누리 등 [[PC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웹 포털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시작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526263] 넷츠고는 서비스를 시작할 때부터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VT기반 서비스에 집중해온 PC통신 서비스에 비하면 유리한 위치에 있었지만[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82500209142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8-25&officeId=00020&pageNo=42&printNo=24283&publishType=00010] 2000년 6월 알렉사(Alexa)에서 공개한 페이지뷰 순위에서 천리안, [[신비로]], [[엠파스]], [[심마니]] 등 국내의 중위권 포털 사이트보다도 낮은 순위를 차지하는 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07023] 포털 사이트 분야에서도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s>그래도 유니텔의 포털 사이트 보다는 페이지뷰 수가 많다.</s> 2000년 8월에 SK텔레콤에서 넷츠고가 분사되며 포털 사이트 '넷츠고'의 운영 주체는 SK텔레콤에서 (주)넷츠고로 바뀌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268023] 이후 넷츠고는 2001년부터는 게임, 운세, 영화, 증권 등 주제별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고 SK텔레콤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와의 제휴를 통해 고객의 수를 늘리는 전략을 선택했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331826] 이러한 인터넷과 포털 사이트의 제휴는 더 발전하여 '넷츠고'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포털 서비스인 '엔탑' 등 SK텔레콤 산하의 4개 인터넷 서비스를 통폐합한 종합 포털 사이트 [[네이트]]의 출범으로 이어진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98410] [[네이트]]는 2001년 10월 16일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0090615] 오랜 기간의 내부 정비를 거친 후 2002년 12월 27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580229], 넷츠고는 네이트에 흡수되면서 2002년 3월 31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 서비스 종료 후에도 넷츠고의 홈페이지 자체는 2002년 8월 경까지 폐쇄되지 않았는데[http://web.archive.org/web/20020802083233/http://www.netsgo.com/], 이는 넷츠고의 회원들이 네이트의 회원으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을 주기 위한 것이다.[http://web.archive.org/web/20020611202435/http://wwwbbs.netsgo.com/bbs/html/article.asp?bbs=notice1&artid=6896] 2002년 9월부터 2016년 1월 현재까지 넷츠고의 주소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네이트로 리다이렉트된다.


==여담==
==여담==
* 넷츠고는 자사 서비스에 대한 해외 로밍서비스를 1997년 11월부터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그 해의 연말까지는 로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58163]
* 넷츠고는 자사 서비스에 대한 해외 로밍서비스를 1997년 11월부터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그 해의 연말까지는 로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58163]
* 넷츠고는 1998년 10월에 재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미국 서비스를 실시하기 시작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3000099115016&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09-30&officeId=00009&pageNo=15&printNo=10179&publishType=00010]  
* 넷츠고는 1998년 10월에 재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미국 서비스를 실시하기 시작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3000099115016&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09-30&officeId=00009&pageNo=15&printNo=10179&publishType=00010]
{{각주}}
{{한국의 포털 사이트}}
{{한국의 포털 사이트}}
{{각주}}
[[분류:SK그룹]]
[[분류:포털 사이트]]
[[분류:포털 사이트]]

2023년 1월 23일 (월) 11:38 기준 최신판

넷츠고
웹사이트 정보
URL http://www.netsgo.com/
종류 포털 사이트
언어 한국어
시작일 1997년 8월 15일
종료일 2002년 3월 31일
영리여부 영리

넷츠고(Netsgo)는 1997년 8월 15일SK텔레콤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PC통신이자 포털 사이트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SK텔레콤은 1997년 6월에 새로 시작할 인터넷 서비스의 이름을 '넷츠고'로 지었으며,[1] 1997년 8월 15일에 넷츠고의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비스를 막 시작할 당시 넷츠고는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시사, 게임, 날씨, 경제, 문화 등의 PC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과 PC통신이 결합된 '신개념 PC통신'으로 불렸다.[2] 그리고 몇 년 안가 이러한 종류의 '신개념 PC통신'은 포털 사이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넷츠고가 사용한 주소는 'http:// www.netsgo.com' 이었으며,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을 탑재한 넷츠고 전용 브라우저와 01442 번호의 전국 전용망을 사용하였다.[3] 이후 1997년 10월 28일에 넷츠고는 월 1만원의 요금제를 적용하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4] 넷츠고는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이용 고객들에게 요금의 20%를 할인해주고 SK텔레콤의 휴대전화 및 삐삐 통신 서비스와 넷츠고의 전자우편를 연동하는 등 고객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고, 1998년 2월에 가입자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5] 어느 정도 고객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1998년 3월 네티즌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천리안, 하이텔, 유니텔, 나우누리에 이어 5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PC통신 서비스로 조사되고[6] 1998년 상반기 동안 천리안이 125만명, 하이텔이 101만명, 유니텔이 75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할 때 넷츠고는 21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7] 경쟁사에 비해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이후 1999년부터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VT기반의 PC통신이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포털 사이트에 밀려나기 시작하면서 천리안, 하이텔, 나우누리 등 PC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웹 포털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시작한다.[8] 넷츠고는 서비스를 시작할 때부터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VT기반 서비스에 집중해온 PC통신 서비스에 비하면 유리한 위치에 있었지만[9] 2000년 6월 알렉사(Alexa)에서 공개한 페이지뷰 순위에서 천리안, 신비로, 엠파스, 심마니 등 국내의 중위권 포털 사이트보다도 낮은 순위를 차지하는 등[10] 포털 사이트 분야에서도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그래도 유니텔의 포털 사이트 보다는 페이지뷰 수가 많다. 2000년 8월에 SK텔레콤에서 넷츠고가 분사되며 포털 사이트 '넷츠고'의 운영 주체는 SK텔레콤에서 (주)넷츠고로 바뀌었다.[11] 이후 넷츠고는 2001년부터는 게임, 운세, 영화, 증권 등 주제별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고 SK텔레콤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와의 제휴를 통해 고객의 수를 늘리는 전략을 선택했고,[12] 이러한 인터넷과 포털 사이트의 제휴는 더 발전하여 '넷츠고'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포털 서비스인 '엔탑' 등 SK텔레콤 산하의 4개 인터넷 서비스를 통폐합한 종합 포털 사이트 네이트의 출범으로 이어진다.[13] 네이트는 2001년 10월 16일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14] 오랜 기간의 내부 정비를 거친 후 2002년 12월 27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15], 넷츠고는 네이트에 흡수되면서 2002년 3월 31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 서비스 종료 후에도 넷츠고의 홈페이지 자체는 2002년 8월 경까지 폐쇄되지 않았는데[16], 이는 넷츠고의 회원들이 네이트의 회원으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을 주기 위한 것이다.[17] 2002년 9월부터 2016년 1월 현재까지 넷츠고의 주소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네이트로 리다이렉트된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넷츠고는 자사 서비스에 대한 해외 로밍서비스를 1997년 11월부터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그 해의 연말까지는 로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다고 한다.[18]
  • 넷츠고는 1998년 10월에 재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미국 서비스를 실시하기 시작했다.[19]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