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ps-sans-organes: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Arcaea: replaced: 난이도 디자인 → 노트 디자인)
잔글 (→‎top: replaced: <small>'''자동 생성된 영상'''</small> → '''YouTube Music 영상''' (2))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제목2=Extended ver.
|제목2=Extended ver.
|내용1=
|내용1=
{{youtube|1seOWiEWhWc|||center|<small>'''자동 생성된 영상'''</small>}}
{{youtube|1seOWiEWhWc|||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2=
|내용2=
{{youtube|oau2Pb0oRTM|||center|<small>'''자동 생성된 영상'''</small>}}
{{youtube|oau2Pb0oRTM|||center|'''YouTube Music 영상'''}}
}}
}}
'''corps-sans-organes'''는 cybermiso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제목의 유래는 "기관 없는 신체"를 의미하는 철학 용어(프랑스어)이다.
'''corps-sans-organes'''는 cybermiso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제목의 유래는 "기관 없는 신체"를 의미하는 철학 용어이다. 이후 [[Arcaea]]의 사운드트랙 앨범 《[[Memories of Dreams]]》에 이 곡의 익스텐드 버전이 23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이후 [[Arcaea]]의 사운드트랙 앨범 《[[Memories of Dreams]]》에 이 곡의 익스텐드 버전이 23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 문구 = 음악 듣기 (Arcaea OST)
| 문구 = 음악 듣기 (Arcaea OST)
39번째 줄: 37번째 줄:
{{Arcaea/곡 정보
{{Arcaea/곡 정보
|제목=corps-sans-organes
|제목=corps-sans-organes
|이미지= corpssansorganes.png
|이미지= arcaea corpssansorganes.png
|배경 테마=Conflict
|배경 테마=Conflict
|작곡=cybermiso
|작곡=cybermiso
55번째 줄: 53번째 줄:
|버전 = 2.6.0
|버전 = 2.6.0
|추가날짜 = 2020-03-25
|추가날짜 = 2020-03-25
|그림 = softmode
|일러스트레이션 = softmode
|노트 디자인 = {{일본어=|夜浪「月食」}}
|노트 디자인 = {{일본어=|夜浪「月食」}}
}}
}}
63번째 줄: 61번째 줄:
소녀는 차라리 모든 것을 망각하길 바랄 것이다.</poem>|[[Arcaea/스토리#Ambivalent Vision|스토리 5-5]] 中|정렬=center}}</div>
소녀는 차라리 모든 것을 망각하길 바랄 것이다.</poem>|[[Arcaea/스토리#Ambivalent Vision|스토리 5-5]] 中|정렬=center}}</div>


업데이트를 통해 Ambivalent Vision 팩의 유일한 월드 해금곡이자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였다. 일러스트의 인물은 각성한 파트너 '[[Arcaea/파트너#레테|레테]]'이다.
업데이트를 통해 Ambivalent Vision 팩의 유일한 월드 해금곡이자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였다. 일러스트의 인물은 해당 팩의 파트너 [[Arcaea/파트너#레테|레테]]의 각성 버전이다.
{{-}}
{{-}}
----
----
76번째 줄: 74번째 줄:


=== 여담 ===
=== 여담 ===
* 제목 중 [[프랑스어]]에서 "...없는"을 의미하는 "-sans-"가 [[언더테일]] 등장인물 "[[샌즈]]"연상시켜 플레이어 사이에서는 "샌즈"로 불린다.
* 제목 중 [[프랑스어]]에서 "...없는"을 의미하는 "-sans-"가 [[언더테일]] 등장인물 "[[샌즈]]"연상시켜 플레이어 사이에서는 "샌즈"로 불린다.
* 레테의 그림체가 크게 바뀌어 다른 일러스트레이터가 작업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같은 일러스트레이터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위터|Doomfest|softmode}}
* 레테의 그림체가 크게 바뀌어 다른 일러스트레이터가 작업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같은 일러스트레이터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위터|Doomfest|softmode}}
* 최종 해금곡 포지션에 위치해 있으나, 스토리에서의 마지막 곡은 아닌 특이한 케이스이다.
* 최종 해금곡 포지션에 위치해 있으나, 스토리에서의 마지막 곡은 아닌 특이한 케이스이다.


{{각주}}
{{각주}}

2024년 5월 2일 (목) 00:36 기준 최신판

corps-sans-organes
Arcaea memoriesofdreams.png
cybermiso의 곡
수록 음반 Memories of Dreams
발매일 2021년 11월 11일
레이블 lowiro
작곡 cybermiso
원곡
Extended ver.

YouTube Music 영상

YouTube Music 영상

corps-sans-organes는 cybermiso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제목의 유래는 "기관 없는 신체"를 의미하는 철학 용어이다. 이후 Arcaea의 사운드트랙 앨범 《Memories of Dreams》에 이 곡의 익스텐드 버전이 23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음악 듣기 (Arcaea OST)

Arcaea[편집 | 원본 편집]

corps-sans-organes
Arcaea corpssansorganes.png
음악 cybermiso
BPM 105
난이도 LV CC 콤보
PST44.5438 / ----
PRS7+7.8615 / ----
FTR1010.61077 / ----
배경 corps-sans-organes (Conflict)
     추가 정보
버전 v2.6.0 (2020-03-25)
일러스트 softmode
노트 디자인
夜浪「月食」
Arcaea pack ambivalentvision.png Ambivalent Vision
총 6곡 (월드 1곡) [수록곡 목록]

만약 이곳이 죽음 이후의 세계라면...
소녀는 차라리 모든 것을 망각하길 바랄 것이다.

스토리 5-5

업데이트를 통해 Ambivalent Vision 팩의 유일한 월드 해금곡이자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였다. 일러스트의 인물은 해당 팩의 파트너 레테의 각성 버전이다.


Arcaea banner 9.png
Phase 9
Arcaea dark diamond.png
Arcaea corpssansorganes.png
난이도 : FTR 10 (10.6)
콤보 수 : 1077
Arcaea lightningscrew.png
난이도 : FTR 10 (10.5)
콤보 수 : 1192
Arcaea gloryroad.png
난이도 : FTR 10 (10.6)
콤보 수 : 1479
Arcaea axiumcrisis.png
난이도 : FTR 10+ (10.7)
콤보 수 : 1094

FTR
전체적으로 난해한 단타 배치와 박자로 난이도의 높인 패턴이다. 실제 내부 BPM이 곡 BPM과 같은 105로 책정되어 아크에 해당되는 콤보가 적고, 높이가 다른 스카이 동타, 32비트 / 48비트 트릴, 750 - 838 콤보의 박자를 파악하기 힘든 아크 + 단타 구간, 불규칙한 박자를 지닌 후반부 등 전체적인 스코어링 난이도는 물론, Full Recall 이후의 난이도도 높은 10레벨로 평가받는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제목 중 프랑스어에서 "...없는"을 의미하는 "-sans-"가 언더테일 등장인물 "샌즈"를 연상시켜 플레이어 사이에서는 "샌즈"로 불린다.
  • 레테의 그림체가 크게 바뀌어 다른 일러스트레이터가 작업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같은 일러스트레이터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위터 softmode
  • 최종 해금곡 포지션에 위치해 있으나, 스토리에서의 마지막 곡은 아닌 특이한 케이스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