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사 정보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명 = 대한항공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영문 = Korean Air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방:|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 [[리브레 위키:편집지침/합의안]]


|로고 = koreanairlogo.jpg
== 활동 지침 ==
|사진 = koreanaira380.jpg
# 타인을 존중합니다.
|사진설명 = [[A380]]
##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IATA = KE
== 저작권 관련 지침 ==
|ICAO = KAL
#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MWB = 180
#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리브레 위키:면책 조항|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콜사인 =Korean Air


|창립일 = [[1969년]] [[3월 1일]]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 ===
|해산일 =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260 (공항동)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동맹 = [[스카이팀]]
== 독립 문서 요건 지침 ==
|허브 = [[인천국제공항]]<br />[[김포국제공항]]
#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포커스 = [[김해국제공항]]<br />[[제주국제공항]]
##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기체 = 171
##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취항지 = 127


|웹사이트 = https://kr.koreanair.com
=== 리브레 시리즈 ===
}}
#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인용문|'''Excellence in Flight, Korean Air'''<br />(탁월한 탑승경험<ref>in Flight라는 어구가 여기선 '운항중'이라는 뜻으로 쓰인다.</ref>, 대한항공)<br />}}
#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개요==
== 문서 제목 지침 ==
'''대한항공'''(大韓航空, Korean Air)은 [[대한민국]]의 [[플래그 캐리어]]인 [[항공사]]이며, 항공 동맹 중 하나인 [[스카이팀]]의 창설 회원사이다. [[허브 공항]]은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이다. 경쟁상대로는 [[아시아나항공]](스타 얼라이언스)있다.
#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 넘겨주기 문서에는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del>옛적에는 거하게 날려먹은 적이 있지만</del> '''15년 넘게 인명사고 없이 운영되는 우수 항공사이다.''' <s>그렇지만 [[땅콩]] 항공... 아니, [[마카다미아]] 항공</s>
== 동음이의 문서 지침 ==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대한항공의 자회사 중에는 [[LCC]]<s>물컵항공</s> [[진에어]]가 있으며, 일부 가성비가 맞지 않는 대한항공의 항공편을 넘겨주어 굴리고 있다.
=== 동음이의 허브 문서 ===
<pre><nowiki>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초 (시간)|초]]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 (각도)|초]]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나라]]
* [[식초]]의 줄임말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음이의}}
</nowiki></pre>
#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 문서 하단에는 {{틀|동음이의}}를 답니다.
##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대한항공은 초창기 동북아 쩌리 시절에 도움을 많이 받은 [[일본항공]], 스얼에 못 들어가서 부들부들 할 때 손을 잡아준 [[에어 프랑스]]와 절친이다. 에어 프랑스와는 전 노선 무제한 코드셰어를 실시하고 있고, 일항은 항공 동맹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부 마일리지 교차 적립이 된다. 생각보다 [[델타항공]]과는 관계가 좋아진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이 외에는 주로 대한항공이 여러 모로 도와주고 스카이팀 가입도 적극적으로 푸쉬해준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베트남 항공]] 등과 관계가 각별하다.
== 문서 내용 지침 ==
#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ref>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f>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 출처 표기 ===
전신은 대한항공공사라는 국영기업이었다. 그러나 대한항공공사의 경영실적은 좋지 않아 당시 화폐기준으로 20억원이 훨씬 넘는 순부채를 갖고 있었다. 이처럼 경영사정도 안 좋은 데다가 몇 번의 해외순방에서 늘 해외항공사의 신세를 졌던 당시 대통령 박정희는 제대로 된 국적항공사의 필요성을 느껴, 당시 한진상사의 조중훈 사장을 불러 인수를 제의, 이에 한진상사가 이를 받아들여 [[1969년#3월|1969년 3월]] 대한항공으로 출범하게 된다.
#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보유기종==
=== 소수설 ===
#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 독자 연구 ===
#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취항지==
=== 성인물 ===
=== 국내선 ===
#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 서울 [[인천국제공항]] (국제선 허브) &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허브)
#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 부산 [[김해국제공항]], 대구 [[대구국제공항]]
* 제주 [[제주국제공항]], 청주 [[청주국제공항]]
* [[광주공항]], [[군산공항]], 여수([[순천공항]]), [[울산공항]], [[원주공항]], 진주([[사천공항]]), [[포항공항]]


=== 국제선 (중국/일본) ===
{{각주}}
* 중국 노선 (화북지방 / 북경, 산동, 길림)
{{리브레 위키}}
** 베이징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톈진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 칭다오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정저우 [[정저우 신정 국제공항]], 옌타이 [[옌타이 펑라이 국제공항]], 지난 [[지난 야오창 공항]], 웨이하이 [[웨이하이 공항]]
** 선양 [[선양 타오셴 국제공항]], 다롄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옌지 [[옌지 차오양촨 공항]], 무단장 [[무단장 하이랑 공항]]


* 중국 노선 (화중지방 / 상해, 항주, 남경, 서안(장안) 등)
[[분류:리브레 위키의 정책]] [[분류:봇 활동에서 예외로 둔 문서]]
** 상하이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항저우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 난징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 허페이 [[허페이 신차오 국제공항]], 우한 [[우한 톈허 국제공항]], 창사 [[창사 황화 국제공항]], 황산 [[황산 룬시 국제공항]]
** 시안 [[시안 센양 국제공항]], 구이양 [[구이양 롱동바오 국제공항]], 우루무치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
 
* 중국 노선 (화남지방 / 광동, 광서, 복건, 운남)
** 광저우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선전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 샤먼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쿤밍 [[쿤밍 창슈이 국제공항]], 난닝 [[난닝 우수 국제공항]]
 
* 중화 노선
** 홍콩 [[홍콩 국제공항]], 마카오 [[마카오 국제공항]],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
 
* 일본 주요 노선
** 도쿄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국제공항]],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나고야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 홋카이도 삿포로 [[신치토세 공항]], 큐슈 후쿠오카 [[후쿠오카 공항]], 오키나와 [[나하 공항]]
 
* 일본 지방 노선
** (혼슈 동해방면) 코마츠 [[고마쓰 공항]], 니가타 [[니가타 공항]]
** (혼슈 태평양방면) 오카야마 [[오카야마 공항]], 시즈오카 [[시즈오카 공항]], 아오모리 [[아오모리 공항]]
** (큐슈) 오이타 [[오이타 공항]], 가고시마 [[가고시마 공항]]
 
=== 국제선 (아시아) ===
* 동남아시아 노선
** 필리핀 마닐라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앙헬레스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국제공항]], 세부 [[막탄 세부 국제공항]]
**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냐짱(나트랑) [[깜라인 국제공항]], 다낭 [[다낭 국제공항]], 호치민 [[떤썬녓 국제공항]]
** 캄보디아 프놈펜 [[프놈펜 국제공항]]
**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치앙마이 [[치앙마이 국제공항]], 푸켓 [[푸껫 국제공항]]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보르네오 섬 코타키나발루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 싱가포르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발리 섬 덴파사르 [[응우라라이 국제공항]]
** 미얀마 양곤 [[양곤 국제공항]]
 
* 중부, 남부, 서부아시아 노선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타슈켄트 국제공항]]
** 네팔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
** 인도 델리(뉴델리)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뭄바이 [[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
** 몰디브 말레 [[말레 국제공항]], 스리랑카 콜롬보 [[반다라나이케 국제공항]]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두바이 국제공항]], 이스라엘 텔아비브 [[벤구리온 국제공항]]
 
=== 국제선 (유럽) ===
* 영국 런던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프랑스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프랑스(뮐루즈)/독일(프라이부르크)/스위스(바젤) [[바젤 뮐루즈 프라이부르크 공항]]<ref>단, 스위스 측으로는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다.</ref>
* 스위스 취리히 [[취리히 국제공항]]
* 독일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오스트리아 빈 [[빈 국제공항]]
* 체코 프라하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
* 스페인 마드리드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국제공항]]
* 이탈리아 피우미치노(로마) [[로마 피우미치노 국제공항]](=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밀라노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
* 터키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러시아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상트페테르부르크 [[풀코보 국제공항]], 이르쿠츠크 [[이르쿠츠크 국제공항]],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 국제선 (미주/태평양) ===
* 캐나다/미국 노선
** 밴쿠버 [[밴쿠버 국제공항]], 토론토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 뉴욕 [[뉴욕 존 에프 케네디 국제공항]], 시카고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워싱턴 D.C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 애틀란타 [[하츠필드 잭슨 애틀란타 국제공항]]
** 시애틀 [[시애틀 터코마 국제공항]]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네바다 라스베가스 [[매캐런 국제공항]]
** 텍사스 댈러스 [[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
** 호놀룰루 [[대니얼 케이 이노우에 국제공항]] (구, [[호놀룰루 국제공항]])
 
* <s>중남미 노선</s> (※화물편 밖에 없다.)
 
* 태평양 노선
**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시드니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국제공항]], 브리즈번 [[브리즈번 공항]]
** 뉴질랜드 오클랜드 [[오클랜드 국제공항]]
** 피지 난디 [[난디 국제공항]], 괌 [[앤토니오 비 원 팻 국제공항]], 팔라우 [[팔라우 국제공항]]
 
== 사건사고 ==
한때 대한항공은 사고가 잦아서 중화항공과 함께 타지 말아야할 위험한 항공사 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2000년대 들어서 인명사고가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
* [[대한항공 642편 추락 사고]]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대한항공 015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소련 공역을 침범한 007편이 소련 전투기에게 격추당한 사건.
* [[대한항공 084편 공중충돌 사고]]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 북한 공작원에 의해 폭발 테러 피해를 입은 사건이라고 알려져 있다. 블랙박스는 인양되지 않았다.
*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 [[대한항공 175편 추락 사고]]
* [[대한항공 376편 불시착 사고]]
*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악천후와 장비 고장 속에서 무리한 착륙을 강행하다가 인근 야산에 추락한 사고.
*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대한항공 15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대한항공 036편 니어미스 사건]]
*: 이륙 도중 중국국제항공 화물기와 니어미스한 사건. 중국국제항공 화물기가 조종 미숙으로 활주로에 들어선 것이 원인이다.
* [[대한항공 6316편 추락 사고]]
*: 중국 특유의 규칙으로 인해 조종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착륙 도중 실속으로 추락한 사고.
*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
*: 계기와 부기장, 기관사의 경고를 무시하고 기장이 비행을 강행하다가 이륙 실패로 추락한 사고.
* [[대한항공 085편 납치 오인사건]]
*: [[9.11 테러]] 당일 조종사의 영어 실력 부족으로 장치를 오작동하여 납치로 오인받은 사건.
* [[대한항공 769편 활주로 이탈 사건]]
*: 저시정 환경에서 착륙하다가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에 착륙한 사건.
* [[대한항공 76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니가타 공항 착륙 도중 제동 실패로 활주로를 15m 오버런한 사고.
* [[대한항공 086편 이륙지연 사건]](땅콩 회항)
*: 오너 일가가 승무원에게 [[갑질]]을 하며 승무원의 총 책임자인 사무장을 강제 하기시킨 사건.
* [[대한항공 023편 기내난동 사건]]
* [[대한항공 2708편 화재 사고]]
*: 이륙 도중 좌측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고. 이륙은 즉시 중단되었고 부상자는 없다.
* 김포공항 지상 충돌 사고
*: 토잉 중 대한항공 HL7764(B777)의 동체 후미를 HL8286(A330)의 윙렛이 썰어버린 사고. 인명 피해는 없으나 토잉카로 토잉 중 발생한 접촉사고라서 서로 책임 소재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HL7764는 사고난 HL7496처럼, HL8286은 HL7742처럼 해체 될 것 이라고 예상되지만 현재는 복귀하였다.
== 둘러보기 ==
{{스카이팀}}
{{대한민국의 항공산업}}
 
[[분류:대한항공| ]]
[[분류:1969년 설립]]

2024년 1월 26일 (금) 15:08 기준 최신판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활동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타인을 존중합니다.
    1.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2.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2.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3.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저작권 관련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1.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2.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3.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독립 문서 요건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2.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리브레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2.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문서 제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2.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3.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5. 넘겨주기 문서에는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동음이의 문서 지침[편집 | 원본 편집]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2.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3.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4.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2.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3.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4.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동음이의 허브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초 (시간)|초]]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 (각도)|초]]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나라]]
* [[식초]]의 줄임말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음이의}}
  1.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1. 문서 하단에는 {{동음이의}}를 답니다.
    2.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문서 내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1]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2.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3.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4.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 표기[편집 | 원본 편집]

  1.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2.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소수설[편집 | 원본 편집]

  1.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독자 연구[편집 | 원본 편집]

  1.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2.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성인물[편집 | 원본 편집]

  1.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2.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각주

  1. 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