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단체 정보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 이름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로고          = 국제해사기구.gif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로고크기        =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그림          =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방:|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 크기          =
** [[리브레 위키:편집지침/합의안]]
| 설명          =
| 지도 그림      =
| 지도 그림 설명 =
| 약칭          = IMO
| 표어          =
| 결성          = 1948년 3월 17일
| 해산          =
| 유형          = IGO
| 이념          =
| 형태          = 국제연합 산하 전문기구
| 목적          = 공해상의 안전 운항 도모
| 본부          = 영국 런던
| 위치          =
| 활동지역      = 전세계
| 회원          =
| 언어          =
| 설립자        =
| 현재수장      =
| 수장명칭1      = 사무총장
| 초대수장1      =
| 현재수장1      = 임기택(2016~2023)
| 주요기관      =
| 모기관        = 국제연합
| 제휴기관      =
| 활동 인원        =
| 예산          =
| 웹사이트      = [http://imo.org 홈페이지]<br />[http://imokorea.org 한국어 소식(한국해사안전국제협력센터)]
| 기타사항      =
}}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ne Organization;IMO)는 [[UN]] 산하의 전문기구로 해운과 선박에 관련한 사항 전반과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선박으로부터의 해양오염 방지를 책임지는 국제기구이다. 즉 해운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모두 다루는 기구라 할 수 있다.
== 활동 지침 ==
# 타인을 존중합니다.
##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역사==
== 저작권 관련 지침 ==
기원전 5000년전부터 선박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해운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공해상의 해운을 공통적으로 통제하는 기구는 부재했었다. UN 소위원회에서 부분적으로 담당했지만 [[타이타닉호 사고]] 이후에 뒤늦게 “해상에서의 인명 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을 채택하는 등 체계적인 시스템의 필요성이 수표면 위로 떠올랐다.
#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1948년 국제연합해사회의에서 “국제해사기구 설치에 관한 협약” 채택
#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리브레 위키:면책 조항|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 1958년 일본 가입을 마지막으로 배수량 100만톤 이상 소유국 7개국을 만족하여 IMO협약 발효
* 1959년 “정부간 해사자문기구(IMCO)” 제1회 총회 개최
* 1982년 “국제해사기구”로 명칭 변경


==조직==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 ===
* 총회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 회원국이 모두 모여 안건을 결정하는 회담의 장...인데, 참여자가 너무 많고, 횟수도 2년에 한번이라 이사회에서 올라온 안건을 처리하는 거수기에 가깝다. 다만 사무총장이나 이사회에서 임시총회를 소집할 있다.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 이사회
#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 IMO의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구로, 총회에서 총 40개국이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이사회의 면면을 보면 배 많이 띄우는 해운 10개국(A그룹), 배 많이 쓰는 화주 10개국(B그룹), 기타 지역대표 20개국(C그룹)으로 구성된다. 이사회의 업무는 사무국에서 보조한다.
#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 이사국의 순환이 정체되는 것은 IMO 초기부터 논란이 되어 왔으며, 16개국이었던 이사국은 정관 개정을 여러번 거쳐 40개국까지 늘어났다. 그럼에도 순환이 잘 되는 편은 아니어서 대한민국의 경우 C그룹에서 5연임, A그룹에서 10연임하여 30년째 이사국으로 재임하고 있는 상황이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91129156800003 한국, 국제해사기구 최상위 이사국 10연속 진출], 연합뉴스, 2019.11.29.</ref>. A, B그룹의 경우 너무 정체가 심해서 간혹 A·B그룹에서 C그룹으로 누가 내려갈 때만 다른 국가가 잠깐 합류하는 정도에 그친다. C그룹도 고이기는 마찬가지라서 몇몇 자리만 순환되고 나머지는 익숙한 얼굴들이다.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이사국 목록(2020-2021)<ref>[http://www.mof.go.kr/iframe/article/view.do?articleKey=28043&boardKey=10&menuKey=376&currentPageNo=1 한국, 국제해사기구(IMO) 최상위 A그룹 이사국 10연속 진출], 해양수산부, 2019.12.02.</ref>
|-
! A그릅
| 대한민국, 일본, 중국, 이태리, 그리스, 영국, 미국, 파나마, 러시아, 노르웨이
|-
! B그룹
| 호주,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인도, 캐나다, 네덜란드, UAE, 브라질, 아르헨티나
|-
! C그룹
| 싱가포르, 몰타, 말레이시아, 사이프러스, 인도네시아, 바하마, 남아공, 멕시코, 칠레, <br />벨기에, 이집트, 페루, 모로코, 덴마크, 터키, 태국, 자메이카, 필리핀, 쿠웨이트, 케냐
|}


* 소위원회
== 독립 문서 요건 지침 ==
*: 이사회 밑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기구로, 5개 소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에 전문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젝트 단위로 작업반이 구성되어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한다.
#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해사안전위원회(MSC)
##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 법률위원회(LEG)
** 기술협력위원회(TC)
** 해상교통간소화위원회(FAL)


==업무==
=== 리브레 시리즈 ===
* [[국제해사협약]]의 준수여부 감시
#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 SOLAS 및 SAR 등에 따른 인명구조 정보공유 및 안전 감시
#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 LL 및 COLREG 등에 따른 선체안전 정보공유 및 감시
* MARPOL 및 런던 협약 등에 따른 해양오염 감시
* STCW에 따른 선원교육 정보공유


==회원국==
== 문서 제목 지침 ==
* 회원국 (174개국)
#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IMO의 골격인 국제해사협약을 비준한 국가들을 가리켜 회원국이라 한다. ‘바다는 모두의 것’이라는 사상에 입각해 내륙국도 회원국이 될 수 있다.
##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 국명 || 비준년도
#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 국명 || 비준년도
#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국명 || 비준년도
#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
# 넘겨주기 문서에는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캐나다]] || style=text-align:center;| 1948
 
| [[네덜란드]] || style=text-align:center;| 1949
== 동음이의 문서 지침 ==
| [[영국]] || style=text-align:center;| 1949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
#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 style=text-align:center;| 1950
##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 [[아일란드]] || style=text-align:center;| 1951
##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 [[미얀마]] || style=text-align:center;| 1951
##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
##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 [[벨기에]] || style=text-align:center;| 1951
#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 [[오스트레일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52
#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 [[프랑스]] || style=text-align:center;| 1952
#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
 
| [[이스라엘]] || style=text-align:center;| 1952
=== 동음이의 허브 문서 ===
| [[아르헨티나]] || style=text-align:center;| 1953
<pre><nowiki>
| [[도미니카 공화국]] || style=text-align:center;| 1953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 [[초 (시간)|]]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아이티]] || style=text-align:center;| 1953
* [[초 (각도)|]]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온두라스]] || style=text-align:center;| 1954
* [[초나라]]
| [[멕시코]] || style=text-align:center;| 1954
* [[식초]]의 줄임말
|-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 [[스위스]] || style=text-align:center;| 1955
{{동음이의}}
| [[에콰도르]] || style=text-align:center;| 1956
</nowiki></pre>
| [[이탈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57
#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
## 문서 하단에는 {{틀|동음이의}}를 답니다.
| [[이집트]] || style=text-align:center;| 1958
##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그리스]] || style=text-align:center;| 1958
##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 [[이란]] || style=text-align:center;| 1958
 
|-
== 문서 내용 지침 ==
| [[일본]] || style=text-align:center;| 1958
#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ref>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f>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 [[노르웨이]] || style=text-align:center;| 1958
#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 [[파키스탄]] || style=text-align:center;| 1958
#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
#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파나마]] || style=text-align:center;| 1958
 
| [[러시아]] || style=text-align:center;| 1958
=== 출처 표기 ===
| [[터키]] || style=text-align:center;| 1958
#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
#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 [[덴마크]] || style=text-align:center;| 1959
 
| [[핀란드]] || style=text-align:center;| 1959
=== 소수설 ===
| [[독일]] || style=text-align:center;| 1959
#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
 
| [[가나]] || style=text-align:center;| 1959
=== 독자 연구 ===
| [[인도]] || style=text-align:center;| 1959
#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 [[라이베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59
#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
 
| [[스웨덴]] || style=text-align:center;| 1959
=== 성인물 ===
| [[불가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60
#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 [[코트디부아르]] || style=text-align:center;| 1960
#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
| [[아이슬란드]] || style=text-align:center;| 1960
| [[쿠웨이트]] || style=text-align:center;| 1960
| [[뉴질랜드]] || style=text-align:center;| 1960
|-
| [[폴란드]] || style=text-align:center;| 1960
| [[세네갈]] || style=text-align:center;| 1960
| [[캄보디아]] || style=text-align:center;| 1961
|-
| [[카메룬]] || style=text-align:center;| 1961
| [[인도네시아]] || style=text-align:center;| 1961
| [[마다가스카]] || style=text-align:center;| 1961
|-
| [[모리타니]] || style=text-align:center;| 1961
| [[모로코]] || style=text-align:center;| 1962
| [[나이지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62
|-
| [[대한민국]] || style=text-align:center;| 1962
| [[스페인]] || style=text-align:center;| 1962
| [[알제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63
|-
| [[브라질]] || style=text-align:center;| 1963
| [[시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63
| [[튀니지]] || style=text-align:center;| 1963
|-
| [[필리핀]] || style=text-align:center;| 1964
| [[루마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65
| [[트리니다드 토바고]] || style=text-align:center;| 1965
|-
| [[쿠바]] || style=text-align:center;| 1966
| [[레바논]] || style=text-align:center;| 1966
| [[몰타]] || style=text-align:center;| 1966
|-
| [[싱가포르]] || style=text-align:center;| 1966
| [[몰디브]] || style=text-align:center;| 1967
| [[페루]] || style=text-align:center;| 1968
|-
| [[우루과이]] || style=text-align:center;| 1968
| [[사우디아라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69
| [[바베이도스]] || style=text-align:center;| 1970
|-
| [[헝가리]] || style=text-align:center;| 1970
| [[리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70
| [[말레이시아]] || style=text-align:center;| 1971
|-
| [[칠레]] || style=text-align:center;| 1972
| [[적도 기니]] || style=text-align:center;| 1972
| [[스리랑카]] || style=text-align:center;| 1972
|-
| [[중국]] || style=text-align:center;| 1973
| [[키프로스]] || style=text-align:center;| 1973
| [[콩고 민주 공화국]] || style=text-align:center;| 1973
|-
| [[이라크]] || style=text-align:center;| 1973
| [[요르단]] || style=text-align:center;| 1973
| [[케냐]] || style=text-align:center;| 1973
|-
| [[시에라리온]] || style=text-align:center;| 1973
| [[태국]] || style=text-align:center;| 1973
| [[콜롬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74
|-
| [[오만]] || style=text-align:center;| 1974
| [[수단]] || style=text-align:center;| 1974
| [[탄자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74
|-
| [[오스트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75
| [[콩고 공화국]] || style=text-align:center;| 1975
| [[에티오피아]] || style=text-align:center;| 1975
|-
| [[기니]] || style=text-align:center;| 1975
| [[베네수엘라]] || style=text-align:center;| 1975
| [[바하마]] || style=text-align:center;| 1976
|-
| [[바레인]] || style=text-align:center;| 1976
| [[방글라데시]] || style=text-align:center;| 1976
| [[카보베르데]] || style=text-align:center;| 1976
|-
| [[가봉]] || style=text-align:center;| 1976
| [[자메이카]] || style=text-align:center;| 1976
| [[파푸아뉴기니]] || style=text-align:center;| 1976
|-
| [[포르투갈]] || style=text-align:center;| 1976
| [[수리남]] || style=text-align:center;| 1976
| [[앙골라]] || style=text-align:center;| 1977
|-
| [[기니비사우]] || style=text-align:center;| 1977
| [[카타르]] || style=text-align:center;| 1977
| [[모리셔스]] || style=text-align:center;| 1978
|-
| [[세이셸]] || style=text-align:center;| 1978
| [[소말리아]] || style=text-align:center;| 1978
| [[지부티]] || style=text-align:center;| 1979
|-
| [[도미니카 연방]] || style=text-align:center;| 1979
| [[감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79
| [[모잠비크]] || style=text-align:center;| 1979
|-
| [[네팔]] || style=text-align:center;| 1979
| [[예멘]] || style=text-align:center;| 1979
| [[베냉]] || style=text-align:center;| 1980
|-
| [[가이아나]] || style=text-align:center;| 1980
| [[세인트루시아]] || style=text-align:center;| 1980
| [[UAE]] || style=text-align:center;| 1980
|-
| [[코스타리카]] || style=text-align:center;| 1981
| [[엘살바도르]] || style=text-align:center;| 1981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style=text-align:center;| 1981
|-
| [[니카라과]] || style=text-align:center;| 1982
| [[피지]] || style=text-align:center;| 1983
| [[과테말라]] || style=text-align:center;| 1983
|-
| [[토고]] || style=text-align:center;| 1983
| [[브루나이]] || style=text-align:center;| 1984
| [[베트남]] || style=text-align:center;| 1984
|-
| [[앤티가 바부다]] || style=text-align:center;| 1986
| [[북한]] || style=text-align:center;| 1986
| [[바누아투]] || style=text-align:center;| 1986
|-
| [[볼리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87
| [[솔로몬 제도]] || style=text-align:center;| 1988
| [[말라위]] || style=text-align:center;| 1989
|-
| [[모나코]] || style=text-align:center;| 1989
| [[벨리즈]] || style=text-align:center;| 1990
| [[상투메 프린시페]] || style=text-align:center;| 1990
|-
| [[룩셈부르크]] || style=text-align:center;| 1991
| [[크로아티아]] || style=text-align:center;| 1992
| [[에스토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2
|-
| [[알바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style=text-align:center;| 1993
| [[체코]] || style=text-align:center;| 1993
|-
| [[에리트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조지아 (나라)|조지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라트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 [[파라과이]] || style=text-align:center;| 1993
| [[슬로바키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슬로베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 [[북마케도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투르크메니스탄]] || style=text-align:center;| 1993
| [[카자흐스탄]] || style=text-align:center;| 1994
|-
| [[나미비아]] || style=text-align:center;| 1994
| [[우크라이나]] || style=text-align:center;| 1994
| [[아제르바이잔]] || style=text-align:center;| 1995
|-
| [[리투아니아]] || style=text-align:center;| 199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style=text-align:center;| 1995
| [[몽골]] || style=text-align:center;| 1996
|-
| [[사모아]] || style=text-align:center;| 1996
| [[그레나다]] || style=text-align:center;| 1998
| [[마셜 제도]] || style=text-align:center;| 1998
|-
| [[세르비아]] || style=text-align:center;| 2000
| [[통가]] || style=text-align:center;| 2000
| [[코모로]] || style=text-align:center;| 2001
|-
| [[몰도바]] || style=text-align:center;| 2001
| [[세인트키츠 네비스]] || style=text-align:center;| 2001
| [[산마리노]] || style=text-align:center;| 2002
|-
| [[키리바시]] || style=text-align:center;| 2003
| [[투발루]] || style=text-align:center;| 2004
| [[동티모르]] || style=text-align:center;| 2005
|-
| [[짐바브웨]] || style=text-align:center;| 2005
| [[몬테네그로]] || style=text-align:center;| 2006
| [[쿡 제도]] || style=text-align:center;| 2008
|-
| [[우간다]] || style=text-align:center;| 2009
| [[팔라우]] || style=text-align:center;| 2011
| [[잠비아]] || style=text-align:center;| 2014
|-
| [[벨라루스]] || style=text-align:center;| 2016
| [[아르메니아]] || style=text-align:center;| 2018
| [[나우루]] || style=text-align:center;| 2018
|-
|}


* 준회원국
*: 회원국의 통치령은 소속 회원국의 통보에 의해 준회원국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옵저버에 해당하며 총회 투표권이나 이사회 피선거권이 없지만 부담금은 동등하게 낸다.
** 마카오 (중국령) - 1967년 가입
** 홍콩 (중국령) - 1990년 가입
** 페로 제도 (덴마크령) - 2002년 가입
{{각주}}
{{각주}}
{{유엔}}
{{리브레 위키}}
[[분류:국제기구]]
 
[[분류:1948년 설립]]
[[분류:리브레 위키의 정책]] [[분류:봇 활동에서 예외로 둔 문서]]
[[분류:바다]]
[[분류:영국]]
[[분류:유엔]]

2024년 1월 26일 (금) 15:08 기준 최신판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활동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타인을 존중합니다.
    1.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2.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2.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3.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저작권 관련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1.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2.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3.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독립 문서 요건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2.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리브레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2.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문서 제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2.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3.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5. 넘겨주기 문서에는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동음이의 문서 지침[편집 | 원본 편집]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2.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3.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4.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2.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3.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4.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동음이의 허브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초 (시간)|초]]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 (각도)|초]]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나라]]
* [[식초]]의 줄임말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음이의}}
  1.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1. 문서 하단에는 {{동음이의}}를 답니다.
    2.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문서 내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1]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2.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3.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4.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 표기[편집 | 원본 편집]

  1.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2.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소수설[편집 | 원본 편집]

  1.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독자 연구[편집 | 원본 편집]

  1.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2.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성인물[편집 | 원본 편집]

  1.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2.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각주

  1. 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