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세이 전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게이세이 전철 주식회사(京成電鉄株式会社).
{{법인 정보
|법인이름 = 게이세이 전철
|원어이름 = 京成電鉄
|로고    =
|그림    =
|그림설명 =
|법인종류 = [[주식회사]]
|주식코드 =
|분야    =
|창립자  =
|창립일  = [[1909년]] [[6월 30일]]
|해산일  =
|이전회사 =
|이후회사 =
|본사    = [[지바현]] [[이치카와시]] 야와타 3초메 3번 1호
|지사수  =
|인물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주주    =
|모회사  =
|자회사  =
|종업원  =
|웹사이트 = http://www.keisei.co.jp/
|비고    =
}}


도쿄(東'''''')와 나리타('''成'''田)에서 따서 이름을 지은 일본의 철도회사다. 한국식으로 말하면 경인 전철인 셈. 차가 구질구질하기로 유명하다.
{{인용문|<sub>여러 미소를 엮고 싶은 케이세이 그룹</sub><br /><big>'''いろんな笑顔を結びたい 京成グループ'''</big>}}
{{youtube|KN_Huj51bI0|center|2021년도 '스카이라이너' 홍보 영상}}


일본으로 여행을 가게 되면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게이세이를 만나볼 수 있다.
도쿄(東'''京''')와 나리타('''成'''田)에서 따서 이름을 지은 일본의 철도회사.  [[대형 사철]] 중 하나로써 본사는 [[지바현]] [[이치카와시]]에 위치한다.
 
회사가 대형 사철들 중 가장 가난해서 그런지 [[1990년]]대 이전의 차량들은 구질구질한 편이다. 그나마 자회사인 오리엔탈 랜드가 [[디즈니랜드]] 운영 수익으로 충당하고 있다 카더라.
 
참고로 원래는 [[게이오 전철]]과 같이 1372mm 궤간을 쓰고 있었으나 [[1959년]] [[표준궤]]로 개궤했다.
 
== 공항철도 ==
원래 나리타 신칸센으로 예정되었던 부지를 인수하고 나리타 공항선을 지어서 [[나리타 국제공항]] 개항 이후 [[공항철도]] 역할을 하게 되었다.
[[JR 히가시니혼]]의 유료 특급<ref>해당 목적지까지의 운임 외에 좌석 및 서비스 요금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특급</ref>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도쿄역]]까지 60분이 걸리지만 게이세이의 유료 특급 스카이 라이너는 [[야마노테선]] 상의 [[닛포리역]]까지 40분, 도쿄의 주요 교통 요지인 [[우에노역]]까지 50분이 걸리며, 무료 특급<ref>목적지까지의 운임 외의 추가요금이 필요하지 않은 특급. 예)경인선, 경부선 급행</ref>인 엑세스 특급이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절반 이하 요금으로 야마노테선상의 도쿄역 인근 [[신바시역]]까지 70분, [[시나가와역]]까지 80분, 게이세이 본선 특급<ref>공항선(자회사인 호쿠소 철도 소유)이 아닌 게이세이 소유의 기존 선로를 통해 운행하는 특급. 엑세스 특급보다 공항선 추가요금 180엔만큼 저렴하다.</ref>이 우에노역까지 스카이라이너의 1/3 요금으로 80분이 걸린다.
 
이렇게 되면 게이세이가 JR을 압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겠으나, 유료 특급끼리의 경쟁에서는 [[환승저항]]이 큰 게이세이에 비해<ref>스카이라이너의 경우 도쿄 시내에서는 닛포리와 우에노 외에는 정차역이 없다. 도쿄 교외 출발의 경우 무조건 이 두역으로 와서 '''역을 바꿔야 한다.'''</ref> 광범위한 수도권 노선망을 활용할 있어 비교적 환승저항이 덜한<ref>나리타 익스프레스 자체의 종점은 도쿄 북부의 터미널 이케부쿠로역, 요코하마 너머의 오후나역, 그리고 일부 편성 한정 서부 교외의 타카오역이나, 해당 역까지 JR노선을 타고 와서 '''플랫폼간 이동만으로 바로 환승이 가능하다.'''</ref>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앞서고 있다. 무료 특급의 경우 소요시간과 요금 모두 압도적으로 우세한 게이세이가 압도적이다.<ref>나리타 익스프레스와 같은 노선을 달리는 JR의 무료 특급 에어포트 쾌속은 게이세이 본선 특급의 2배의 운임에 도쿄역까지 2시간이 걸린다</ref>
 
== 차량 ==
1990년대 이전에는 회사가 돈이 쪼들려서 그런지 천편일률적인 외형이었다(...).


== 노선 목록 ==
== 노선 목록 ==
=== 게이세이 전철 본선 ===
*[[게이세이 본선|본선]]
* [[게이세이 우에노역|우에노역]] (京成上野駅)
*[[히가시나리타선]]
* [[닛포리역]] (日暮里駅)
*[[오시아게선]]
* [[신미카와시마역]] (新三河島駅)
*[[카나마치선]]
* [[마치야역]] (町屋駅)
*[[지바선]]
* [[센주오하시역]] (千住大橋駅)
*[[치하라선]]
* [[게이세이 세키야역|세키야역]] (京成関屋駅)
*[[나리타 공항선]]
* [[호리키리쇼부엔역]] (堀切菖蒲園駅)
 
* [[오하나자야역]] (お花茶屋駅)
* [[아오토역]] (青砥駅)
* [[게이세이 다카사고역|다카사고역]] (京成高砂駅)
* [[게이세이 고이와역|고이와역]] (京成小岩駅)
* [[에도가와역]] (江戸川駅)
* [[고노다이역]] (国府台駅)
* [[이치카와마마역]] (市川真間駅)
* [[스가노역]] (菅野駅)
* [[게이세이 야와타역|야와타역]] (京成八幡駅)
* [[오니고에역]] (鬼越駅)
* [[게이세이 나카야마역|나카야마역]] (京成中山駅)
* [[히가시나카야마역]] (東中山駅)
* [[게이세이 니시후나역|니시후나역]] (京成西船駅)
* [[가이진역]] (海神駅)
* [[게이세이 후나바시역|후나바시역]] (京成船橋駅)
* [[다이진구시타역]] (大神宮下駅)
* [[후나바시케이바조역]] (船橋競馬場駅)
* [[야쓰역]] (谷津駅)
* [[게이세이 쓰다누마역|쓰다누마역]] (京成津田沼駅)
* [[게이세이 오쿠보역|오쿠보역]] (京成大久保駅)
* [[미모미역]] (実籾駅)
* [[야치요다이역]] (八千代台駅)
* [[게이세이 오와다역|오와다역]] (京成大和田駅)
* [[가쓰타다이역]] (勝田台駅)
* [[시즈역]] (志津駅)
* [[유카리가오카역]] (ユーカリが丘駅)
* [[게이세이 우스이역|우사이역]] (京成臼井駅)
* [[게이세이 사쿠라역|사쿠라역]] (京成佐倉駅)
* [[오사쿠라역]] (大佐倉駅)
* [[게이세이 시스이역|시스이역]] (京成酒々井駅)
* [[소고산도역]] (宗吾参道駅)
* [[고즈노모리역]] (公津の杜駅)
* [[게이세이 나리타역|나리타역]] (京成成田駅)
* [[나리타공항 제2·제3터미널역]] (空港第2ビル駅)
* [[나리타공항역]] (成田空港駅)


===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
{{각주}}
* [[게이세이 다카사고역|다카사고역]] (京成高砂駅)
* [[히가시마쓰도역]] (東松戸駅)
* [[신카마가야역]] (新鎌ヶ谷駅)
* [[지바뉴타운추오역]] (千葉ニュータウン中央駅)
* [[인바니혼이다이역]] (印旛日本医大駅)
* [[나리타유카와역]] (成田湯川駅)
* [[나리타공항 제2·제3터미널역]] (空港第2ビル駅)
* [[나리타공항역]] (成田空港駅)


[[분류:일본의 철도]]
[[분류:게이세이 전철| ]]
[[분류:기업]]
[[분류:1909년 설립]]

2022년 5월 9일 (월) 23:16 기준 최신판

게이세이 전철
京成電鉄
법인 정보
종류 주식회사
창립 1909년 6월 30일
본사 지바현 이치카와시 야와타 3초메 3번 1호
웹사이트 http://www.keisei.co.jp/
여러 미소를 엮고 싶은 케이세이 그룹
いろんな笑顔を結びたい 京成グループ

도쿄(東)와 나리타(田)에서 따서 이름을 지은 일본의 철도회사. 대형 사철 중 하나로써 본사는 지바현 이치카와시에 위치한다.

회사가 대형 사철들 중 가장 가난해서 그런지 1990년대 이전의 차량들은 구질구질한 편이다. 그나마 자회사인 오리엔탈 랜드가 디즈니랜드 운영 수익으로 충당하고 있다 카더라.

참고로 원래는 게이오 전철과 같이 1372mm 궤간을 쓰고 있었으나 1959년 표준궤로 개궤했다.

공항철도[편집 | 원본 편집]

원래 나리타 신칸센으로 예정되었던 부지를 인수하고 나리타 공항선을 지어서 나리타 국제공항 개항 이후 공항철도 역할을 하게 되었다. JR 히가시니혼의 유료 특급[1] 나리타 익스프레스도쿄역까지 60분이 걸리지만 게이세이의 유료 특급 스카이 라이너는 야마노테선 상의 닛포리역까지 40분, 도쿄의 주요 교통 요지인 우에노역까지 50분이 걸리며, 무료 특급[2]인 엑세스 특급이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절반 이하 요금으로 야마노테선상의 도쿄역 인근 신바시역까지 70분, 시나가와역까지 80분, 게이세이 본선 특급[3]이 우에노역까지 스카이라이너의 1/3 요금으로 80분이 걸린다.

이렇게 되면 게이세이가 JR을 압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겠으나, 유료 특급끼리의 경쟁에서는 환승저항이 큰 게이세이에 비해[4] 광범위한 수도권 노선망을 활용할 수 있어 비교적 환승저항이 덜한[5]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앞서고 있다. 무료 특급의 경우 소요시간과 요금 모두 압도적으로 우세한 게이세이가 압도적이다.[6]

차량[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 이전에는 회사가 돈이 쪼들려서 그런지 천편일률적인 외형이었다(...).

노선 목록[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해당 목적지까지의 운임 외에 좌석 및 서비스 요금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특급
  2. 목적지까지의 운임 외의 추가요금이 필요하지 않은 특급. 예)경인선, 경부선 급행
  3. 공항선(자회사인 호쿠소 철도 소유)이 아닌 게이세이 소유의 기존 선로를 통해 운행하는 특급. 엑세스 특급보다 공항선 추가요금 180엔만큼 저렴하다.
  4. 스카이라이너의 경우 도쿄 시내에서는 닛포리와 우에노 외에는 정차역이 없다. 도쿄 교외 출발의 경우 무조건 이 두역으로 와서 역을 바꿔야 한다.
  5. 나리타 익스프레스 자체의 종점은 도쿄 북부의 터미널 이케부쿠로역, 요코하마 너머의 오후나역, 그리고 일부 편성 한정 서부 교외의 타카오역이나, 해당 역까지 JR노선을 타고 와서 플랫폼간 이동만으로 바로 환승이 가능하다.
  6. 나리타 익스프레스와 같은 노선을 달리는 JR의 무료 특급 에어포트 쾌속은 게이세이 본선 특급의 2배의 운임에 도쿄역까지 2시간이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