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섬 정보' 표준화 v1.0)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신비의 섬 울릉도'''</big>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용자:Pika/대체용 틀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섬이름      = 울릉도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원어이름    =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림        = [[파일:울릉도지도.jpg|150px]]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방:|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그림설명    = 울릉도 지도
** [[리브레 위키:편집지침/합의안]]
|위치        =
|군도        =
|국가        = {{나라|대한민국}}
|행정구역    = [[경상북도]] [[울릉군]]
|영유권      =
|면적        = 72.86 km
|인구        = 8,490명
|시간대      = [[한국 표준시|KST]] ([[UTC]]+9)
|비고        =
|하위 틀      =
}}


'''울릉도'''(鬱陵島)는 [[대한민국]] [[동해]]에 위치한 [[섬]]으로 대한민국의 도서 중 9번째로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며 울릉군의 거의 대부분 육지면적을 차지하는 본섬이라 할 있다. 울릉도는 화산섬으로, 약 140만 년 전부터 형성되어 불과 5천에서 6천 년 전까지도 화산 활동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약 87.4km 떨어져 있어, 맑은 날이면 울릉도에서 독도를 볼 수 있다.
== 활동 지침 ==
# 타인을 존중합니다.
##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있어야 합니다.
#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생성==
== 저작권 관련 지침 ==
해저 약2000m깊이에서 분화한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생성시기는 [[신생대]] 제3기와 4기 사이로 추정된다.
#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리브레 위키:면책 조항|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지리==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 ===
===지형===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울릉도는 동해상에 높이 솟은 화산체의 해수면 윗부분이 현재의 울릉도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 울릉도 화산체는 나리분지라 불리는 [[칼데라]] 내부에 알봉이라 불리는 중앙화구구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 둘레를 외륜산에 해당하는 산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을 가진 이중화산체이다. 울릉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성인봉(984m)을 비롯하여 미륵산, 초봉, 형제봉, 관모봉 등이 나리분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륜산에 해당한다.
#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해안선 일대는 단애가 형성되어 거의 평지가 없으며 천연적인 항구의 발달이 매우 어려운 모습이다. 섬 내에 평지는 나리분지와 알봉분지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칼데라의 지질이 전형적인 현무암질에 해당하는지라 울릉도 일대가 비가 자주 내리는 다우지임에도 불구하고 나리분지를 비롯한 섬 전역에 물이 고이는 곳 없이 바로 지하로 스며든 뒤 해안가 곳곳에서 용출한다. 전체적인 용출량이 풍부한 편이며 이 중 용출량이 가장 많은 북쪽 [[추산수력발전소|추산 지역]]에 2개의 [[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섬 내 전기의 상당량을 생산하고 있을 정도이다.
== 독립 문서 요건 지침 ==
#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기후===
=== 리브레 시리즈 ===
동해라는 꽤 큰 바다 한가운데 자리한 섬인지라 대한민국 본토에서는 보기 드문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연중 안개일수가 160일 이상, 강우일수도 150일 이상 되는 다우지인 습윤한 기후에 해당하며 연평균 기온은 12.4℃, 최난월 평균 기온은 24℃ 이하(23.6), 최한월 평균기온이 1℃(1.4)정도인 온난한 편에 해당한다.
#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1380mm정도이며 연중 고른 강수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겨울철에 눈이 상당히 많이 오는 다설지에 해당한다.
== 문서 제목 지침 ==
#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 넘겨주기 문서에는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대양 한가운데 있는 섬이라 바람이 잦은 편이며 서풍과 남풍계열의 풍향이 우세하며 연평균 풍속은 4.3m/s 정도이다.
== 동음이의 문서 지침 ==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대체로 한반도 남부지방으로 상륙한 [[태풍]]의 최종 경유지(?)이기도 하며 이런 이유로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이 지나갈 경우 거의 십중팔구 울릉도 인근을 거쳐가면서 한국에 대한 영향을 마무리짓는 지역이다. 남쪽의 [[제주도]]가 가장 먼저 태풍을 맞이하는 지역이라면 이쪽 울릉도는 가장 나중에 태풍을 보내주는 출구와 같은 지역이다.
=== 동음이의 허브 문서 ===
<pre><nowiki>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초 (시간)|초]]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 (각도)|초]]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나라]]
* [[식초]]의 줄임말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음이의}}
</nowiki></pre>
#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 문서 하단에는 {{틀|동음이의}}를 답니다.
##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식생==
== 문서 내용 지침 ==
#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ref>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f>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속도서==
=== 출처 표기 ===
울릉도 주변에는 총 44개의 부속도서가 있다. 이 중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섬은 다음의 3개 섬이며 나머지 도서는 [[암초]] 수준의 바위섬이다.
#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독도]]
#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관음도]]
 
*[[죽도 (울릉)|죽도]]
=== 소수설 ===
#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 독자 연구 ===
#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성인물 ===
#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각주}}
{{각주}}
[[분류:동해의 섬]]
{{리브레 위키}}
[[분류:경상북도의 섬]]
[[분류:울릉군]]


{{리브레 맵스 마커|37.49134616099328|130.85057573533973|6|울릉도}}
[[분류:리브레 위키의 정책]] [[분류:봇 활동에서 예외로 둔 문서]]

2024년 1월 26일 (금) 15:08 기준 최신판

  •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따라야 할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 편집지침은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편집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에는 개별 문서 토론을 통해서 그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다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은 분쟁 방지를 위하여 편집지침을 최대한 존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르지 않더라도 처벌을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문서를 근거로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편집 지침 추가나 개선에 관한 토론은 위키게시판에서 진행해주십시오.

활동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타인을 존중합니다.
    1. 타인의 편집을 존중합니다.
    2. 자신의 편집을 타인에게 납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2.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은 논문, 언론 보도자료와 같은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오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3. 기본적인 부분만 규정으로 정하고 나머지는 점차 추가해야 합니다.

저작권 관련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에서는 저작권이 소멸하였거나 저작자가 자유 이용을 선언한 자료(문서, 이미지 등)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저작자의 허락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올리는 것은 자유이나, 면책조항에 따라 전적으로 해당 자료를 등록한 사용자가 책임을 집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의 라이선스(CC BY-SA 3.0)와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라이선스가 다르다면 삭제됩니다.

  1. 다른 사이트에서 분기된 문서는 누구나 해당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나, 분기 이후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편집(오타 수정, 깨진 문법 수정 등 제외)이 없어야 합니다.
  2. 삭제 요청 이전에 해당 사용자는 그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 위한 문서 초안을 사용자 하위문서로 작성합니다.
  3. 삭제 요청 시 관리자는 문서 초안을 확인하여 분기 문서를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분기 문서를 삭제하고 새로 작성된 사용자 하위 문서를 옮겨 분기 문서를 대체합니다.

독립 문서 요건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아래에 해당하는 일반 문서 및 리브레 시리즈(넘겨주기 문서나 동음이의어 허브 문서는 제외)는 생성할 수 없으며, 생성 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분량이 400 바이트 미만
    2. 설정만 존재하는 창작물

리브레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시리즈와 일반 문서는 그 성격 차이를 명확히 합니다.
  2. 틀:리브레 시리즈에는 문서가 존재하는 시리즈만을 다룹니다.

문서 제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문서의 제목으로 삼을 명칭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정식 명칭, 학회에서 정한 명칭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2. 명칭이 외국어이면 발음을 한글로 옮기거나 적절히 번역합니다.
  3. 단, 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것보다 적절한 명칭이 있다면 토론을 통해 해당 명칭으로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다른 문서의 제목 또는 명칭과 겹친다면 동음이의 문서 지침을 적용합니다.
  5. 넘겨주기 문서에는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지만,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동음이의 문서 지침[편집 | 원본 편집]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에 적용되는 지침입니다.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음이의 문서: 제목으로 삼을 명칭이 같은 문서 또는 문서의 총체를 말합니다. 각 문서의 제목은 구분자에 의해 달라집니다.
    2. 동음이의 허브 문서: 동음이의 문서로의 링크를 모은 허브 문서를 말합니다.
    3. 구분자: 동음이의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명칭 뒤에 별도로 붙이는 문구를 말합니다. 형태는 ' (문구)'입니다.
    4. 주 문서: 제목에 구분자가 없는 동음이의 문서를 말합니다.
  2. 특정 동음이의 문서가 다루는 내용이 더 널리 알려지거나 더 중요하다면(즉, 우선순위가 높다면) 해당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그리고 동음이의 허브 문서의 구분자는 ' (동음이의)'로 합니다.
  3. 동음이의 문서 간에 우선순위가 없거나 불분명하다면 동음이의 허브 문서를 주 문서로 합니다.
  4. 구분자의 문구는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로 합니다.

동음이의 허브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초'''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초 (시간)|초]]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 (각도)|초]]는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 [[초나라]]
* [[식초]]의 줄임말
* 불을 붙일 수 있는 도구. 보통 밀랍이나 파라핀을 쓴다. [[양초]]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음이의}}
  1.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합니다.
    1. 문서 하단에는 {{동음이의}}를 답니다.
    2. 각 용어(필요시 링크)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단, 약칭은 정식 명칭만 적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긴 설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문서 내용 지침[편집 | 원본 편집]

  1. 리브레 위키 하단에 면책 조항이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문서에 면책 조항성[1] 틀과 안내를 삽입하지 않습니다.
  2. 개인 정보 작성 시 주요 언론사(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채널A, JTBC, KBS, MBC, MBN, SBS, TV조선, YTN) 중 세 곳 이상에서 보도된 사실만 작성합니다.
  3. 정치·종교계 인물은 객관적 사실만 기재합니다.
  4. 문서를 홍보나 친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 표기[편집 | 원본 편집]

  1. 학술적 내용을 제외하면 출처 표기를 여유롭게 합니다.
  2. 학술적 내용일 경우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소수설[편집 | 원본 편집]

  1.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독자 연구[편집 | 원본 편집]

  1. 다루는 주제의 특성상 관련 내용을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찾기 곤란할 경우 독자 연구를 허용합니다.
  2. 독자 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성인물[편집 | 원본 편집]

  1. 선정적 내용을 막기 위해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줄거리 정도만 서술합니다.
  2. 문서의 주 내용은 작품의 평가나 기타 중요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합니다.

각주

  1. 사건사고, 불법, 논란유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