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두 판 사이의 차이

(링크가 잘못 걸릴 경우, 봇의 편집을 되돌리고 봇 관리자에게 알려주세요.)
잔글 (분류:게임 원작 만화 삭제)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 제목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게임이름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원제목      = 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원어이름 = ゼルダの伝説 時のオカリナ
| 이미지      = [[File: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svg]]
|배경색  =
| 개발사     = [[닌텐도]]
|글자색  =  
| 배급사      = [[닌텐도]]
|그림    = [[파일: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japan N64 cover art.jpg]]
| 시리즈      = [[젤다의 전설 시리즈]]
|그림설명 = N64판 커버 아트
| 플랫폼     = [[닌텐도 64]], [[게임큐브]], [[3DS]](리메이크)
|배급사  = [[닌텐도]]
| 출시        = {{날짜/출력|1998-11-21}}(일본)
|개발사   = [[닌텐도]]
| 장르        = 액션, 어드벤쳐
|제작    = [[미야모토 시게루]]
| 모드        = 싱글 플레이
|작가    = 오자와 토오루
| 입력장치    = 닌텐도 64 컨트롤러
|미술    = 타키자와 사토시 (캐릭터 디자인)<br />나카노 유스케
| 이전작     =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작곡가  = 콘도 코지
| 후속작     =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장르    = [[액션 롤플레잉 게임|3D 액션 RPG]]
|출시일  = {{깃발|일본}} [[1998년]] [[11월 21일]]
|종료일  =
|플랫폼   = [[닌텐도 64|N64]], [[게임큐브|GC]], [[3DS]] (리메이크)
|모드    = 1인용
|언어    = [[일본어]], [[영어]]
|엔진    =  
|시리즈  = [[젤다의 전설 시리즈]]
|이전작   =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후속작   =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웹사이트 = [https://www.nintendo.co.jp/n01/n64/software/zelda/ 소개 페이지]
|비고    =
}}
}}
'''게임계의 전설'''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ゼルダの伝説 時のオカリナ)는 1998년에 [[일본]]의 [[닌텐도]]에서 발매한 [[닌텐도 64]]용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비디오 게임 팬이라면 누구나 아는 최고의 게임 중 하나'''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2011년에는 [[닌텐도 3DS]]용으로 [[리메이크]]되어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3D]]》가 발매되었다. [[1998년]] 닌텐도가 발매한 게임으로 게임계의 전설이자 액션 어드벤처 게임의 교과서로 불린다. 최초로 [[패미통]] 만점을 기록한 게임으로 평가가 매우 좋다. [[닌텐도 64]]가 망한 기종이라 평가되면서도 매우 많이 팔린 작품(700만 장).


닌텐도 64 발매 이후 이 게임의 발표가 늦자 사람들은 젤다의 전설의 퍼즐들은 2D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3D로 만들기는 무리가 있어 닌텐도 64로는 발매되지 않거나 닌텐도 64로 나오더라도 탑뷰 방식으로 나올 것이라는 생각마저 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러나...]]'''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는 [[일본]]의 [[게임]] 제작사 [[닌텐도]]에서 제작한 게임으로,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한 작품이다.
== 줄거리 ==
{{빈 문단}}


== 개요 ==
== 등장인물 ==
[[1998년]] 닌텐도가 발매한 게임으로 게임계의 전설이자 액션어드벤처 게임의 교과서로 불린다.
;[[링크 (젤다의 전설 시리즈)|링크]] (リンク / Link)
:{{배지|성우}} [[타키모토 후지코]] (과거), [[히야마 노부유키]] (미래)
:주인공이자 [[플레이어 캐릭터]]. 디폴트 네임은 '링크'지만 게임 스타트시에 변경 가능하다.
 
;내비 (ナビィ / Navi)
:{{배지|성우}} [[미즈하시 카오리]]
:날개가 난 빛의 공과 같이 생긴 요정. 링크와 동행하며 전투 및 퍼즐에 도움을 준다.
 
;[[젤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젤다 공주]] (ゼルダ姫 / Princess Zelda)
:{{배지|성우}} [[미즈사와 준]]
:하이랄 왕국의 공주.


오늘날까지도 게임평점 1위로 기록되어 있으며 최초로 [[패미통]] 만점을 기록한 게임으로 평가가 매우 좋다. [[닌텐도 64]]가 망한기종이라 평가 되면서도 매우 많이 팔린 작품(700만 장)
;가논돌프 (ガノンドロフ / Ganondorf)
:{{배지|성우}} [[나가사코 타카시]]
:겔드족의 수장. 하이랄 왕국을 손아귀에 넣으려는 야망을 품고 있다.


닌텐도 64 발매 이후 이 게임의 발표가 늦자 사람들은 젤다의 전설의 퍼즐들은 [[2D]]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3D]]로 만들기는 무리가 있어 닌텐도 64로는 발매되지 않거나 닌텐도 64로 나오더라도 탑뷰 방식으로 나올 것이라는 생각마저 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러나...]]'''
== 게임플레이  ==
제목에서 나타내듯 본 작품의 주제는 시간이며 플레이어는 핵심 아이템인 시간의 오카리나를 통해 7년의 시간을 왔다 갔다 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어린 시절의 행동이 청소년 시절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진행하고 퍼즐을 풀어야 한다.


[[슈퍼 마리오 64]]이어서 이 게임은 3D게임을 다시 한 번 정의하게 된다. 슈퍼 마리오 64와 마찬가지로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럽고 시점도 뛰어났으며 이 게임에서 처음으로 록온 시스템이 등장한다. 이전의 게임에는 특정 대상을 바라보도록 시점을 고정하는 시스템 따위가 없었다.
[[슈퍼 마리오 64]]》에 이어서 이 게임은 3D 게임을 다시 한 번 정의한다. 《슈퍼 마리오 64》와 마찬가지로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럽고 시점도 뛰어났으며 이 게임에서 처음으로 록온 시스템이 등장한다. 이전의 게임에는 특정 대상을 바라보도록 시점을 고정하는 시스템이라는 발상이 없었다. 또한, 2D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되던 퍼즐을 3D 환경에서는 더욱 다양하고 참신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의 신전이 대표적으로 당시 2D 퍼즐에 익숙했던 게이머들은 매우 어려워했다고.


또한, 2D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되던 퍼즐을 3D누리에서는 더욱 다양하고 참신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의 신전이 대표적으로 당시 2D퍼즐에 익숙했던 게이머들은 매우 어려워했다고.
=== 던전 ===
{{빈 문단}}


이름처럼 시간이 주제이며 플레이어는 핵심 아이템인 시간의 오카리나를 통해 7년의 시간을 왔다 갔다 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어린 시절의 행동이 청소년 시절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진행하고 퍼즐을 풀어야 한다.
== 리메이크 ==
후에 《[[젤다의 전설 바람의 지휘봉]]》의 초회한정특전으로 [[게임큐브]]에 원본과 함께 최초로 던전구조만 바꾼 마스터 퀘스트(Master Quest)라는 모드가 추가되어서 배포되었다. [[닌텐도 3DS]]로도 리메이크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마스터퀘스트가 포함되었지만, 던전이 바뀐 건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좌우반전이 되고 데미지가 2배가 되는 등 게임큐브의 마스터 퀘스트보다 더 어렵게 나왔다.


후에 [[젤다의 전설 바람의 택트]]의 초회한정특전으로 [[게임큐브]]에 원본과 함께 최초로 던전구조만 바꾼 마스터퀘스트(Master Quest)라는 모드가 추가되어서 배포되었다. [[3DS]]로도 리메이크 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마스터퀘스트가 포함되었지만, 던전이 바뀐건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좌우반전이 되고 데미지가 2배가 되는 등 게임큐브의 마스터퀘스트보다 더 어렵게 나왔다.
== 만화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단편)
:{{배지|만화}} [[타니가미 토시오]]
:단편으로 잡지 게재된 만화. [[쇼가쿠칸]]의 [[하이퍼 코로코로]]에서 1999년 3월호와 7월호에 전후편이 게재되었다. 별도의 단행본에 수록되지는 않았다.
 
{{간이 정보
|이미지 = 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Himekawa Akira) v01 jp.png
|이름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작화 = 히메카와 아키라
|설명 = [[쇼가쿠칸]]의 학습 잡지에 연재되던 아동 만화. 소학 5학년·소학 6학년에 연재되어 단행본 2권 분량으로 완결되었다.
:단행본은 무당벌레 코믹스 스페셜 레이블로 출간되었고, 2016년에는 상하권의 합본이라는 형식으로 완전판이 발매되었다.
:* {{배지|상권|grey}} 2000년 1월 28일 발매, {{ISBN|978-4091496010}}
:* {{배지|하권|grey}} 2000년 4월 26일 발매, {{ISBN|978-4091496027}}
:* {{배지|완전판|grey}} 2016년 3월 10일 발매, {{ISBN|978-4091421463}}
}}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s://www.nintendo.co.jp/n01/n64/software/zelda/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스토리 ==
== 음악 ==
== 등장인물 ==
== [[시간의 오카리나/던전|던전]] ==
{{각주}}
{{각주}}
{{젤다의 전설 시리즈}}
{{젤다의 전설 시리즈}}
[[분류:게임]][[분류:젤다의 전설 시리즈]][[분류:닌텐도 퍼스트 파티]]
[[분류:젤다의 전설 시리즈|시간의 오카리나]]
[[분류:1998년 비디오 게임]]
[[분류:닌텐도 64 게임]]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2000년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시간여행물]]

2023년 9월 10일 (일) 20:37 기준 최신판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ゼルダの伝説 時のオカリナ
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japan N64 cover art.jpg
N64판 커버 아트
게임 정보
배급사 닌텐도
개발사 닌텐도
제작 미야모토 시게루
작가 오자와 토오루
미술 타키자와 사토시 (캐릭터 디자인)
나카노 유스케
음악 콘도 코지
장르 3D 액션 RPG
출시일 일본 1998년 11월 21일
플랫폼 N64, GC, 3DS (리메이크)
모드 1인용
언어 일본어, 영어
시리즈 젤다의 전설 시리즈
이전작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후속작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웹사이트 소개 페이지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ゼルダの伝説 時のオカリナ)는 1998년에 일본닌텐도에서 발매한 닌텐도 64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2011년에는 닌텐도 3DS용으로 리메이크되어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3D》가 발매되었다. 1998년 닌텐도가 발매한 게임으로 게임계의 전설이자 액션 어드벤처 게임의 교과서로 불린다. 최초로 패미통 만점을 기록한 게임으로 평가가 매우 좋다. 닌텐도 64가 망한 기종이라 평가되면서도 매우 많이 팔린 작품(700만 장).

닌텐도 64 발매 이후 이 게임의 발표가 늦자 사람들은 젤다의 전설의 퍼즐들은 2D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3D로 만들기는 무리가 있어 닌텐도 64로는 발매되지 않거나 닌텐도 64로 나오더라도 탑뷰 방식으로 나올 것이라는 생각마저 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줄거리[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링크 (リンク / Link)
성우 타키모토 후지코 (과거), 히야마 노부유키 (미래)
주인공이자 플레이어 캐릭터. 디폴트 네임은 '링크'지만 게임 스타트시에 변경 가능하다.
내비 (ナビィ / Navi)
성우 미즈하시 카오리
날개가 난 빛의 공과 같이 생긴 요정. 링크와 동행하며 전투 및 퍼즐에 도움을 준다.
젤다 공주 (ゼルダ姫 / Princess Zelda)
성우 미즈사와 준
하이랄 왕국의 공주.
가논돌프 (ガノンドロフ / Ganondorf)
성우 나가사코 타카시
겔드족의 수장. 하이랄 왕국을 손아귀에 넣으려는 야망을 품고 있다.

게임플레이[편집 | 원본 편집]

제목에서 나타내듯 본 작품의 주제는 시간이며 플레이어는 핵심 아이템인 시간의 오카리나를 통해 7년의 시간을 왔다 갔다 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어린 시절의 행동이 청소년 시절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진행하고 퍼즐을 풀어야 한다.

슈퍼 마리오 64》에 이어서 이 게임은 3D 게임을 다시 한 번 정의한다. 《슈퍼 마리오 64》와 마찬가지로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럽고 시점도 뛰어났으며 이 게임에서 처음으로 록온 시스템이 등장한다. 이전의 게임에는 특정 대상을 바라보도록 시점을 고정하는 시스템이라는 발상이 없었다. 또한, 2D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되던 퍼즐을 3D 환경에서는 더욱 다양하고 참신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의 신전이 대표적으로 당시 2D 퍼즐에 익숙했던 게이머들은 매우 어려워했다고.

던전[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리메이크[편집 | 원본 편집]

후에 《젤다의 전설 바람의 지휘봉》의 초회한정특전으로 게임큐브에 원본과 함께 최초로 던전구조만 바꾼 마스터 퀘스트(Master Quest)라는 모드가 추가되어서 배포되었다. 닌텐도 3DS로도 리메이크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마스터퀘스트가 포함되었지만, 던전이 바뀐 건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좌우반전이 되고 데미지가 2배가 되는 등 게임큐브의 마스터 퀘스트보다 더 어렵게 나왔다.

만화[편집 | 원본 편집]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단편)
만화 타니가미 토시오
단편으로 잡지 게재된 만화. 쇼가쿠칸하이퍼 코로코로에서 1999년 3월호와 7월호에 전후편이 게재되었다. 별도의 단행본에 수록되지는 않았다.
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Himekawa Akira) v01 jp.png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작화 히메카와 아키라
쇼가쿠칸의 학습 잡지에 연재되던 아동 만화. 소학 5학년·소학 6학년에 연재되어 단행본 2권 분량으로 완결되었다.
단행본은 무당벌레 코믹스 스페셜 레이블로 출간되었고, 2016년에는 상하권의 합본이라는 형식으로 완전판이 발매되었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