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정영훈(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경주역|경주 +경주역 (폐역)|경주))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불국사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그림     = 불국사역.jpg
|역명     = 불국사역
|그림설명 =  
|그림    = [[File:p1065572656137813_949_thum.jpg]]
|그림alt  =  
|역번호  =  
|역코드  = 185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3043-8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3043-8
|개업일  = {{날짜/출력|1918-11-1}}<small>(동해선)</small>
|번호    =  
|폐지일  =
|노선    = [[동해선]] <small>97.1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br>대구지역관리단[[신경주역|신경주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폐지일  = 2021년 12월 28일
|코드    = 185
|승강장  =  
|승강장  =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동해선]] <small>98.0 km</small>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에 위치한 역으로 인근에 있는 [[불국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역이다. 향후 [[동해선]] 포항- 울산 구간의 복선전철화 및 이설공사가 완료되면 노선이 옮겨지면서 페지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에 위치한 역으로 인근에 있는 [[불국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역이다. 향후 [[동해선]] 포항- 울산 구간의 복선전철화 및 이설공사가 완료되면 노선이 옮겨지면서 페역될 예정이다.
 
== 열차 이용 정보 ==
동해선 경유 동대구-부전/태화강 무궁화호가 선택정차한다.
참고로 이 역에서 불국사까지의 거리는 3km 남짓한 거리이기 때문에 도보로 가긴 어렵고 버스를 타고 가야 한다. 불국사까지는 역 하차 후 [[경주 버스 11]]번 계열을 이용하면 10분 내외로 도착할 수 있다. 석굴암까지는 불국사에서 석굴암- 불국사 간 셔틀인 [[경주 버스 12]]를 이용하여 가야한다.


{{youtube|cLdJRDyTZqk}}
{{youtube|cLdJRDyTZqk}}
{{youtube|wGruSpG5Dpg}}
{{youtube|wGruSpG5Dpg}}
불국사역 전경
불국사역 전경
== 승강장 ==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동해선]] [[경주역|경주]]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동해선]] [[경주역 (폐역)|경주]]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왼쪽 승강장=1번 승강장<br>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무궁화호'''<br>[[동대구역|동대구]] · [[포항역|포항]] · [[경주역|경주]] · [[청량리역|청량리]]<br> · [[태화강역|태화강]]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부전역|부전]] · [[순천역|순천]] 방면
  |승강장 번호=1번<br />2번|승강장 정보='''무궁화호''' [[동대구역|동대구]] · [[포항역|포항]] · [[경주역 (폐역)|경주]] · [[청량리역|청량리]]<br /> · [[태화강역|태화강]]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부전역|부전]] · [[순천역|순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동해선]] [[호계역|호계]]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동해선]] [[호계역|호계]] →
40번째 줄: 41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동해선|노선거리=98.0 km
|노선명=311 [[동해선]]|노선거리=97.1 km
|전방면=[[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부산진]] 방면|전역=[[죽동역|죽동]]|전거리=3.9 km
|전방면=[[부산진역|부산진]] 방면|전역=[[죽동역|죽동]]|전거리=3.9 km
|당역='''불국사'''
|당역='''불국사'''
|후방면=[[효자역 (포항)|효자]] 방면|후역=[[동방신호장|동방]]|후거리=4.1 km}}
|후방면=[[영덕역|영덕]] 방면|후역=[[동방신호장|동방]]|후거리=4.1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운행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4}}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동대구-부전|표시=표시|계통칸=3}}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부전|}}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부전|표시=표시|불국사=1}}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승하차량==
101번째 줄: 93번째 줄:
|
|
|}
|}
* 경주도심권에서 떨어진 경주 남쪽 지역의 광역수요를 분담한다. 역세권은 시내 교동 이남 외동읍 입실리 북쪽 일대.
* 울산 생활권인 외동읍을 옆에 두고 있으나 외동읍의 울산 방면 수요를 끌어오는 데 한계가 있다. 확연한 울산 생활권인 모화리에선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거리가 멀고 모화까지 울산시내버스가 들어오기 때문. 또한 공단 특성상 자차 수요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읍사무소 소재지인 입실쪽도 주로 모화리까지 경주 시내버스를 타고가서 환승한다. 모화쪽이 훨씬 더 가깝고, 불국사역까지 가려면 거꾸로 올라가서 다시 내려가야하기 때문.
* 이용객 수치가 2015년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데, 유가변동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자차로 이탈한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경주시 전반적으로 개발된 지 오래된 지역 일대의 인구수가 전반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것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더군다나 이 역의 역세권에는 개발되는 곳이 없다.
* 이용객의 대다수는 중단거리 이용객으로서 [[태화강역]],[[동대구역]],[[부전역]]으로 3등분된다. 그 외에 [[하양역]],[[호계역]]등의 수요가 다소 있다. [[경주역]]행 수요는 거의 없다.<ref>시내버스를 타면 무궁화호 운임인 2600원보다 싼 1700원으로 갈 수 있기 때문.</ref>


{{각주}}
{{각주}}


[[분류:동해선]]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역]]
[[분류:경주시의 철도역]]
 
[[분류:신경주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5.7763912209458|129.2968189716339|12|불국사역}}

2023년 9월 23일 (토) 21:39 기준 최신판

불국사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3043-8
노선 동해선 97.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18년 11월 1일
폐지일 2021년 12월 28일
코드 185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에 위치한 역으로 인근에 있는 불국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역이다. 향후 동해선 포항- 울산 구간의 복선전철화 및 이설공사가 완료되면 노선이 옮겨지면서 페지되었다.

불국사역 전경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부산진 방면
죽동 3.9 km
불국사 영덕 방면
동방 4.1 km

승하차량[편집 | 원본 편집]

불국사역
연도 승차 하차 월평균
승차 하차
2017 64,612 65,809
2016 68,877 68,131
2015 78,783 81,411
2014 74,851 77,644
2013 72,545 71,543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