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목포관리역을(를) 추가함)
18번째 줄: 18번째 줄:
|당역폭=10em|당역='''무안'''
|당역폭=10em|당역='''무안'''
|후역폭=13em|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몽탄역|몽탄]]|후거리=3.8 km}}
|후역폭=13em|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몽탄역|몽탄]]|후거리=3.8 km}}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3}}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용산-목포|표시=표시|계통칸=2}}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광주-목포}}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표시=표시}}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2019년 11월 4일 (월) 12:36 판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무안역이기는 한데 무안읍이 아니라 몽탄면에 있다.

역 정보

이렇게 된 건 군산역이나 함안역같이 복선전철화 하느라 외곽으로 밀려난 게 아니고, 애초에 호남선은 나주를 빠져나와서 함평군 학교면을 살짝 긁고 바로 무안군 몽탄면으로 빠지기 때문에 무안읍을 단 1cm도 경유하지 않아서 그냥 무안읍에 그나마 가까운 이 역에 무안역이라는 이름을 준 것. 그래서 수요가 있을 턱이 없고(...) 무안군 하위 일개 읍면인 일로역이나 심지어 몽탄역보다도 대우가 좋지 않다(...). 임실역과 비슷한 케이스.

그나마 목포 버스 800이 무안읍내와 무안역을 이어주기는 는데, 틀:날짜/출력경에 노선이 개편되며 이조차도 무안역을 지나지 않고 바로 몽탄역으로 빠진다.(...)

운행 계통

무안군 이름을 달고 있는 주제에 ITX-새마을은 없고(...) 무궁화호조차 선택정차한다.(...) 경전선 계통은 필수정차하기는 하는데 애초에 1왕복이라서 아무 의미 없다.

경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