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6 인트루더: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A-6 Intruder''' '''A-6 인트루더'''공격기는 함상에서 운용되는 함재공격기로 과거 미해군의 주력 공격기였다. 베트남 전쟁부터 다양...)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A-6 Intruder'''
'''A-6 Intruder(침입자)'''
 
'''A-6 인트루더'''공격기는 함상에서 운용되는 함재공격기로 과거 미[[해군]]의 주력 공격기였다. [[베트남 전쟁]]부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했으며 걸프전에 참가하여 많은 전공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소말리아와 보스니아 내전에서 활약하였지만 1997년 기체의 구식화로 전량 퇴역하게 되면서 미 해군의 함상 공격기 임무는 F-18호넷이 떠맡게 되면서 항공체계가 거희 일원화되었다.


'''A-6 인트루더'''는 '''[[미국]]'''의 '''공격기'''다. 일반적인 공격기와 다르게 함상에서 운용되는 함재공격기로 과거 미[[해군]]의 걸작 공격기였다. [[베트남 전쟁]]부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했으며 걸프전과 [[이라크]] 전쟁 등에 참가하여 많은 전공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소말리아]]와 보스니아 내전에서 활약하였지만 1997년 기체의 구식화로 전량 퇴역하게 되면서 미 [[해군]]의 함상 공격기 임무는 F-18 호넷이 떠맡게 된다. 이 결과 항모전단의 항공체계가 거희 일원화되게 되었다.
파생형으로 EA-6 프라울러 전자전기가 있으며, 연도에 따라 여러 개량형들로 나누어 진다.
==개발==
==개발==
1955년도 함상에서 운용할 함재 공격기의 소요 때문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기존의 A-4나 A-3은 하나는 공격기지만 성능과 폭장량이 부족했고 A-3은 공격기가 아닌 폭격기였기에 근접항공지원등에 사용하는건 무리였다. 그래서 미 해군은 노스롭 그루먼을 포함한 8개의 회사에 입찰을 넣었고 최종승리한 노스롭사가 이 신형 공격기의 개발에 들어가게 된다.
1955년도 함상에서 운용할 함재 공격기의 소요 때문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기존의 A-4나 A-3은 하나는 공격기지만 성능과 폭장량이 부족했고 A-3은 공격기가 아닌 폭격기였기에 근접항공지원등에 사용하는건 무리였다. 그래서 미 해군은 노스롭 그루먼을 포함한 8개의 회사에 입찰을 넣었고 그 중 노스롭의 설계안이 선택되면서 최종승리한 노스롭사가 이 신형 공격기의 개발에 들어가게 된다.
==성능==
==실전==
===베트남 전쟁===
인트루더가 실전배치 된지 얼마 안되서 [[베트남 전쟁]]에 [[미국]]이 개입하게 되면서 항모 항공단 소속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가한다. 주 임무는 당연히 폭격과 근접항공 지원이였으며, 35000소티를 출격하며, 여느 [[전투기]] 못지 않은 활약을 하였다. 당시로선 혁신적인 주야간 작전능력과 악천우에도 작전이 가능하다는 점은 [[베트남 전쟁]]에서 큰 이점이 되었고, 정글에서 벌어지는 게릴라 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전을 벌였다


==성능==
다만 아음속 공격기라는 특성상 저공비행을 하기 때문에 저고도 방공망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대공포와 [[지대공 미사일]]에 많은 수가 손실되었다.
===걸프 전쟁===
1991년 걸프 전쟁에서는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함재기로 참전하였고, 지상군의 근접항공지원을 맡았다. 또한 주요 거점들의 타격과 방공망 제압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레이저 유도 폭탄의 플렛폼으로 운용되었다. 걸프전에선 4700소티의 출격 횟수를 기록하였고 3대를 지대공 미사일과 대공포에 손실하였다.




[[분류:공격기]]
[[분류:공격기]]

2017년 12월 14일 (목) 00:20 판

A-6 Intruder(침입자)

A-6 인트루더미국공격기다. 일반적인 공격기와 다르게 함상에서 운용되는 함재공격기로 과거 미해군의 걸작 공격기였다. 베트남 전쟁부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했으며 걸프전과 이라크 전쟁 등에 참가하여 많은 전공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소말리아와 보스니아 내전에서 활약하였지만 1997년 기체의 구식화로 전량 퇴역하게 되면서 미 해군의 함상 공격기 임무는 F-18 호넷이 떠맡게 된다. 이 결과 항모전단의 항공체계가 거희 일원화되게 되었다.

파생형으로 EA-6 프라울러 전자전기가 있으며, 연도에 따라 여러 개량형들로 나누어 진다.

개발

1955년도 함상에서 운용할 함재 공격기의 소요 때문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기존의 A-4나 A-3은 하나는 공격기지만 성능과 폭장량이 부족했고 A-3은 공격기가 아닌 폭격기였기에 근접항공지원등에 사용하는건 무리였다. 그래서 미 해군은 노스롭 그루먼을 포함한 8개의 회사에 입찰을 넣었고 그 중 노스롭의 설계안이 선택되면서 최종승리한 노스롭사가 이 신형 공격기의 개발에 들어가게 된다.

성능

실전

베트남 전쟁

인트루더가 실전배치 된지 얼마 안되서 베트남 전쟁미국이 개입하게 되면서 항모 항공단 소속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가한다. 주 임무는 당연히 폭격과 근접항공 지원이였으며, 35000소티를 출격하며, 여느 전투기 못지 않은 활약을 하였다. 당시로선 혁신적인 주야간 작전능력과 악천우에도 작전이 가능하다는 점은 베트남 전쟁에서 큰 이점이 되었고, 정글에서 벌어지는 게릴라 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전을 벌였다

다만 아음속 공격기라는 특성상 저공비행을 하기 때문에 저고도 방공망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대공포와 지대공 미사일에 많은 수가 손실되었다.

걸프 전쟁

1991년 걸프 전쟁에서는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함재기로 참전하였고, 지상군의 근접항공지원을 맡았다. 또한 주요 거점들의 타격과 방공망 제압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레이저 유도 폭탄의 플렛폼으로 운용되었다. 걸프전에선 4700소티의 출격 횟수를 기록하였고 3대를 지대공 미사일과 대공포에 손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