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봉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이름    = 매봉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역명 = 서울교통공사 매봉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343|수도권|3}}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2744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2744
|개업일 = {{날짜/출력|1993-10-30}}
|번호    = {{역번호/한국|343|수도권|3}}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28.9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2면 2선
|개업일  = [[1993년]] [[10월 30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28.9 km</small>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매봉역}}<br />Maebong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 이름은 강남이 개발되기 전 이곳에 위치한 자연마을인 '''매봉마을'''에서 유래했다. 3호선의 차내 방송에는 '梅峰'이라고 한문표기를 하고 있으나, 상기 주석에서 언급했듯이 이 매봉은 매화와 상관없는 '순우리말+한자'(매+峰)로 구성된 지명으로 4호선 [[당고개역]]과 유사한 형태로 된 역명이다.
== 역사 ==
 
* 1991년 7월 31일: 역명을 언주에서 '''매봉'''으로 변경<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80100289113004&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8-01&officeId=00028&pageNo=13&printNo=992&publishType=00010 신설 지하철역 이름 크게 바꿔], 한겨레</ref>
== 역 구조 ==
* 1993년 10월 30일: 3호선 [[양재역|양제]]~[[수서역|수서]]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갖추어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시설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갖추어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3호선'''  [[충무로역|충무로]] · [[연신내역|연신내]] · [[대화역|대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3호선'''  [[충무로역|충무로]] · [[연신내역|연신내]] · [[대화역|대화]]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양재]]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양재]]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3호선]] [[도곡역|도곡]]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3호선]] [[도곡역|도곡]]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3호선''' [[대청역|대청]] · [[수서역|수서]] · [[오금역|오금]]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3호선''' [[대청역|대청]] · [[수서역|수서]] · [[오금역|오금]] 방면 | '''하행 승강장'''
}}
}}
|}
</div>
== 역사 ==
[[1993년]] [[10월 30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2기 지하철 계획]] 구간(양재-수서)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48번째 줄: 47번째 줄:
[[프라이머리]]와 팔로알토, [[빈지노]]의 곡 "3호선 매봉역"으로 조금 유명해졌다.
[[프라이머리]]와 팔로알토, [[빈지노]]의 곡 "3호선 매봉역"으로 조금 유명해졌다.


== 사건·사고 ==
== 경유 열차 ==
2019년 10월 30일 18시경에 3·4번 출구와 대합실을 연결하는 중간층에서 전동 킥보드 배터리가 폭발하는 화재사고가 발생하여 소방차가 출동하여 10분만에 진화되었고 그로 인해 일대 교통이 30분 가량 마비되었다.[http://www.humanaidpost.com/news/articleView.html?idxno=18976 참고기사]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관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글자색=white|관할=서울교통공사 (Seoul Metro)|링크=서울교통공사}}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3호선|노선거리=28.9 km
|전방면=[[지축역|지축]] 방면|전역=[[양재역|양재]]|전거리=1.2 km
|당역='''매봉'''
|후방면=[[오금역|오금]] 방면|후역=[[도곡역|도곡]]|후거리=0.8 km}}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경유 계통|전방면=[[대화역|대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342|수도권|3}} [[양재역|양재]]|전거리=1.2 km
{{경유 계통|전방면=[[대화역|대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342|수도권|3}} [[양재역|양재]]|전거리=1.2 km
|당역={{역번호/한국|343|수도권|3}} '''매봉'''
|당역={{역번호/한국|343|수도권|3}} '''매봉'''
70번째 줄: 57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3호선]]
[[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서울 강남구의 철도역]]

2024년 1월 19일 (금) 01:00 기준 최신판

매봉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2744
번호  343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28.9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93년 10월 30일
승강장 2면 2선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1년 7월 31일: 역명을 언주에서 매봉으로 변경[1]
  • 1993년 10월 30일: 3호선 양제~수서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갖추어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대치중학교, 독골공원 , 도곡듀얼샵 등이 근처에 있다.

대중 문화[편집 | 원본 편집]

프라이머리와 팔로알토, 빈지노의 곡 "3호선 매봉역"으로 조금 유명해졌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3호선
대화 방면
 342  양재
 343  매봉 오금 방면
 344  도곡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