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게임 정보' 표준화 v2.0)
(Colorful Palette가 Craft Egg의 자회사이므로 개발사에는 Colorful Palette만 남기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애초에 Colorful Palette 로고에 Craft Egg가 빠졌습니다))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Pika/대체용 틀
{{게임 정보
|게임이름 = [[File:프로세카로고.png]]<br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br /><small>プロジェクトセカイ カラフルステージ! feat. 初音ミク
|게임이름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br />feat.하츠네 미쿠
|원어이름 = Project SEKAI COLORFUL STAGE! feat. Hatsune Miku</small>
|원어이름 = Project SEKAI COLORFUL STAGE!<br />feat. Hatsune Miku
|배경색  = #74fbde
|배경색  = #74dbde
|글자색  = #454464
|글자색  = #454464
|그림    = [[File:프로세카타이틀.jpg]]
|그림    = [[파일:프로세카로고.pn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개발사  = [[SEGA]],  Colorful Palette, Craft Egg, 크립톤 퓨처 미디어
|배급사  =  
|배급사  =  
|기획자   =  
|개발사   = [[SEGA]],  Colorful Palette{{ㅈ|Craft Egg의 자회사}}, 크립톤 퓨처 미디어
|제작    =  
|작가    =  
|작가    =  
|미술    =  
|미술    =  
|작곡가  =  
|작곡가  =  
|시리즈  =  
|장르    = [[리듬 게임]]
|출시일  = {{국기|일본}} (Rehearsal Edit.)<br /> 2020년 9월 5일~2020년 9월 11일<br />{{국기|일본}} 2020년 9월 30일
|출시일  = <table style='margin-top:0rem; line-height:1.2rem; width:100%'><tr><th style='padding-left:0.5rem; text-align:left; width:6.5rem'>{{나라|일본}}</th><td> 2020년 9월 30일<ref>'''[Rehearsal Edit.]''' 2020년 9월 5일 - 11일</ref></td></tr><tr><th style='padding-left:0.5rem; text-align:left'>{{나라|중화민국}}<br />{{나라|홍콩}}<br />{{나라|마카오}}</th><td> 2021년 9월 30일<ref>'''[Closed Beta]''' 2021년 8월 30일 - 9월 6일</ref></td></tr><tr><th style='padding-left:0.5rem; text-align:left'>글로벌</th><td> 2021년 12월 8일<ref>'''[Closed Beta]''' 2021년 10월 4일 - 19일</ref></td></tr><tr><th style='padding-left:0.5rem; text-align:left'>{{나라|대한민국}}</th><td> 2022년 5월 20일<ref>'''[Closed Beta]''' 2022년 4월 7일 - 14일</ref></td></tr><br/></table>
|종료일  =  
|종료일  =  
|플랫폼  = 모바일
|플랫폼  = 모바일
|장르    = [[리듬 게임]]
|모드    =  
|모드    =  
|언어    = [[일본어]]
|언어    = [[일본어]], [[중국어]] 번체, [[영어]], [[한국어]]
|이용등급 = 전체 이용가
|엔진    = <div style='border-radius:0.25rem; background-color:#000; padding:0.25rem; width:5rem'>[[파일:unity.png]]</div>
|엔진    = [[File:unity.png|150px]]
|시리즈  =  
|버전    =  
|이전작  =  
|이전작  =  
|후속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https://pjsekai.sega.jp/ HP]<br />[https://twitter.com/pj_sekai/ Twitter]<br />[https://www.youtube.com/channel/UCdMGYXL38w6htx6Yf9YJa-w?view_as=subscriber/ YouTube]
|웹사이트 = [https://www.kr-pjsekai.com/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br/>[https://pjsekai.sega.jp/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br />{{트위터|kr_pjsekai|트위터}}<br />{{유튜버|UCdMGYXL38w6htx6Yf9YJa-w|YouTube}}
|비고    =  
|비고    =  
}}
}}
==개요==
{{youtube|X5oca4UcDwo|||center|'''공식 한국어 PV'''}}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プロジェクトセカイ カラフルステージ! feat. 初音ミク)는 세가게임즈, Colorful Palette, Craft Egg, 크립톤 퓨처 미디어가 공동으로 개발한 iOS,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리듬 게임]]이다. [[세가]]와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공동 프로젝트인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에 속해 있다. 개발 초기에는 프로젝트 세카이(プロジェクトセカイ) 혹은 세카이(セカイ)등의 약칭으로 불렸으나 공식 SNS 등에서는 [[프로세카]](プロセカ)라는 약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 ({{일본어|プロジェクトセカイ カラフルステージ! feat. 初音ミク}}, {{영어|Hatsune Miku: Colorful Stage!}})는 세가게임즈, Colorful Palette, 크립톤 퓨처 미디어가 공동으로 개발한 iOS,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리듬 게임]]이다. [[세가]]와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공동 프로젝트인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에 속해 있다. 개발 초기에는 프로젝트 세카이({{일본어=|プロジェクトセカイ}}) 혹은 세카이({{일본어=|セカイ}})등의 약칭으로 불렸으나 공식 SNS 등에서는 [[프로세카]] ({{일본어=|プロセカ}})라는 약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줄거리==
== 줄거리 소개 ==
현대의 일본과 가공의 공간 ‘세카이(セカ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 해당 문단의 모든 줄바꿈은 의도된 공백입니다. -->
[[File:스토리개요_이치카.png]]
{{안내문|아래 문단은 [https://pjsekai.sega.jp/story/index.html STORY | {{일본어=|プロジェクトセカイ カラフルステージ! feat.初音ミク}}]를 옮긴 것입니다. }}
시부야의 스크램블 교차로에서 하츠네 미쿠의 거대한 전광판을 바라보던 [[호시노 이치카]]는 무심코 {{인용문|대단하네, 미쿠는. 어떤 느낌으로든 될 수 있어서.}} 라고 중얼거린다.
----
<div style='font-weight:600; line-height:2.5rem; font-size:150%; text-align:center; width:100%'>
<poem>
"세카이"
그것은, 『진정한 마음』을
찾을 수 있는 곳
</poem>
</div>


이치카가 집에 돌아와 스마트폰을 확인해 보니 어느새인가 ‘Untitled’ 라는 정체불명의 악곡이 재생 목록에 추가되어 있었음을 확인한다. 수상하게 여기며 곡을 재생한 순간, {{인용문|{{색|#68e2c8|어서 와, '''‘세카이’''' 에!}}}}


[[하츠네 미쿠]]가 이치카의 앞에 서서, 웃으며 ‘함께 노래하자!’ 라며 손을 내밀고 있었다.
<div style='font-weight:400; line-height:1.5rem; font-size:110%; text-align:center; width:100%'>
<poem>
[[도쿄도]]({{일본어=|東京都}})의 [[시부야]]({{일본어=|シプヤ}}).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음악을 중심으로 한 서브컬쳐가 성행하는 그 거리에서
한 소녀<ref>밴드 유닛 [[Leo/need]]의 [[호시노 이치카]]이다.</ref>가 교차로의 거대한 전광판을 올려다보고 있었다.
화면에 비치는 버츄얼 싱어 "[[하츠네 미쿠]]"를 보며 중얼거린다.
</poem>


저마다의 꿈과 고뇌를 안고 있는 캐릭터들이 악곡 Untitled를 매개로 현실 세계와 세카이를 오가며 성장해 나가는 것이 주된 스토리 라인이다.


==용어==
</div>
<div style='margin:auto; font-weight:400; line-height:1.5rem; font-size:125%; text-align:center; width:80%; min-width:400px; '>
[[파일:스토리개요 이치카.png]]
</div>


===세카이===
<div style='font-weight:600; line-height:2.5rem; font-size:150%; text-align:center; width:100%'>
<ref>어휘 자체는 단순히 ‘세계’를 일본어 발음으로 옮긴 것이나 세계관의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원어 그대로 작성한다.</ref>
<poem>
『미쿠는 대단해.
어떤 느낌도 살릴 수 있으니까.
</poem>
</div>


{| class="wikitable"
|[[File:교실의세카이.jpg]]
|[[File:스테이지세카이.jpg]]
|[[File:스트리트세카이.jpg]]
|-
|style= "text-align:center;" | [[Leo/need]]의 세카이
|style= "text-align:center;" | [[MORE MORE JUMP!]]의 세카이
|style= "text-align:center;" | [[Vivid BAD SQUAD]]의 세카이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style= "width:50%; "| [[File:원더랜드세카이.jpg|300px]]
|style= "width:50%; " colspan="2"| [[File:아무것도없는세카이.jpg|300px]]
|-
|style= "text-align:center; width:50%;" | [[원더랜즈×쇼타임]]의 세카이
|style= "text-align:center; width:50%;" colspan="2" | [[25시, 나이트코드에서.]]의 세카이
|}


{{인용문2|현실 세계와는 다른, 사람들의 “진정한 마음” 을 비추는 불가사의한 세계.<br />마음의 수만큼 세카이는 존재하고, 마음에 따라 그 모습이 바뀐다.|공식 사이트의 소개문}}
<div style='font-weight:400; line-height:1.5rem; font-size:110%; text-align:center; width:100%'>
본작의 배경의 두 가지 큰 갈래 중 하나. 현실 세계의 인물은 악곡 Untitled를 통해 이 세카이로 진입해, 하츠네 미쿠와 다른 버츄얼 싱어들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내의 MV 역시 이 세카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poem>
귀가 후 소녀가 폰을 확인해 보니 어느샌가
<span style='color:#ff50b0; font-size:140%'>【Untitled】</span>라는 곡이 들어가 있는 것을 깨닫는다.
기며 곡을 재생한 순간, 소녀는 하얀 빛에 휩싸여
낯선 곳에 와 버린다.


===[[하츠네 미쿠]] 일행===
놀라는 소녀의 눈 앞에는...
</poem>
</div>


[[File:프로세카크립톤즈.png]]


{{인용문2|현실세계에서는 전 세계의 크리에이터가 만들어낸 노래를 표현하는 존재.<br /> 세카이에서는 마음에 따라 모습을 바꾸고, 마음의 주인이 “진정한 마음”을 찾아낼 수 있도록 서포트해준다.|공식 사이트의 소개문}}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VOCALOID]] 라이브러리 캐릭터인 [[MEIKO]], [[KAIT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가 인게임에서는‘Virtual Singer’라는 이름의 유닛에 속해 있다. 하츠네 미쿠를 제외한 5명의 캐릭터는 각 세카이에 한 가지 모습으로만 존재하나 하츠네 미쿠는 다섯 가지 세카이에 각자 다른 모습으로 존재해, 본모습까지 총 6가지의 모습을 가진다.


===Untitled===
<div style='color:#00e6c7; font-weight:600; line-height:2.5rem; font-size:200%; text-align:center; width:100%'>
<poem>
『어서 와, 세카이에!』
</poem>
</div>
 
 
 
<div style='font-weight:400; line-height:1.5rem; font-size:110%; text-align:center; width:100%'>
<poem>
<span style='color:#00e6c7; font-size:140%'>"하츠네 미쿠"</span>가 서 있었다.
당황하는 소녀에게 미쿠는 손을 내밀며 미소를 짓는다.
 
<span style='font-weight:600; color:#ff50b0; font-size:140%'>「같이 노래하자!」</span>
</poem>
</div>
 
 
<div style='font-weight:600; line-height:2.5rem; font-size:150%; text-align:center; width:100%'>
<poem>
『진정한 마음』
그리고 『나의 노래』를 발견하는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poem>
</div>


[[File:프로세카Untitled.png]]


{{인용문2|세카이와 함께 태어나는, 멜로디도 가사도 없는 무음의 악곡. 사람을 세카이로 이끄는 이정표 역할을 한다.<br />마음의 주인이 “진정한 마음”을 찾아내 미쿠 일행과 함께 노래를 부르면 마음은 노래로 바뀌어, 처음으로 이름을 가지게 된다.|공식 사이트의 소개문}}


==시스템==
==시스템==
83번째 줄: 108번째 줄:
===리듬 게임===
===리듬 게임===


===현실 세계와 세카이===
===에어리어===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50px">
교실의세카이.jpg|교실 세카이 ([[Leo/need]])
스테이지세카이.jpg|스테이지 세카이 ([[MORE MORE JUMP!]])
스트리트세카이.jpg|스트리트 세카이 ([[Vivid BAD SQUAD]])
원더랜드세카이.jpg|원더랜드 세카이 ([[원더랜즈×쇼타임]])
아무것도없는세카이.jpg|아무도 없는 세카이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gallery>
 
 
게임 실행 후 등장인물의 일상 대화를 볼 수 있는 곳으로, 크게 현대 일본을 배경으로 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인 "세카이"로 나뉜다. 현실 세계의 인물은 악곡 Untitled ("진정한 마음"을 찾은 이후에는 각 유닛의 테마곡)를 통해 이 세카이로 진입해 하츠네 미쿠와 다른 버츄얼 싱어들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리===
===스토리===
92번째 줄: 127번째 줄:


==수록 악곡==
==수록 악곡==
 
{{참고|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의 수록곡}}
=== 디스코그래피 ===
{{참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디스코그래피}}


==등장인물==
==등장인물==
[[하츠네 미쿠]]와 5인의 크립톤 보컬로이드, 20명의 오리지널 캐릭터가 존재한다.
===VIRTUAL SINGER===
===VIRTUAL SINGER===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세카이/유닛/VIRTUAL SINGER}}
* [[MEIKO]]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VOCALOID]] 라이브러리 캐릭터인 [[MEIKO]], [[KAIT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가 인게임에서는‘Virtual Singer’라는 이름의 유닛에 속해 있다. 하츠네 미쿠를 제외한 5명의 캐릭터는 메인 스토리 기준 각 세카이에 한 가지 모습으로만 존재하나 하츠네 미쿠는 다섯 가지 세카이에 각자 다른 모습으로 존재해, 본모습까지 총 6가지의 모습을 가진다.{{ㅈ|사실 카가미네 린은 VIRTUAL SINGER 스토리 중 하나인 스트리트 세카이 스토리에 비배스 린으로 등장했다.}} 현재는 모든 세카이의 캐릭터들이 등장했다.
* [[KAITO]]
* [[카가미네 린·렌]]
* [[메구리네 루카]]


===[[Leo/need]]===
===[[Leo/need]]===
* [[호시노 이치카]]
{{프로젝트 세카이/유닛/Leo/need}}
* [[텐마 사키]]
* [[모치즈키 호나미]]
* [[히노모리 시호]]


===[[MORE MORE JUMP!]]===
===[[MORE MORE JUMP!]]===
* [[하나사토 미노리]]
{{프로젝트 세카이/유닛/MORE MORE JUMP!}}
* [[키리타니 하루카]]
* [[모모이 아이리]]
* [[히노모리 시즈쿠]]


===[[Vivid BAD SQUAD]]===
===[[Vivid BAD SQUAD]]===
* [[아즈사와 코하네]]
{{프로젝트 세카이/유닛/Vivid BAD SQUAD}}
* [[시라이시 안]]
* [[시노노메 아키토]]
* [[아오야기 토야]]


===[[원더랜즈×쇼타임]]===
===[[원더랜즈×쇼타임]]===
* [[텐마 츠카사]]
{{프로젝트 세카이/유닛/원더랜즈×쇼타임}}
* [[오오토리 에무]]
* [[쿠사나기 네네]]
* [[카미시로 루이]]


===[[25시, 나이트코드에서.]]===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요이사키 카나데]]
{{프로젝트 세카이/유닛/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아사히나 마후유]]
* [[아키야마 미즈키]]
* [[시노노메 에나]]


==각종 매체==
==각종 매체==
* 공식 유튜브에 게시된 영상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2p4RMMDCUpjVEwXOnqyTj_ 오리지널 악곡 재생목록]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1HFvEpsm63Lqj2lqpzxzIk 플레이 영상 재생목록]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0wwONdRxT38xMSqz77XVxO 3D MV 재생목록]


* 공식 유튜브에 게시된 영상
==논란==
===한국 서버===
====레트로 의상 검열 논란====
출시 후 약 일주일 만에 트위터 발 불만 제기로 인해 운영진이 당시 '다이쇼 의상'이라 지칭한 '레트로 의상'을 한국 서버에서는 내놓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성=류|이름=종화|날짜=2022-05-26|제목=과연 어디까지가 '다이쇼 로망'일까?|url=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80732|뉴스=게임메카|출판사= |위치= |확인날짜=2022-05-29}}</ref> 이에 대해 상당수의 유저가 트위터가 아닌 타 커뮤니티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미흡했음을 거세게 비판했으며, 이는 운영 측이 한국의 커뮤니티 동향을 파악하지 못해 발생한 문제로 추정된다. 출시 찬성파들은 '다이쇼 의상'이라 부르는 이 레트로 의상에 불만을 제기하는 시각에 대해 전범기와 같이 당시 시대의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상징하는 것이 아닌 당시 시대의 생활상 전체를 문제 삼는 것은 비약이라고 지적하였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2p4RMMDCUpjVEwXOnqyTj_ 오리지널 악곡 재생목록]
해당 논란이 발생한 이후 당시 인게임내 이벤트에서 높은 랭킹을 차지한 유저들이 프로필을 트위터 유저나 페미니스트<ref>트위터 유저의 상당수가 페미니즘을 지지한다는 인식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해당 논란과 페미니즘 사이에는 연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ref>를 비방하는 문구로 바꿔 프로세카의 운영을 까 내리는 움직임이 관찰되었다. 또한 환불 승인을 받았다고 자랑하거나 방법을 공유하는 등 '중립 기어'를 박은 유저와 비판 및 비난과 함께 게임을 접거나 환불러시를 하는 유저로 나뉘어 혼란이 가중되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1HFvEpsm63Lqj2lqpzxzIk 플레이 영상 재생목록]
== 관련 링크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FNg5fXiX30wwONdRxT38xMSqz77XVxO 3D MV 재생목록]
* [https://sekai.best/ Sekai Viewer (비공식)]


{{각주}}
{{각주}}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분류:리듬 게임]]
[[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 ]]
[[분류:모바일 게임]][[분류:2020년 비디오 게임]]
[[분류:2020년 비디오 게임]]
[[분류: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2023년 10월 20일 (금) 16:08 기준 최신판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Project SEKAI COLORFUL STAGE!
feat. Hatsune Miku
프로세카로고.png
게임 정보
개발사 SEGA, Colorful Palette[1], 크립톤 퓨처 미디어
장르 리듬 게임
출시일
일본 2020년 9월 30일[2]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2021년 9월 30일[3]
글로벌 2021년 12월 8일[4]
대한민국 2022년 5월 20일[5]
플랫폼 모바일
언어 일본어, 중국어 번체, 영어, 한국어
엔진
Unity.png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트위터 트위터
유튜브 YouTube

공식 한국어 PV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 (일본어: プロジェクトセカイ カラフルステージ! feat. 初音ミク, 영어: Hatsune Miku: Colorful Stage!)는 세가게임즈, Colorful Palette, 크립톤 퓨처 미디어가 공동으로 개발한 iOS,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리듬 게임이다. 세가와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공동 프로젝트인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에 속해 있다. 개발 초기에는 프로젝트 세카이(プロジェクトセカイ) 혹은 세카이(セカイ)등의 약칭으로 불렸으나 공식 SNS 등에서는 프로세카 (プロセカ)라는 약칭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줄거리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세카이"
그것은, 『진정한 마음』을
찾을 수 있는 곳


도쿄도(東京都)의 시부야(シプヤ).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음악을 중심으로 한 서브컬쳐가 성행하는 그 거리에서
한 소녀[6]가 교차로의 거대한 전광판을 올려다보고 있었다.
화면에 비치는 버츄얼 싱어 "하츠네 미쿠"를 보며 중얼거린다.


스토리개요 이치카.png

『미쿠는 대단해.
어떤 느낌도 살릴 수 있으니까.』


귀가 후 소녀가 폰을 확인해 보니 어느샌가
【Untitled】라는 곡이 들어가 있는 것을 깨닫는다.
기며 곡을 재생한 순간, 소녀는 하얀 빛에 휩싸여
낯선 곳에 와 버린다.

놀라는 소녀의 눈 앞에는...


『어서 와, 세카이에!』


"하츠네 미쿠"가 서 있었다.
당황하는 소녀에게 미쿠는 손을 내밀며 미소를 짓는다.

「같이 노래하자!」


『진정한 마음』
그리고 『나의 노래』를 발견하는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시스템[편집 | 원본 편집]

리듬 게임[편집 | 원본 편집]

에어리어[편집 | 원본 편집]


게임 실행 후 등장인물의 일상 대화를 볼 수 있는 곳으로, 크게 현대 일본을 배경으로 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인 "세카이"로 나뉜다. 현실 세계의 인물은 악곡 Untitled ("진정한 마음"을 찾은 이후에는 각 유닛의 테마곡)를 통해 이 세카이로 진입해 하츠네 미쿠와 다른 버츄얼 싱어들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리[편집 | 원본 편집]

의상[편집 | 원본 편집]

버츄얼 라이브[편집 | 원본 편집]

수록 악곡[편집 | 원본 편집]

디스코그래피[편집 | 원본 편집]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VIRTUAL SINGER[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1.png
전 세계 크리에이터의
노래와 마음을 표현해 주는 싱어들
Pjsekai virtual hatsune miku now.png Pjsekai virtual kagamine rin now.png Pjsekai virtual kagamine ren now.png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 카가미네 렌
Pjsekai virtual megunire ruka now.png Pjsekai virtual meiko now.png Pjsekai virtual kaito now.png
메구리네 루카 MEIKO KAITO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VOCALOID 라이브러리 캐릭터인 MEIKO, KAIT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가 인게임에서는‘Virtual Singer’라는 이름의 유닛에 속해 있다. 하츠네 미쿠를 제외한 5명의 캐릭터는 메인 스토리 기준 각 세카이에 한 가지 모습으로만 존재하나 하츠네 미쿠는 다섯 가지 세카이에 각자 다른 모습으로 존재해, 본모습까지 총 6가지의 모습을 가진다.[7] 현재는 모든 세카이의 캐릭터들이 등장했다.

Leo/need[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2.png
엇갈림을 극복하고 결성된
소꿉친구 밴드 유닛
Pjsekai leoneed hoshino ichika now.png Pjsekai leoneed tenma saki now.png Pjsekai leoneed mochizuki honami now.png Pjsekai leoneed hinomori shiho now.png
호시노 이치카 텐마 사키 모치즈키 호나미 히노모리 시호

MORE MORE JUMP![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3.png
아이돌을 꿈꾸는 한 소녀와
아이돌을 그만둔 세 소녀의 이색 아이돌 유닛
Pjsekai moremorejump hanasato minori now.png Pjsekai moremorejump kiritani haruka now.png Pjsekai moremorejump momoi airi now.png Pjsekai moremorejump hinomori shizuku now.png
하나사토 미노리 키리타니 하루카 모모이 아이리 히노모리 시즈쿠

Vivid BAD SQUAD[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4.png
'전설'을 뛰어넘기 위해 모인
실력파 스트리트 유닛
Pjsekai vivid azusawa kohane now.png Pjsekai vivid shiraishi an now.png Pjsekai vivid shinonome akito now.png Pjsekai vivid aoyagi toya now.png
아즈사와 코하네 시라이시 안 시노노메 아키토 아오야기 토야

원더랜즈×쇼타임[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5.png
오늘도 튀어나온다, 원더호~이 !
천방지축 쇼 유닛
Pjsekai wonderlands tenma tsukasa now.png Pjsekai wonderlands ootori emu now.png Pjsekai wonderlands kusanagi nene now.png Pjsekai wonderlands kamishiro rui now.png
텐마 츠카사 오오토리 에무 쿠사나키 네네 카미시로 루이

25시, 나이트 코드에서.[편집 | 원본 편집]

Pjsekai logo group06.png
25시, 밤이 찾아오면 움직이기 시작한다.
정체불명의 음악 서클
Pjsekai 25ji yoisaki kanade now.png Pjsekai 25ji asahina mafuyu now.png Pjsekai 25ji shinonome ena now.png Pjsekai 25ji akiyama mizuki now.png
요이사키 카나데 아사히나 마후유 시노노메 에나 아키야마 미즈키

각종 매체[편집 | 원본 편집]

논란[편집 | 원본 편집]

한국 서버[편집 | 원본 편집]

레트로 의상 검열 논란[편집 | 원본 편집]

출시 후 약 일주일 만에 트위터 발 불만 제기로 인해 운영진이 당시 '다이쇼 의상'이라 지칭한 '레트로 의상'을 한국 서버에서는 내놓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8] 이에 대해 상당수의 유저가 트위터가 아닌 타 커뮤니티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미흡했음을 거세게 비판했으며, 이는 운영 측이 한국의 커뮤니티 동향을 파악하지 못해 발생한 문제로 추정된다. 출시 찬성파들은 '다이쇼 의상'이라 부르는 이 레트로 의상에 불만을 제기하는 시각에 대해 전범기와 같이 당시 시대의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상징하는 것이 아닌 당시 시대의 생활상 전체를 문제 삼는 것은 비약이라고 지적하였다.

해당 논란이 발생한 이후 당시 인게임내 이벤트에서 높은 랭킹을 차지한 유저들이 프로필을 트위터 유저나 페미니스트[9]를 비방하는 문구로 바꿔 프로세카의 운영을 까 내리는 움직임이 관찰되었다. 또한 환불 승인을 받았다고 자랑하거나 방법을 공유하는 등 '중립 기어'를 박은 유저와 비판 및 비난과 함께 게임을 접거나 환불러시를 하는 유저로 나뉘어 혼란이 가중되었다.

관련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Craft Egg의 자회사
  2. [Rehearsal Edit.] 2020년 9월 5일 - 11일
  3. [Closed Beta] 2021년 8월 30일 - 9월 6일
  4. [Closed Beta] 2021년 10월 4일 - 19일
  5. [Closed Beta] 2022년 4월 7일 - 14일
  6. 밴드 유닛 Leo/need호시노 이치카이다.
  7. 사실 카가미네 린은 VIRTUAL SINGER 스토리 중 하나인 스트리트 세카이 스토리에 비배스 린으로 등장했다.
  8. 류, 종화, “과연 어디까지가 '다이쇼 로망'일까?”, 《게임메카》, 2022년 5월 26일 작성. 2022년 5월 29일 확인.
  9. 트위터 유저의 상당수가 페미니즘을 지지한다는 인식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해당 논란과 페미니즘 사이에는 연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