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충청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신창역 (북한)|[[장항선]]의 신창역|북한의 철도역}}
{{다른 뜻|신창역 (북한)|[[장항선]]의 신창역|북한의 철도역}}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이름    = 신창(순천향대)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역명 = KORAIL 신창<small>(순천향대)</small>역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그림 =  
|글자색   = white
|역번호 = {{역번호/한국|P177|수도권|1}}
|그림     = Sinchang Station.jpg
|역코드 =
|그림설명 =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
|그림alt  =  
|개업일 = {{날짜/출력|1922-6-15}}<small>([[장항선]])</small><br>{{날짜/출력|2008-12-15}}<small>([[수도권 전철 1호선]])</small>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
|폐지일 =
|번호    = {{역번호/한국|P177|수도권|1}}
|관할 = [[한국철도공사]]
|노선    = [[장항선]] <small>19.4 km</small>
|승강장 = 2면 4선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임구역 =  
|개업일  = [[1922년]] [[6월 15일]]
|이용객 =
|폐지일   =  
|노선 = [[장항선]] <small>19.4 km</small>
|코드    =  
|승강장   = 2면 4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신창역}}<br />新昌驛 / Sinchang Station


== 개요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행목리 346-46)에 위치한 지상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행목리 346-46)에 위치한 지상역.


부기역명<ref>항간에는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근거로 병기역명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코레일 내부 규정 상으로는 부기역명이다.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가 되었을 뿐...</ref>은 [[순천향대학교]]에서 따왔다. 이전까지는 부기역명으로 [[한국폴리텍Ⅳ대학]](아산캠퍼스)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7년 6월 30일부로 만료되어 삭제되었다. 순천향대학교는 폴리텍대학교보다 훨씬 더 멀리 있는데도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되었다.  
부기역명<ref>항간에는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근거로 병기역명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코레일 내부 규정 상으로는 부기역명이다.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가 되었을 뿐...</ref>은 [[순천향대학교]]에서 따왔다. 이전까지는 부기역명으로 [[한국폴리텍Ⅳ대학]](아산캠퍼스)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7년 6월 30일부로 만료되어 삭제되었다. 순천향대학교는 폴리텍대학교보다 훨씬 더 멀리 있는데도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되었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과 누리로 열차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누리로 열차의 경우 역 진입시 건넘선을 통해 넘어오고 수도권 전철은 진입할 때는 선로를 바꾸지 않고 들어왔다가 천안 방향으로 되돌아나갈시 건넘선을 이용한다. 누리로 열차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에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993324 서울~신창(아산)간 누리로열차 내년 2월 운행 재개], 중앙일보, 2016년 12월 12일 작성.</ref> 이외의 [[장항선]] 일반열차들은 이 역을 죄다 통과한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과 누리로 열차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누리로 열차의 경우 역 진입시 건넘선을 통해 넘어오고 수도권 전철은 진입할 때는 선로를 바꾸지 않고 들어왔다가 천안 방향으로 되돌아나갈시 건넘선을 이용한다. 누리로 열차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에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993324 서울~신창(아산)간 누리로열차 내년 2월 운행 재개], 중앙일보, 2016년 12월 12일 작성.</ref> 이외의 [[장항선]] 일반열차들은 이 역을 죄다 통과한다.


== 역 구조 ==
== 시설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수도권 전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수도권 전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31번째 줄: 34번째 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오른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오른쪽 승강장=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서울역|서울]]·[[광운대역|광운대]] 방면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 · [[서울역|서울]]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장항선]]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장항선]]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41번째 줄: 44번째 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오른쪽 승강장=3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천안역|천안]]·[[수원역|수원]]·[[서울역|서울]] 방면
  |승강장 번호=3번|승강장 정보='''1호선''' [[천안역|천안]] · [[수원역|수원]] · [[서울역|서울]]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오른쪽 승강장=4번 승강장|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승강장 번호=4번|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59번째 줄: 62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장항선|노선거리=19.4 km
|노선명=308 [[장항선]]|노선거리=19.4 km
|전방면=[[천안역|천안]] 방면|전역=[[온양온천역|온양온천]]|전거리=5.1 km
|전방면=[[천안역|천안]] 방면|전역=[[온양온천역|온양온천]]|전거리=5.1 km
|당역='''신창'''
|당역='''신창'''
68번째 줄: 71번째 줄: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청량리역|{{색|red|청량리}}]] 방면<br>[[광운대역|광운대]] 방면|전역={{역번호/한국|P176|수도권|1}} [[온양온천역|온양온천]]|전거리=5.1 km|등급=신창급행<br>완행
{{경유 계통|전방면=[[청량리역|{{색|red|청량리}}]] 방면<br />[[광운대역|광운대]] 방면|전역={{역번호/한국|P176|수도권|1}} [[온양온천역|온양온천]]|전거리=5.1 km|등급=신창급행<br />완행
|당역={{역번호/한국|P177|수도권|1}} '''신창'''
|당역={{역번호/한국|P177|수도권|1}} '''신창'''
|후방면=|후역=}}
|후방면=|후역=}}
79번째 줄: 81번째 줄:


[[분류:장항선]]
[[분류:장항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충청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아산시의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6.76949036550064|126.95018112659454|14|신창역}}
[[분류:천안아산관리역]]

2023년 9월 20일 (수) 15:49 기준 최신판

신창(순천향대)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
번호  P177 
노선 장항선 19.4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개업일 1922년 6월 15일
승강장 2면 4선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행목리 346-46)에 위치한 지상역.

부기역명[1]순천향대학교에서 따왔다. 이전까지는 부기역명으로 한국폴리텍Ⅳ대학(아산캠퍼스)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7년 6월 30일부로 만료되어 삭제되었다. 순천향대학교는 폴리텍대학교보다 훨씬 더 멀리 있는데도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되었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과 누리로 열차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누리로 열차의 경우 역 진입시 건넘선을 통해 넘어오고 수도권 전철은 진입할 때는 선로를 바꾸지 않고 들어왔다가 천안 방향으로 되돌아나갈시 건넘선을 이용한다. 누리로 열차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에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2] 이외의 장항선 일반열차들은 이 역을 죄다 통과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수도권 전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본래 오목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으며, 1926년 역명을 충남신창역으로 개칭했다가 1955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하였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왜 이런 오지에 역을 만들었나... 싶을 정도로 주변에 논밭과 한국폴리텍Ⅳ대학 말고는 이렇다 할 건물이 보이지 않는데, 신기하게도 적잖은 수요를 가지고 있는 역이다. 서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순천향대학교가 있고, 남쪽으로는 경찰대학이 버티고 있어, 그 통학/통근량으로 먹고사는 역이다. 어느 쪽도 걸어서 갈 수준은 아니고, 역 바로 옆에 셔틀버스가 운행하니 그거를 이용해서 다닌다.

본래 1호선 연장구간의 계획상 종점은 온양온천역이었는데, 바로 코앞에서 열차가 끊기는 것을 매우 유감스러워 하던 순천향대가 적극적으로 요구하여 신창역이 추가된 것이다. 이에 질세라 도고면에선 "온양온천은 되는데 왜 도고온천은 안되나", 라는 식의 논리로 그 다음인 도고온천역까지 연장해달라는 요구를 했으나, 도고면 일대가 온양동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시골이다보니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만 도고온천 연장은 아직도 아산 지역의 선거 공약으로서 심심찮게 이용되고 있다. 그 다음 타자는 예산군(예산역)과 홍성군(충남도청)이 도사리고 있다. 다만 홍성군에는 서해선 EMU가 들어올 예정이긴 하다. 전철은 송산에서 끊기지만.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천안 방면
온양온천 5.1 km
신창 익산 방면
도고온천 5.8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청량리 방면
광운대 방면
 P176  온양온천
 P177  신창
신창급행
완행
(시·종착)

각주

  1. 항간에는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근거로 병기역명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코레일 내부 규정 상으로는 부기역명이다. 병기역명에 준하여 표기가 되었을 뿐...
  2. 서울~신창(아산)간 누리로열차 내년 2월 운행 재개, 중앙일보, 2016년 12월 12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