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7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 雲井驛 / Unjeong Station / 云井 / ウンジョン</big>
{{새 철도역 정보
{{정보상자
|이름     = 운정
|이름=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전체모양 = width:285px;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글자색  = white
|항목모양=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그림    = Unjeong Station.jpg
|항목1=운영주체
|그림설명 =
|내용1=[[코레일]] 서울본부</td></tr>
|그림alt  =  
<tr><td colspan="2" style="margin: 0; padding:0;">
|주소    =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br />([[야당동]] 299-4)
{{정보상자
|번호    = {{역번호/한국|K329|수도권|경의중앙}}
|정보상자아님=예
|노선    = [[경의선]] <small>30.4 km</small>
|전체속성 = collapsible collapsed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subbox = yes
|개업일  = [[1956년]] [[5월 11일]]
|작은제목= 세부 정보
|폐지일  =  
|작은제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코드    = 397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승강장  = 2면 4선
|항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text-align:left;
|관련역  =  
|항목3=개업일
|참고    =  
|내용3= 1956년 5월 11일
|비고    =  
|항목4=등급
|하위 틀  =  
|내용4= [[무배치간이역]]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 '''[[경의선]]'''
|-
| style="width: 170px;" | <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br/>'''[[야당역|야 당]]'''
| style="width: 30px;" | <small>1.5<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운 정'''</big>
| style="width: 30px;"| <small>3.1<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도라산역|도라산]] 방면</small><br/>'''[[금릉역|금 릉]]'''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GJ}};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
| style="width: 170px;" | <small>[[문산역|문산]] 방면</small><br/>'''[[금릉역|금 릉]]'''<br/><small>K330</small>
| style="width: 30px;" | <small>3.1<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운 정'''</big><br/><small>K329</small>
| style="width: 30px;"| <small>1.5<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서울역|서울]] · [[용문역|용문]] 방면</small><br/>'''[[야당역|야 당]]'''<br/><small>K327</small>
|}


== 개요 ==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舊 [[야당동]] 299-4)에 위치한 지상역.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舊 [[야당동]] 299-4)에 위치한 지상역.
=== 주요 계통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S|GJ}};"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
| style="width: 170px;" | [[금릉역|금 릉]]<br/><small>[[문산역|문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1역'''<br/><big>'''↔'''</big>
| style="width: 160px;" | 문산-용산 급행
| style="width: 45px;"| '''1역'''<br/><big>'''↔'''</big>
| style="width: 170px;" | [[탄현역|탄 현]]<br/><small>[[용문역|용문]]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금촌역|금 촌]]<br/><small>[[대곡역|대곡]] · [[문산역|문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2역'''<br/><big>'''↔'''</big>
| style="width: 160px;" | 문산/대곡-서울 급행
| style="width: 45px;"| '''3역'''<br/><big>'''↔'''</big>
| style="width: 170px;" | [[일산역|일 산]]<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금릉역|금 릉]]<br/><small>[[문산역|문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big>'''↔'''</big>
| style="width: 160px;" | 용산-용문 급행
| style="width: 45px;"| <big>'''↔'''</big>
| style="width: 170px;" | [[야당역|야 당]]<br/><small>[[용문역|용문]]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금릉역|금 릉]]<br/><small>[[문산역|문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완행(전구간)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야당역|야 당]]<br/><small>[[용문역|용문]]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금릉역|금 릉]]<br/><small>[[대곡역|대곡]] · [[문산역|문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문산/대곡-서울 완행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야당역|야 당]]<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 역사 ==
== 역사 ==
[[1956년]] [[5월 1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br/>
[[1960년]] [[12월 11일]] : 운전간이역으로 승격<br/>
[[1973년]] [[1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br/>
[[1988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br/>
[[2009년]] [[3월 1일]] : 임시역사 준공 및 신역사 착공<br/>
[[2009년]] [[3월 10일]] : 구 역사 철거<br/>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br/>
[[2011년]] [[9월 8일]] : 기존 임시역사를 폐쇄하고 신역사로 이전<br/>
[[2012년]] [[5월 1일]] : 급행열차 정차 개시


== 특징 ==
== 특징 ==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2016년 이후 성장이 정체된 다수의 경의선 전철역과는 다르게 승하차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심지어 [[야당역]] 개통 이후 2016년에 승하차량이 한 번 크게 폭락하였지만, 성장세를 이어나가 2018년에 야당역 개통 이전의 승하차량을 회복하였다. 이렇듯 운정신도시 입주민 증가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운정신도시 전체 인구에 비하면 분담률은 낮은 편이다. 역이 운정신도시 동쪽 끝에 치우쳐저 있어 운정신도시 서쪽과 교하지구에서 접근이 힘들다는 점이 매우 크며, 따라서 서울도심방면 광역버스에 수요를 내주고 있다. 경의·중앙선이 노선 자체의 도심방면 접근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이를 상쇄할만한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와 지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분담률 향상에는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GTX]]-A선 운정역은 이와 다르게 운정 신도시 정중앙에 있어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개통 시 경의선 운정역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의선]] [[야당역|야당]]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1번<br />2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서울역]] · [[용산역|용산]] · [[용문역 (양평)|용문]]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의선]] [[야당역|야당]]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의선]] [[금릉역|금릉]]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3번<br />4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 · [[파주역|파주]] · [[금촌역|금촌]]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의선]] [[금릉역|금릉]]
}}
}}


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3 [[경의선]]|노선거리=30.4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야당역|야당]]|전거리=1.5 km
|당역='''운정'''
|후방면=[[도라산역|도라산]] 방면|후역=[[금릉역|금릉]]|후거리=3.1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31|수도권|경의중앙|ls=-0.05}} [[금촌역|금촌]]|전거리=5.2 km
|당역={{역번호/한국|K329|수도권|경의중앙|ls=-0.05}} '''행신'''|등급=서울역급행
|후방면=[[서울역|서울]] 방면|후역={{역번호/한국|K326|수도권|경의중앙|ls=-0.05}} [[일산역|일산]]|후거리=5.3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30|수도권|경의중앙|ls=-0.05}} [[금릉역|금릉]]|전거리=3.1 km
|전합치기=2|당역={{역번호/한국|K329|수도권|경의중앙|ls=-0.05}} '''행신'''|등급=용산급행
|후방면=[[용문역 (양평)|용문]] 방면|후역={{역번호/한국|K327|수도권|경의중앙|ls=-0.05}} [[탄현역|탄현]]|후거리=3.6 km}}
{{경유 계통/전생략|당역표시=1|당역={{역번호/한국|K329|수도권|경의중앙|ls=-0.05}} '''행신'''|등급=완행
|후방면=[[서울역|서울]] · [[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328|수도권|경의중앙|ls=-0.05}} [[야당역|야당]]|후거리=1.5 km}}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 경의선]]
[[분류:경의선]]
[[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2023년 9월 19일 (화) 11:04 기준 최신판

운정
주소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
(야당동 299-4)
번호  K329 
노선 경의선 30.4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1956년 5월 11일
코드 397
승강장 2면 4선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舊 야당동 299-4)에 위치한 지상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2016년 이후 성장이 정체된 다수의 경의선 전철역과는 다르게 승하차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심지어 야당역 개통 이후 2016년에 승하차량이 한 번 크게 폭락하였지만, 성장세를 이어나가 2018년에 야당역 개통 이전의 승하차량을 회복하였다. 이렇듯 운정신도시 입주민 증가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운정신도시 전체 인구에 비하면 분담률은 낮은 편이다. 역이 운정신도시 동쪽 끝에 치우쳐저 있어 운정신도시 서쪽과 교하지구에서 접근이 힘들다는 점이 매우 크며, 따라서 서울도심방면 광역버스에 수요를 내주고 있다. 경의·중앙선이 노선 자체의 도심방면 접근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이를 상쇄할만한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와 지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분담률 향상에는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GTX-A선 운정역은 이와 다르게 운정 신도시 정중앙에 있어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개통 시 경의선 운정역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야당 1.5 km
운정 도라산 방면
금릉 3.1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331  금촌
 K329  행신
서울역급행
서울 방면
 K326  일산
문산 방면
 K330  금릉
 K329  행신
용산급행
용문 방면
 K327  탄현
 K329  행신
완행
서울 · 지평 방면
 K328  야당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