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ucumber / {{루비|胡瓜|きゅうり}} 제비꽃목 박과에 속하는 채소로, 녹색에 기다란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 백다다기오이, 노각오이 등...)
 
(자동 찾아 바꾸기: 「됬」(을)를 「됐」(으)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ucumbers.jpg|섬네일]]
Cucumber / {{루비|胡瓜|きゅうり}}
Cucumber / {{루비|胡瓜|きゅうり}}
 
== 개요 ==
제비꽃목 박과에 속하는 [[채소]]로, 녹색에 기다란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 백다다기오이, 노각오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수박]], [[멜론]]이랑 같은 과기 때문에 안이 수분으로 가득 차 있다.
제비꽃목 박과에 속하는 [[채소]]로, 녹색에 기다란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 백다다기오이, 노각오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수박]], [[멜론]]이랑 같은 과기 때문에 안이 수분으로 가득 차 있다.


시원한 맛으로 먹기 때문에 대부분 차가운 요리에 많이 쓰인다. [[한국]]에선 오이소박이, 오이무침, 오이냉국 등으로 해먹으며, 외국에선 [[월남쌈]]이나 [[샐러드]], [[카나페]]에 자주 등장하는 채소다. 특히 [[피클]]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많이 만들어지는 게 바로 오이피클. [[영국]]에선 오이와 [[마요네즈]]로만 만든 [[샌드위치]]가 인기 있다. 먹는 용도를 제외하면 썰어서 마스크팩으로 자주 쓰인다.
시원한 맛으로 먹기 때문에 대부분 차가운 요리에 많이 쓰인다. [[한국]]에선 오이소박이, 오이무침, 오이냉국 등으로 해먹으며, 외국에선 [[월남쌈]]이나 [[샐러드]], [[카나페]]에 자주 등장하는 채소다. 특히 [[피클]]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많이 만들어지는 게 바로 오이피클. [[영국]]에선 오이와 [[마요네즈]]로만 만든 [[샌드위치]]가 인기 있다. 먹는 용도를 제외하면 썰어서 마스크팩으로 자주 쓰인다.


다만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싫어하는 사람들은 [[김밥]], [[짜장면]], [[냉면]]에 들어가는 오이조차 싫어하며, 심지어 [[페이스북]]에 [https://ko-kr.facebook.com/cucumberhaters/ 오이 싫어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란 그룹이 만들어졌을 정도.
다만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생오이는 싫어하지만 피클이나 오이지 무침은 잘 먹는 경우도 있고 중증으로 싫어하는 사람들은 [[김밥]], [[짜장면]], [[냉면]]에 들어가는 오이조차 싫어하며 오이가 묻은 음식은 손도대지 않는다.  심지어 [[페이스북]]에 [https://ko-kr.facebook.com/cucumberhaters/ 오이 싫어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란 그룹이 만들어졌을 정도다. 오이를 싫어하는 경우 다른 박과식물도 같이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다른 박과 식물은 잘 먹지만 오이만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의 경우 오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에 비해 쓴맛을 느끼는 미각기관이 더욱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싫어한다. 이런 사람의 경우 침을 삼키거나 맹물을 마실 때도 약간의 쓴맛을 느낀다고 한다.
 
중국에서 오이에 피임약(!)을 발라서 문제가 됐던적이 있었다. 오이에 피임약을 바른 이유는 오이에 신선도를 높이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피임약을 바른 오이는 맛이 매우 썼다고...


{{각주}}
{{각주}}
[[분류:채소]]
[[분류:채소]]

2022년 1월 20일 (목) 11:38 기준 최신판

Cucumbers.jpg

Cucumber / 胡瓜(きゅうり)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제비꽃목 박과에 속하는 채소로, 녹색에 기다란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 백다다기오이, 노각오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수박, 멜론이랑 같은 과기 때문에 안이 수분으로 가득 차 있다.

시원한 맛으로 먹기 때문에 대부분 차가운 요리에 많이 쓰인다. 한국에선 오이소박이, 오이무침, 오이냉국 등으로 해먹으며, 외국에선 월남쌈이나 샐러드, 카나페에 자주 등장하는 채소다. 특히 피클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많이 만들어지는 게 바로 오이피클. 영국에선 오이와 마요네즈로만 만든 샌드위치가 인기 있다. 먹는 용도를 제외하면 썰어서 마스크팩으로 자주 쓰인다.

다만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생오이는 싫어하지만 피클이나 오이지 무침은 잘 먹는 경우도 있고 중증으로 싫어하는 사람들은 김밥, 짜장면, 냉면에 들어가는 오이조차 싫어하며 오이가 묻은 음식은 손도대지 않는다. 심지어 페이스북오이 싫어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란 그룹이 만들어졌을 정도다. 오이를 싫어하는 경우 다른 박과식물도 같이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다른 박과 식물은 잘 먹지만 오이만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의 경우 오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에 비해 쓴맛을 느끼는 미각기관이 더욱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싫어한다. 이런 사람의 경우 침을 삼키거나 맹물을 마실 때도 약간의 쓴맛을 느낀다고 한다.

중국에서 오이에 피임약(!)을 발라서 문제가 됐던적이 있었다. 오이에 피임약을 바른 이유는 오이에 신선도를 높이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피임약을 바른 오이는 맛이 매우 썼다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