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六十甲子
{{다른 뜻}}
==개요==
'''간지'''(干支)는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60진법 [[숫자]] 표기이자 율력 체계의 일종이다. 10개의 [[십간|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십이지|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이를 합쳐 간지라고 이른다.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간지(干支)라고 칭하기도 한다. 10개의 간과, 12개의 지를 조합하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ㅈ|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다}}에 육십갑자라고 부르는 것이며, 줄여서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이 육갑이라는 약칭은 욕설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함부로 썼다가는 실컷 두들겨 맞거나 다른 욕을 한바가지 거하게 얻어먹을 수 있을 것이다.
 
10개의 간과, 12개의 지를 조합하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ㅈ|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다}}에 '''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도 부르며, 줄여서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이 육갑이라는 약칭은 [[욕설]]로도 사용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10개의 천간==
==10개의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구성된다.
{{본문|십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계약서에서 갑과 을이라는 말의 유래가 바로 이 천간의 글자들에서 유래한 것이다.


==12개의 지지==
{{본문|십이지}}
{{십이지}}


==12개의 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된다.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십이지]]문서를 참조하자.


==사용되는 곳==
==사용되는 곳==
*기년법에의 사용 : 매년 새해가 될 때 마다 "OO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는 인삿말 중 OO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어가 바로 이 육십갑자이다. 이를 두고 세차(歲次)라고도 한다.
*기년법에의 사용 : 매년 새해가 될 때마다 "OO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는 인삿말 중 OO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어가 바로 이 육십갑자이다. 이를 두고 세차(歲次)라고도 한다. 축문에서 유 세차... 이렇게 시작하는 것이 바로 이것.
*날짜 기록에의 사용 : 음력에서의 월과 일도 이 육십갑자가 붙여진다.{{ㅈ|월에는 천간은 붙지 않고 간지만 붙는다 이를 두고 월건(月建)이라고 하며, 음력11월(동짓달 기준)이 시작이 된다. 단, [[윤달]]에는 월건이 붙지 않는다. 덤으로 더 생긴 달이라는 개념.}}  이 경우를 두고 일진(日辰)이라고 한다.
*날짜 기록에의 사용 : 음력에서의 월과 일도 이 육십갑자가 붙여진다.{{ㅈ|월에는 천간은 붙지 않고 간지만 붙는다 이를 두고 월건(月建)이라고 하며, 음력11월(동짓달 기준)이 시작이 된다. 단, [[윤달]]에는 월건이 붙지 않는다. 덤으로 더 생긴 달이라는 개념.}}  이 경우를 두고 일진(日辰)이라고 한다. 오늘 일진이 좋다거나 사납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시간 기록에의 사용 : 12지가 기본 시가 되지만, 각 시각을 육십갑자를 순환시키면서 이름을 붙인다. 이를 두고 시지(時支)라고 한다.
*시간 기록에의 사용 : 12지가 기본 시가 되지만, 각 시각을 육십갑자를 순환시키면서 이름을 붙인다. 이를 두고 시지(時支)라고 한다.


20번째 줄: 22번째 줄:


==목록==
==목록==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align="center"
|-
||[[갑자]]<br>(甲子)||[[을축]]<br>(乙丑)||[[병인]]<br>(丙寅)||[[정묘]]<br>(丁卯)||[[무진]]<br>(戊辰)||[[기사]]<br>(己巳)||[[경오]]<br>(庚午)||[[신미]]<br>(辛未)||[[임신]]<br>(壬申)||[[계유]]<br>(癸酉)||[[갑술]]<br>(甲戌)||[[을해]]<br>(乙亥)
! 순서
|-align="center"
! 간지
|[[병자]]<br>(丙子)||[[정축]]<br>(丁丑)||[[무인]]<br>(戊寅)||[[기묘]]<br>(己卯)||[[경진]]<br>(庚辰)||[[신사]]<br>(辛巳)||[[임오]]<br>(壬午)||[[계미]]<br>(癸未)||[[갑신]]<br>(甲申)||[[을유]]<br>(乙酉)||[[병술]]<br>(丙戌)||[[정해]]<br>(丁亥)
! 납음
|-align="center"
! 연도
|[[무자]]<br>(戊子)||[[기축]]<br>(己丑)||[[경인]]<br>(庚寅)||[[신묘]]<br>(辛卯)||[[임진]]<br>(壬辰)||[[계사]]<br>(癸巳)||[[갑오]]<br>(甲午)||[[을미]]<br>(乙未)||[[병신]]<br>(丙申)||[[정유]]<br>(丁酉)||[[무술]]<br>(戊戌)||[[기해]]<br>(己亥)
|-
|-align="center"
| 1
|[[경자]]<br>(庚子)||[[신축]]<br>(辛丑)||[[임인]]<br>(壬寅)||[[계묘]]<br>(癸卯)||[[갑진]]<br>(甲辰)||[[을사]]<br>(乙巳)||[[병오]]<br>(丙午)||[[정미]]<br>(丁未)||[[무신]]<br>(戊申)||[[기유]]<br>(己酉)||[[경술]]<br>(庚戌)||[[신해]]<br>(辛亥)
| 갑자(甲子)
|-align="center"
| 해중금(海中金)
|[[임자]]<br>(壬子)||[[계축]]<br>(癸丑)||[[갑인]]<br>(甲寅)||[[을묘]]<br>(乙卯)||[[병진]]<br>(丙辰)||[[정사]]<br>(丁巳)||[[무오]]<br>(戊午)||[[기미]]<br>(己未)||[[경신]]<br>(庚申)||[[신유]]<br>(辛酉)||[[임술]]<br>(壬戌)||[[계해]]<br>(癸亥)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인 해(<math>60 \times n + 4</math>년)<br />푸른 쥐의 해
|-
| 2
| 을축(乙丑)
| 해중금(海中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인 해(<math>60 \times n + 5</math>년)<br />푸른 소의 해, 청우의 해
|-
| 3
| 병인(丙寅)
| 노중화(爐中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6인 해(<math>60 \times n + 6</math>년)<br />붉은 호랑이의 해
|-
| 4
| 정묘(丁卯)
| 노중화(爐中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7인 해(<math>60 \times n + 7</math>년)<br />붉은 토끼의 해
|-
| 5
| 무진(戊辰)
| 대림목(大林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8인 해(<math>60 \times n + 8</math>년)<br />노란 용의 해, 황룡의 해
|-
| 6
| 기사(己巳)
| 대림목(大林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9인 해(<math>60 \times n + 9</math>년)<br />노란 뱀의 해
|-
| 7
| 경오(庚午)
| 노방토(路傍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0인 해(<math>60 \times n + 10</math>년)<br />흰 말의 해, 백마의 해
|-
| 8
| 신미(辛未)
| 노방토(路傍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1인 해(<math>60 \times n + 11</math>년)<br />흰 양의 해
|-
| 9
| 임신(壬申)
| 검봉금(劍鋒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2인 해(<math>60 \times n + 12</math>년)<br />검은 원숭이의 해
|-
| 10
| 계유(癸酉)
| 검봉금(劍鋒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3인 해(<math>60 \times n + 13</math>년)<br />검은 닭의 해
|-
| 11
| 갑술(甲戌)
| 산두화(山頭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4인 해(<math>60 \times n + 14</math>년)<br />푸른 개의 해
|-
| 12
| 을해(乙亥)
| 산두화(山頭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5인 해(<math>60 \times n + 15</math>년)<br />푸른 돼지의 해
|-
| 13
| 병자(丙子)
| 간하수(澗下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6인 해(<math>60 \times n + 16</math>년)<br />붉은 쥐의 해
|-
| 14
| 정축(丁丑)
| 간하수(澗下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7인 해(<math>60 \times n + 17</math>년)<br />붉은 소의 해
|-
| 15
| 무인(戊寅)
| 성두토(城頭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8인 해(<math>60 \times n + 18</math>년)<br />
|-
| 16
| 기묘(己卯)
| 성두토(城頭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9인 해(<math>60 \times n + 19</math>년)<br />
|-
| 17
| 경진(庚辰)
| 백랍금(白鑞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0인 해(<math>60 \times n + 20</math>년)<br />
|-
| 18
| 신사(辛巳)
| 백랍금(白鑞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1인 해(<math>60 \times n + 21</math>년)<br />
|-
| 19
| 임오(壬午)
| 양류목(楊柳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2인 해(<math>60 \times n + 22</math>년)<br />
|-
| 20
| 계미(癸未)
| 양류목(楊柳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3인 해(<math>60 \times n + 23</math>년)<br />
|-
| 21
| 갑신(甲申)
| 정천수(井泉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4인 해(<math>60 \times n + 24</math>년)<br />
|-
| 22
| 을유(乙酉)
| 정천수(井泉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5인 해(<math>60 \times n + 25</math>년)<br />
|-
| 23
| 병술(丙戌)
| 옥상토(屋上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6인 해(<math>60 \times n + 26</math>년)<br />
|-
| 24
| 정해(丁亥)
| 옥상토(屋上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7인 해(<math>60 \times n + 27</math>년)<br />
|-
| 25
| 무자(戊子)
| 벽력화(霹靂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8인 해(<math>60 \times n + 28</math>년)<br />
|-
| 26
| 기축(己丑)
| 벽력화(霹靂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9인 해(<math>60 \times n + 29</math>년)<br />
|-
| 27
| 경인(庚寅)
| 송백목(松柏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0인 해(<math>60 \times n + 30</math>년)<br />
|-
| 28
| 신묘(辛卯)
| 송백목(松柏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1인 해(<math>60 \times n + 31</math>년)<br />
|-
| 29
| 임진(壬辰)
| 장류수(長流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2인 해(<math>60 \times n + 32</math>년)<br />
|-
| 30
| 계사(癸巳)
| 장류수(長流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3인 해(<math>60 \times n + 33</math>년)<br />
|-
| 31
| 갑오(甲午)
| 사중금(沙中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4인 해(<math>60 \times n + 34</math>년)<br />
|-
| 32
| 을미(乙未)
| 사중금(沙中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5인 해(<math>60 \times n + 35</math>년)<br />
|-
| 33
| 병신(丙申)
| 산하화(山下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6인 해(<math>60 \times n + 36</math>년)<br />
|-
| 34
| 정유(丁酉)
| 산하화(山下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7인 해(<math>60 \times n + 37</math>년)<br />
|-
| 35
| 무술(戊戌)
| 평지목(平地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8인 해(<math>60 \times n + 38</math>년)<br />
|-
| 36
| 기해(己亥)
| 평지목(平地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9인 해(<math>60 \times n + 39</math>년)<br />
|-
| 37
| 경자(庚子)
| 벽상토(壁上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0인 해(<math>60 \times n + 40</math>년)<br />
|-
| 38
| 신축(辛丑)
| 벽상토(壁上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1인 해(<math>60 \times n + 41</math>년)<br />
|-
| 39
| 임인(壬寅)
| 금박금(金箔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2인 해(<math>60 \times n + 42</math>년)<br />
|-
| 40
| 계묘(癸卯)
| 금박금(金箔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3인 해(<math>60 \times n + 43</math>년)<br />
|-
| 41
| 갑진(甲辰)
| 복등화(覆燈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4인 해(<math>60 \times n + 44</math>년)<br />
|-
| 42
| 을사(乙巳)
| 복등화(覆燈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5인 해(<math>60 \times n + 45</math>년)<br />
|-
| 43
| 병오(丙午)
| 천하수(天河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6인 해(<math>60 \times n + 46</math>년)<br />
|-
| 44
| 정미(丁未)
| 천하수(天河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7인 해(<math>60 \times n + 47</math>년)<br />
|-
| 45
| 무신(戊申)
| 대역토(大駅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8인 해(<math>60 \times n + 48</math>년)<br />
|-
| 46
| 기유(己酉)
| 대역토(大駅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9인 해(<math>60 \times n + 49</math>년)<br />
|-
| 47
| 경술(庚戌)
| 차천금(釵釧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0인 해(<math>60 \times n + 50</math>년)<br />
|-
| 48
| 신해(辛亥)
| 차천금(釵釧金)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1인 해(<math>60 \times n + 51</math>년)<br />
|-
| 49
| 임자(壬子)
| 상자목(桑柘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2인 해(<math>60 \times n + 52</math>년)<br />
|-
| 50
| 계축(癸丑)
| 상자목(桑柘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3인 해(<math>60 \times n + 53</math>년)<br />
|-
| 51
| 갑인(甲寅)
| 대계수(大溪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4인 해(<math>60 \times n + 54</math>년)<br />
|-
| 52
| 을묘(乙卯)
| 대계수(大溪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5인 해(<math>60 \times n + 55</math>년)<br />
|-
| 53
| 병진(丙辰)
| 사중토(沙中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6인 해(<math>60 \times n + 56</math>년)<br />
|-
| 54
| 정사(丁巳)
| 사중토(沙中土)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7인 해(<math>60 \times n + 57</math>년)<br />
|-
| 55
| 무오(戊午)
| 천상화(天上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8인 해(<math>60 \times n + 58</math>년)<br />
|-
| 56
| 기미(己未)
| 천상화(天上火)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9인 해(<math>60 \times n + 59</math>년)<br />
|-
| 57
| 경신(庚申)
| 자류목(柘榴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0인 해(<math>60 \times n</math>년)<br />
|-
| 58
| 신유(辛酉)
| 자류목(柘榴木)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60 \times n + 1</math>년)<br />
|-
| 59
| 임술(壬戌)
| 대해수(大海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60 \times n + 2</math>년)<br />
|-
| 60
| 계해(癸亥)
| 대해수(大海水)
|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60 \times n + 3</math>년)<br />
|-
|}
|}


{{주석}}
{{주석}}
[[분류:간지| ]]

2021년 12월 3일 (금) 01:39 기준 최신판

간지(干支)는 동아시아한자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60진법 숫자 표기이자 율력 체계의 일종이다.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이를 합쳐 간지라고 이른다.

10개의 간과, 12개의 지를 조합하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1]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도 부르며, 줄여서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이 육갑이라는 약칭은 욕설로도 사용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10개의 천간[편집 | 원본 편집]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계약서에서 갑과 을이라는 말의 유래가 바로 이 천간의 글자들에서 유래한 것이다.

12개의 지지[편집 | 원본 편집]

십이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곳[편집 | 원본 편집]

  • 기년법에의 사용 : 매년 새해가 될 때마다 "OO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는 인삿말 중 OO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어가 바로 이 육십갑자이다. 이를 두고 세차(歲次)라고도 한다. 축문에서 유 세차... 이렇게 시작하는 것이 바로 이것.
  • 날짜 기록에의 사용 : 음력에서의 월과 일도 이 육십갑자가 붙여진다.[2] 이 경우를 두고 일진(日辰)이라고 한다. 오늘 일진이 좋다거나 사납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 시간 기록에의 사용 : 12지가 기본 시가 되지만, 각 시각을 육십갑자를 순환시키면서 이름을 붙인다. 이를 두고 시지(時支)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해 사주에 들어가는 것이라 보면 된다.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순서 간지 납음 연도
1 갑자(甲子) 해중금(海中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 }[/math]년)
푸른 쥐의 해
2 을축(乙丑) 해중금(海中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 }[/math]년)
푸른 소의 해, 청우의 해
3 병인(丙寅) 노중화(爐中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6 }[/math]년)
붉은 호랑이의 해
4 정묘(丁卯) 노중화(爐中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7 }[/math]년)
붉은 토끼의 해
5 무진(戊辰) 대림목(大林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8 }[/math]년)
노란 용의 해, 황룡의 해
6 기사(己巳) 대림목(大林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9 }[/math]년)
노란 뱀의 해
7 경오(庚午) 노방토(路傍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0 }[/math]년)
흰 말의 해, 백마의 해
8 신미(辛未) 노방토(路傍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1 }[/math]년)
흰 양의 해
9 임신(壬申) 검봉금(劍鋒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2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2 }[/math]년)
검은 원숭이의 해
10 계유(癸酉) 검봉금(劍鋒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3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3 }[/math]년)
검은 닭의 해
11 갑술(甲戌) 산두화(山頭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4 }[/math]년)
푸른 개의 해
12 을해(乙亥) 산두화(山頭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5 }[/math]년)
푸른 돼지의 해
13 병자(丙子) 간하수(澗下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6 }[/math]년)
붉은 쥐의 해
14 정축(丁丑) 간하수(澗下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7 }[/math]년)
붉은 소의 해
15 무인(戊寅) 성두토(城頭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8 }[/math]년)
16 기묘(己卯) 성두토(城頭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9 }[/math]년)
17 경진(庚辰) 백랍금(白鑞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0 }[/math]년)
18 신사(辛巳) 백랍금(白鑞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1 }[/math]년)
19 임오(壬午) 양류목(楊柳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2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2 }[/math]년)
20 계미(癸未) 양류목(楊柳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3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3 }[/math]년)
21 갑신(甲申) 정천수(井泉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4 }[/math]년)
22 을유(乙酉) 정천수(井泉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5 }[/math]년)
23 병술(丙戌) 옥상토(屋上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6 }[/math]년)
24 정해(丁亥) 옥상토(屋上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7 }[/math]년)
25 무자(戊子) 벽력화(霹靂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8 }[/math]년)
26 기축(己丑) 벽력화(霹靂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2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9 }[/math]년)
27 경인(庚寅) 송백목(松柏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0 }[/math]년)
28 신묘(辛卯) 송백목(松柏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1 }[/math]년)
29 임진(壬辰) 장류수(長流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2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2 }[/math]년)
30 계사(癸巳) 장류수(長流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3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3 }[/math]년)
31 갑오(甲午) 사중금(沙中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4 }[/math]년)
32 을미(乙未) 사중금(沙中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5 }[/math]년)
33 병신(丙申) 산하화(山下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6 }[/math]년)
34 정유(丁酉) 산하화(山下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7 }[/math]년)
35 무술(戊戌) 평지목(平地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8 }[/math]년)
36 기해(己亥) 평지목(平地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3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9 }[/math]년)
37 경자(庚子) 벽상토(壁上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0 }[/math]년)
38 신축(辛丑) 벽상토(壁上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1 }[/math]년)
39 임인(壬寅) 금박금(金箔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2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2 }[/math]년)
40 계묘(癸卯) 금박금(金箔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3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3 }[/math]년)
41 갑진(甲辰) 복등화(覆燈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4 }[/math]년)
42 을사(乙巳) 복등화(覆燈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5 }[/math]년)
43 병오(丙午) 천하수(天河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6 }[/math]년)
44 정미(丁未) 천하수(天河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7 }[/math]년)
45 무신(戊申) 대역토(大駅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8 }[/math]년)
46 기유(己酉) 대역토(大駅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49 }[/math]년)
47 경술(庚戌) 차천금(釵釧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0 }[/math]년)
48 신해(辛亥) 차천금(釵釧金)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1 }[/math]년)
49 임자(壬子) 상자목(桑柘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2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2 }[/math]년)
50 계축(癸丑) 상자목(桑柘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3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3 }[/math]년)
51 갑인(甲寅) 대계수(大溪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4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4 }[/math]년)
52 을묘(乙卯) 대계수(大溪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5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5 }[/math]년)
53 병진(丙辰) 사중토(沙中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6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6 }[/math]년)
54 정사(丁巳) 사중토(沙中土)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7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7 }[/math]년)
55 무오(戊午) 천상화(天上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8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8 }[/math]년)
56 기미(己未) 천상화(天上火)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59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59 }[/math]년)
57 경신(庚申) 자류목(柘榴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0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math]년)
58 신유(辛酉) 자류목(柘榴木)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1 }[/math]년)
59 임술(壬戌) 대해수(大海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2 }[/math]년)
60 계해(癸亥) 대해수(大海水)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해([math]\displaystyle{ 60 \times n + 3 }[/math]년)

각주

  1. 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다
  2. 월에는 천간은 붙지 않고 간지만 붙는다 이를 두고 월건(月建)이라고 하며, 음력11월(동짓달 기준)이 시작이 된다. 단, 윤달에는 월건이 붙지 않는다. 덤으로 더 생긴 달이라는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