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박령: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지박령'''(地縛靈)은 본인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또는 이해하지 못해서) 사망한 장소에 붙박혀 떠나지 못하는 유령을...)
 
잔글 (오류 수정 (빈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지박령'''(地縛靈)은 본인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또는 이해하지 못해서) 사망한 장소에 붙박혀 떠나지 못하는 [[유령]]을 말한다. 괴담 속에서 흔한, 건물에 나온다는 자살자의 원혼 등이 이 지박령. [[영어]]로는 '''레스틀리가이스트'''(restligeist)라고 한다.
'''지박령'''(地縛靈)은 본인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또는 이해하지 못해서) 사망한 장소에 붙박혀 떠나지 못하는 [[유령]]을 말한다. 괴담 속에서 흔히 나오는, 건물에 출몰하는 자살자의 원혼 등이 바로 지박령이다. [[영어]]로는 '''레스틀리가이스트'''(restligeist)라고 한다.


1980년대 [[일본]]의 [[오컬트]] 붐 때 널리 퍼진 이후로 일본의 [[국어사전]]에도 등재된 용어다.
1980년대 [[일본]]의 [[오컬트]] 붐 때 널리 퍼진 이후로 일본의 [[국어사전]]에도 등재된 용어다.
8번째 줄: 8번째 줄:
이러한 지박령을 순리대로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지박령에게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해 제령(除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박령을 순리대로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지박령에게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해 제령(除靈)할 필요가 있다.


지박령 외에도 구천을 떠도는 유령은 존재하는데, 한 곳에 묶여있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유령은 부유령으로 구분한다. 부유령 중에서 특정 토지 및 건물에 얽매인 영을 지박령이라고 부르는 .
지박령 외에도 구천을 떠도는 유령은 존재하는데, 한 곳에 묶여있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유령은 부유령으로 구분한다. 부유령 중에서 특정 토지 및 건물에 얽매인 영을 지박령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대중문화 속의 지박령 ==
== 대중문화 속의 지박령 ==
미련이 남아 자신이 죽은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유령은 옛날 이야기에 흔히 등장하는 소재다. 현대의 오컬트를 다루는 작품에서도 흔하디흔한 레퍼토리. [[요괴]] 등이 나오는 오컬트 작품에만 국한하지 않고 [[러브 코미디]], [[개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서도 곧잘 등장한다.
미련이 남아 자신이 죽은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유령은 옛날 이야기에 흔히 등장하는 소재다. 현대의 오컬트를 다루는 작품에서도 흔하디흔한 레퍼토리. [[요괴]] 등이 나오는 오컬트 작품에만 국한하지 않고 [[러브 코미디]], [[개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서도 곧잘 등장한다. 일본의 [[서브컬처]] 작품에서, 공동주택(하숙집)에 붙박힌 미소녀 유령은 하나의 [[클리셰]]에 가깝다.
 
* [[만화]] 《[[마법선생 네기마!]]》의 등장인물 [[아이사카 사요]]는 학교에 붙박힌 유령이다.
* [[만화]] 《[[마법선생 네기마!]]》의 등장인물 [[아이사카 사요]]는 학교에 붙박힌 유령이다.
* 만화 《[[유라기장의 유우나 씨]]》의 히로인 유노하나 유우나는 유라기장 4호실에 붙박힌 지박령이다.
* [[라이트 노벨]] 《[[단칸방의 침략자!?]]》의 등장인물 [[히가시혼간 사나에]]는 코로나장 106호실에 붙박힌 지박령이다.
* [[라이트 노벨]] 《[[단칸방의 침략자!?]]》의 등장인물 [[히가시혼간 사나에]]는 코로나장 106호실에 붙박힌 지박령이다.
* 라이트 노벨 《[[이야기 시리즈]]》의 등장인물 [[하치쿠지 마요이]]는 한 곳을 헤매는 지박령이다.
* 라이트 노벨 《[[이야기 시리즈]]》의 등장인물 [[하치쿠지 마요이]]는 한 곳을 헤매는 지박령이다.

2021년 6월 20일 (일) 00:58 기준 최신판

지박령(地縛靈)은 본인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또는 이해하지 못해서) 사망한 장소에 붙박혀 떠나지 못하는 유령을 말한다. 괴담 속에서 흔히 나오는, 건물에 출몰하는 자살자의 원혼 등이 바로 이 지박령이다. 영어로는 레스틀리가이스트(restligeist)라고 한다.

1980년대 일본오컬트 붐 때 널리 퍼진 이후로 일본의 국어사전에도 등재된 용어다.

심령주의적 설명[편집 | 원본 편집]

사고나 재해 등으로 돌발적으로 사망한 사람은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미련과 원한을 품은 사람도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이러한 영혼들은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까지 하늘로 떠나지 못하고 줄곧 한 자리에 붙들려서 지상을 방황한다. 이것이 지박령이다.

이러한 지박령을 순리대로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지박령에게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해 제령(除靈)할 필요가 있다.

지박령 외에도 구천을 떠도는 유령은 존재하는데, 한 곳에 묶여있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유령은 부유령으로 구분한다. 부유령 중에서 특정 토지 및 건물에 얽매인 영을 지박령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대중문화 속의 지박령[편집 | 원본 편집]

미련이 남아 자신이 죽은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유령은 옛날 이야기에 흔히 등장하는 소재다. 현대의 오컬트를 다루는 작품에서도 흔하디흔한 레퍼토리. 요괴 등이 나오는 오컬트 작품에만 국한하지 않고 러브 코미디, 개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서도 곧잘 등장한다. 일본의 서브컬처 작품에서, 공동주택(하숙집)에 붙박힌 미소녀 유령은 하나의 클리셰에 가깝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