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행정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시'''는 대한민국북한행정구역 단위다. 대한민국에서 시는 특별자치도 에 존재한다. 또한 산...)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자치시와 행정시 ==
== 자치시와 행정시 ==
자치시는 말 그대로 자치가 가능한 시라는 뜻이며, 행정시는 자치권이 없다. 이름 그대로 행정구역으로서의 의미만 지닌다. 우리가 쉽게 보는 대부분의 시는 자치시이고, 행정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있다. 그래서 제주특별자치도가 바로 제주도 전체를 관할하게 된다. 다른 시들은 모두 자치시이다.
자치시는 말 그대로 자치가 가능한 시라는 뜻이며, 행정시는 자치권이 없다.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에는 행정시만 존재하였고, 지방자치 시행 이후에는 기존 행정시들이 대부분 자치시로 전환되었으며, 도농통합으로 행정시 인근의 군을 통합하는 형태의 도농복합시 형태로도 자치시가 다수 신설되었다. {{현재년}}년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산하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유이한 행정시로 남아있다. 즉, 자치시의 [[시장 (단체장)|시장]]은 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선출한 선출직 공무원이지만, 행정시의 시장은 상급 광역자치단체장이 임명하는 관선 공무원이라는 차이가 있다.


== [[도농복합시]] ==
== [[도농복합시]] ==
{{참고|도농복합시}}
{{참고|도농복합시}}


== 특례시 ==
지방자치 시행과 맞물려 행정구역 통폐합이 진행되면서 주로 농어촌 지역의 군과 시가 통합<ref>예를 들자면 현재의 [[익산시]]는 도농복합  적용 이전에는 이리시와 익산군으로 구분되어 있었다.</ref>하여 자치단체로서 출범한 형태이다.
쉽게 말해 대도시. 일반적으론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는 시를 이른다. 참고로 일반구 설치 기준은 인구 50만 이상+면적 1,000km<sup>2</sup>.
 
== [[특례시]] ==
[[광역시]]로 승격할 조건을 갖추었으나 [[서울특별시]]나 기존 광역시와 인접하여 광역시 승격이 제한되는 대도시이다. 지방자치법에 의거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할 수 있으며, 특례시 산하에는 일반구가 설치된다. {{현재년}}년 현재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고양시]], [[수원시]], [[용인시]] 및 [[부산광역시]]와 인접한 [[창원시]]가 특례시로 지정되어있다.
 
== 관청 ==
* 시청
*: 자치시와 행정시 모두 중심지에 시청이 설치되어있다. 도농복합시 출범 이전 행정군 시절 군청도 대부분 인접한 행정시 내부에 설치된 사례가 많았다. 지방자치 출범 이후 시의 재정상황에 따라 시청의 규모도 다양해졌다. 이를테면 인구가 많고 산업기반이 충실하여 세수가 안정적인 자치시의 시청은 어지간한 광역시청이나 도청보다도 으리으리한 외관과 규모를 갖춘 곳이 있는 반면<ref>대표적으로 [[성남시]]의 시청을 들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행정관청중 연면적 1위를 자랑하는 규모와 세련된 유리궁전 스타일로 건설되었다.</ref> 지방 농어촌 도농복합시의 시청은 지방자치 출범 이전 행정시 시절 시청을 그대로 물려받아 사용하면서 세월이 흐름에 따라 리모델링 또는 증축 등으로 예산을 절감하면서 버티는 곳도 존재한다.
 
* 시의회
*: 자치시의 경우 지방선거를 통해 시의원을 선출하며, 시의원들이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의회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시청과 시의회가 인접하거나 시청사 내부에 설치된 경우가 대다수이다.
 
* 구청
*: 자치시 예하에 일반구가 설치된 경우 관할구역의 행정편의를 위한 구청이 설치된다.
 
* [[경찰서]]
*: 인구가 많아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시는 보통 일반구의 명칭을 따르는 경찰서가, 일반구가 설치되지 않은 자치시는 시의 명칭을 따르는 경찰서가 설치된다. 물론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단체라도 도시구조에 따라 관할 경찰서의 명칭이 자치단체명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일반구가 여러곳인 자치시에는 중심경찰서가 설치되며 이 곳에는 일반적인 경찰서장 계급은 총경보다 훨씬 고위직인 경무관이 서장으로 보임된다.
 
* [[소방서]]
*: 경찰서와 유사하게 자치시의 명칭을 따르는 소방서가 설치되며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시에는 2곳 이상의 소방서가 설치되기도 한다.
 
*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청]] 및 [[대한민국 법원|법원]]
*: 검찰청사와 법원청사가 인접하여 건설되어 일명 법조타운을 형성하는 대한민국 특성상 자치시 중심지에는 고등검찰청·법원 예하 지방검찰청·법원이 설치되는 곳이 있다. 경찰서나 소방서와 다르게 모든 자치시의 영역에 법조타운이 설치되는것은 아니고 권역별로 나누어 중심지로 볼만한 지역에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같은 자치시라 하더라도 법조타운이 조성된 곳은 중요성이 높은 자치단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법조타운 규모가 꼭 해당 자치단체의 규모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예시로 특례시로 지정된 대도시인 [[고양시]]는 도시규모가 작은 [[의정부시]]에 설치된 의정부지방검찰청·법원의 하위 기관인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이 설치되어 격이 낮은 사례를 들 수 있다.


== 목록 ==
== 목록 ==
* 굵은 글꼴은 [[특례시]]이다.
=== [[경기도]] ===
=== [[경기도]] ===
{|
{|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고양시]]
* '''[[고양시]]'''
* [[과천시]]
* [[과천시]]
* [[광명시]]
* [[광명시]]
34번째 줄: 56번째 줄: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성남시]]
* [[성남시]]
* [[수원시]]
* '''[[수원시]]'''
* [[시흥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산시]]
43번째 줄: 65번째 줄:
* [[오산시]]
* [[오산시]]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용인시]]
* '''[[용인시]]'''
* [[의왕시]]
* [[의왕시]]
* [[의정부시]]
* [[의정부시]]
85번째 줄: 107번째 줄:
* [[양산시]]
* [[양산시]]
* [[진주시]]
* [[진주시]]
* [[창원시]]
* '''[[창원시]]'''
* [[통영시]]
* [[통영시]]


122번째 줄: 144번째 줄:
* [[남양주시|미금시]]
* [[남양주시|미금시]]
* [[평택시|송탄시]]
* [[평택시|송탄시]]
* [[인천광역시|인천시]]
* [[대전광역시|대전시]]
* [[보령시|대천시]]
* [[보령시|대천시]]
* [[아산시|온양시]]
* [[아산시|온양시]]
133번째 줄: 153번째 줄:
* [[창원시|진해시]]
* [[창원시|진해시]]
* [[통영시|충무시]]
* [[통영시|충무시]]
* [[대구광역시|대구시]]
* [[문경시|점촌시]]
* [[문경시|점촌시]]
* [[광양시|동광양시]]
* [[광양시|동광양시]]
* [[광주광역시|광주시]]
* [[송정동|송정시]]
* [[송정동|송정시]]
* [[여천시]]
* [[여천시]]
143번째 줄: 161번째 줄:


== 기타 ==
== 기타 ==
당연히 시청을 두고 있으며 시의회도 설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청은 시에 들어와있다<ref>경기도청-[[수원시]], 강원도청-[[춘천시]], 충청북도청-[[청주시]], 경상북도청-[[안동시]], 경상남도청-[[창원시]], 전라북도청-[[전주시]], 제주특별자치도청-[[제주시]].</ref> 지방선거를 통해 시장을 뽑는다.
시역은 생활권이 기준이라 할 수 있지만 시 하나에 생활권이 2개 이상일 수도 있고, 같은 생활권임에도 통합되지 않은 시군이 있고, A시(군)에 속했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인접한 타 시(군)인 지역이 '''매우 많다.''' 사실상 거의 모든 시군이 이런 생활권 문제가 하나 이상은 있다.


시역은 생활권이 기준이라 할 수 있지만 시 하나에 생활권이 2개 이상일 수도 있고, 같은 생활권임에도 통합되지 않은 시군이 있고, A시(군)에 속했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B시(군)인 지역이 '''매우 많다.''' 사실상 거의 모든 시군이 이런 생활권 문제가 하나 이상은 있다.
일반적으로 면적은 군과 비슷한 정도이지만 [[구리시]], [[과천시]], [[목포시]]와 같이 면적이 작은 시들도 많다. 반면 [[안동시]]는 1,500km<sup>2</sup>를 넘는 비대한 면적을 자랑한다. 농업도시가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면적은 군과 비슷한 정도이지만 구리시, 과천시, 목포시같은 자그마한 시들도 많다. 반면 안동시는 1,500km<sup>2</sup>를 넘는 비대한 면적을 자랑한다. 농업도시가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경향이 있다.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행정구역|시]]
[[분류:대한민국의 행정구역|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text-align:center;
! colspan="13" |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
| 광역자치단체 || colspan="2" | [[특별시]] || colspan="2" | [[광역시]] || colspan="3" | [[특별자치시]] || colspan="3" | [[도 (행정구역)|도]] || colspan="2" | [[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colspan="3" | [[구 (행정구역)|자치구]] || colspan="5" | [[군 (행정구역)|군]] || colspan="4" | [[시 (행정구역)|자치시]]
|-
| 시구 || colspan="6" | [[구 (행정구역)|일반구]] || colspan="7" | [[시 (행정구역)|행정시]]
|-
| 읍면동 || colspan="4" | [[읍]] || colspan="3" | [[면 (행정구역)|면]] || colspan="6" | [[동 (행정구역)|동]]
|-
| colspan="13" | [[리 (행정구역)|리]]
|}

2023년 10월 25일 (수) 00:34 판

대한민국북한행정구역 단위다.

대한민국에서 시는 특별자치도 에 존재한다. 또한 산하에 일반구, 읍, 면, 동을 둘 수 있으며, 동은 필수적으로 가지게 된다.

유래

전신은 일제강점기 때 도시 지역에 있었던 '부'이다. 목포같은 주요 도시를 부로 전환하였고, 이게 광복초기에도 주요 도시는 부로 승격했다가 나중에 시로 명칭을 바꿨다.

설치 기준

격은 기초자치단체이지만 의 연장선상에 있는 행정구역이다. 일반적으로 인구 5만 이상인 읍이나 면을 시로 승격한다. 다만 예외적인 경우로 계룡시가 있는데, 인구 15만 이상인 도농복합형태의 도시에 속하고 도 직할의 출장소가 있으며 인구 3만 이상인 지역을 시로 승격한다는 새로운 지방자치법을 신설하여 시로 승격되었다.

자치시와 행정시

자치시는 말 그대로 자치가 가능한 시라는 뜻이며, 행정시는 자치권이 없다.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에는 행정시만 존재하였고, 지방자치 시행 이후에는 기존 행정시들이 대부분 자치시로 전환되었으며, 도농통합으로 행정시 인근의 군을 통합하는 형태의 도농복합시 형태로도 자치시가 다수 신설되었다. 2024년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산하 제주시서귀포시가 유이한 행정시로 남아있다. 즉, 자치시의 시장은 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선출한 선출직 공무원이지만, 행정시의 시장은 상급 광역자치단체장이 임명하는 관선 공무원이라는 차이가 있다.

도농복합시

지방자치 시행과 맞물려 행정구역 통폐합이 진행되면서 주로 농어촌 지역의 군과 시가 통합[1]하여 자치단체로서 출범한 형태이다.

특례시

광역시로 승격할 조건을 갖추었으나 서울특별시나 기존 광역시와 인접하여 광역시 승격이 제한되는 대도시이다. 지방자치법에 의거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할 수 있으며, 특례시 산하에는 일반구가 설치된다. 2024년 현재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고양시, 수원시, 용인시부산광역시와 인접한 창원시가 특례시로 지정되어있다.

관청

  • 시청
    자치시와 행정시 모두 중심지에 시청이 설치되어있다. 도농복합시 출범 이전 행정군 시절 군청도 대부분 인접한 행정시 내부에 설치된 사례가 많았다. 지방자치 출범 이후 시의 재정상황에 따라 시청의 규모도 다양해졌다. 이를테면 인구가 많고 산업기반이 충실하여 세수가 안정적인 자치시의 시청은 어지간한 광역시청이나 도청보다도 으리으리한 외관과 규모를 갖춘 곳이 있는 반면[2] 지방 농어촌 도농복합시의 시청은 지방자치 출범 이전 행정시 시절 시청을 그대로 물려받아 사용하면서 세월이 흐름에 따라 리모델링 또는 증축 등으로 예산을 절감하면서 버티는 곳도 존재한다.
  • 시의회
    자치시의 경우 지방선거를 통해 시의원을 선출하며, 시의원들이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의회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시청과 시의회가 인접하거나 시청사 내부에 설치된 경우가 대다수이다.
  • 구청
    자치시 예하에 일반구가 설치된 경우 관할구역의 행정편의를 위한 구청이 설치된다.
  • 경찰서
    인구가 많아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시는 보통 일반구의 명칭을 따르는 경찰서가, 일반구가 설치되지 않은 자치시는 시의 명칭을 따르는 경찰서가 설치된다. 물론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단체라도 도시구조에 따라 관할 경찰서의 명칭이 자치단체명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일반구가 여러곳인 자치시에는 중심경찰서가 설치되며 이 곳에는 일반적인 경찰서장 계급은 총경보다 훨씬 고위직인 경무관이 서장으로 보임된다.
  • 소방서
    경찰서와 유사하게 자치시의 명칭을 따르는 소방서가 설치되며 일반구가 설치된 자치시에는 2곳 이상의 소방서가 설치되기도 한다.
  • 검찰청법원
    검찰청사와 법원청사가 인접하여 건설되어 일명 법조타운을 형성하는 대한민국 특성상 자치시 중심지에는 고등검찰청·법원 예하 지방검찰청·법원이 설치되는 곳이 있다. 경찰서나 소방서와 다르게 모든 자치시의 영역에 법조타운이 설치되는것은 아니고 권역별로 나누어 중심지로 볼만한 지역에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같은 자치시라 하더라도 법조타운이 조성된 곳은 중요성이 높은 자치단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법조타운 규모가 꼭 해당 자치단체의 규모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예시로 특례시로 지정된 대도시인 고양시는 도시규모가 작은 의정부시에 설치된 의정부지방검찰청·법원의 하위 기관인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이 설치되어 격이 낮은 사례를 들 수 있다.

목록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폐지

기타

시역은 생활권이 기준이라 할 수 있지만 시 하나에 생활권이 2개 이상일 수도 있고, 같은 생활권임에도 통합되지 않은 시군이 있고, A시(군)에 속했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인접한 타 시(군)인 지역이 매우 많다. 사실상 거의 모든 시군이 이런 생활권 문제가 하나 이상은 있다.

일반적으로 면적은 군과 비슷한 정도이지만 구리시, 과천시, 목포시와 같이 면적이 작은 시들도 많다. 반면 안동시는 1,500km2를 넘는 비대한 면적을 자랑한다. 농업도시가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경향이 있다.

각주

  1. 예를 들자면 현재의 익산시는 도농복합 적용 이전에는 이리시와 익산군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2. 대표적으로 성남시의 시청을 들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행정관청중 연면적 1위를 자랑하는 규모와 세련된 유리궁전 스타일로 건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