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肝, 영어: liver)은 동물의 주요 생체 기관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해독 작용을 하며, 단백질을 합성하고 양분을 저장하는 기능도 있고, 쓸개즙, 요소 등을 생성하기도 하는 다재다능한 기관이 간장(肝腸)이다. 옛부터 사람에게는 오장육부가 있다고 여겨졌는데, 그 오장의 으뜸이 바로 간장이라 할 정도로 중히 여겨왔다.

인체의 간[편집 | 원본 편집]

간은 소화관의 일부가 잘록해져서 발생한 일종의 선(腺)이다. 몸의 오른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 위치하며, 윗면은 횡격막에 아랫면은 ·십이지장·횡행 결장 등에 접해 있다. 크기는 성인의 경우 무게가 약 1.2 kg, 좌우 지름이 약 25 cm, 앞뒤 지름이 약 14 cm, 높이가 약 7cm이다.

간은 생존에 필요한 기관이나 건강한 사람은 사실 절반 정도 소실되거나 제 기능을 못해도 당장 삶을 사는데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간 이식이 가능한 것도 이 때문이며, 간 손상을 눈치채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내부 구조[편집 | 원본 편집]

간은 상당히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통 간 소엽(小葉)이라는 단위 구조가 집합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간소엽은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심 정맥과 여기에 모세혈관을 내보내는 세 개의 소엽간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엽간 정맥은 문맥에서 가지가 갈라져 나와서 생긴 마지막 가지이다. 중심 정맥은 인접해 있는 것이 모여 마지막으로 여러 개의 간정맥이 되고, 하대(下大) 정맥에 들어간다. 소엽간 정맥에서 나온 모세혈관 주위는 늘어선 간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혈액 속의 물질은 여기에서 간세포에 흡수된다. 간세포에서 처리된 물질은 여기에서 혈액 속에 분비된다. 쓸개즙은 간세포 사이의 작은 틈(모세 담관)으로 분비되고, 소엽간 담관에 모여 총간관이 되어 간에서 나온다.

역할[편집 | 원본 편집]

간은 소화를 직접 담당하는 기관은 아니지만, 쓸개즙을 생산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한다. 또 물질의 저장, 요소·요산 등의 노폐물 생성, 음식물과 함께 흡수된 유독 물질의 해독 작용 등, 여러 가지 물질의 합성과 분해가 일어나므로, 몸 속의 화학 공장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곳이다. 이상과 같이 동물의 소화 기관은 그 발달 단계나 식성에 따라 구조와 작용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소화 기관에서는 소화기의 운동에 의한 기계적 소화, 소화액에 의한 화학적 소화 및 소화된 양분의 흡수 작용이 이루어진다.

인체내 작용[편집 | 원본 편집]

인체의 간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대사 작용

소화관에서 흡수된 것은 모두 간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다음과 같은 각종 처리를 받는다.

  • 중간 대사: 아미노산·지방산을 분해한다. 당은 글리코겐으로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방출한다.
  • 해독 작용: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흡수되거나 생성된 경우 이물질을 무해한 것으로 변화시킨다.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유독 물질인 암모니아는 독성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요소요산으로 변환된다.
  • 혈구 처리: 수명이 다한 혈구를 파괴하고 그 뒤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헤모글로빈의 헴은 철을 빼앗겨 빌리루빈이 되고, 쓸개즙 색소로 배출된다.
외분비 작용

쓸개즙의 생산과 분비를 담당한다. 쓸개즙은 지방 등의 소화에 도움을 주는 소화액이다.

간과 관련된 질병[편집 | 원본 편집]

간은 지방을 저장한다. 따라서 몸에 지방이 많을 경우 간 세포에 지방이 많이 쌓이는데 이것을 지방간이라고 한다. 지방간은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거나 당분이 과다할 때에도 생기며, 당연히 지방 세포가 늘어나면서 간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바이러스에 간이 감염되어서 염증이 생기는 것을 간염이라고 부른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이 있다. B형 간염은 법정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우아기 때 국가에서 예방접종을 한다.

지방간이 악화되거나 간에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서 간이 딱딱하게 굳는 것을 간경화라고 부른다.

간에 암이 생기는 것을 간암이라고 부른다. 간암에 걸리면 간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암이 걸린 부분을 절제하고, 건강한 사람의 간을 이식해야 한다.

식품으로서의 간[편집 | 원본 편집]

한의학에서 말하는 약식동원(藥食同原) 원리에 의해 간은 간을 회복하는데 가장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는데, 실제로 간에는 철분이 풍부해 혈액 정화에 도움이 되어 간접적으로나마 간 회복에 도움을 준다. (생간에는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피가 돌고돈다.) 단, 비타민 A 함량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과다섭취로 인한 부작용 증세에는 조금은 주의할 필요가 없지 않다. 그 중에서도 곰의 간(웅담)이 특히나 그렇고, 그러니 웅담따위는 안 먹는게 낫습니다. 북극곰의 간 따위는 사실상 독약이나 다름없을 정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간은 내장부위 중에서도 매우 인기있는 식재료이다. 부패속도가 상당히 빠른게 흠이지만 지방기가 많아 살코기에 비하자면 입에서 살살 녹을 정도로 식감이 매우 부드럽고 가공이 쉬워서 예로부터 상류층이 즐겨먹었다. 게다가 간에 풍부한 영양소가 몸을 이롭게 한다는 것을 영양학을 모르는 원시인 및 짐승들도 경험으로 어렴풋이 이해하고 있었을 정도였으니, 요리 재료로서 적극 활용하게 되는 것도 당연한 수순이었다.

한국에서는 돼지간을 순대 부속이나 순대국 재료로 이용하고, 소간은 참기름만 뿌린 회로 즐기거나[1] 구이용 및 해장국용으로 이용한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닭간은 잘 먹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그 외 요리에는 잘 쓰이지 않아 시중에서 구하기도 그리 만만하지 않다는 약점이 있어 가정에서 활용하는 비중은 많이 적은 편이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닭간 또한 인기있는 재료라 슈퍼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유럽의 프랑스어권 및 독일어 문화권에서는 간을 이용한 파테(pate)나 소시지/부어스트(wurst) 등으로 저장성을 높인 것을 전통음식으로 먹었다. 세계 3대 진미 중 하나로 언급되는 푸아그라 또한 거위의 지방간을 가리킨다.

간과 관련된 속담[편집 | 원본 편집]

  • 간이 콩알만해지다 : '몹시 두려워지거나 무서워지다.' 라는 뜻이다.
  • 간이 붓다 (간이 커지다, 간이 배 밖으로 나오다) : 위와는 정 반대로, 겁이 없어도 너무 없어서 쓸데없이 나대는 행동을 비유하는 표현.
  • 벼룩의 간(선지)을 빼먹다 : 하는 짓이 몹시 잘거나 인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외부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주로 생간을 먹는다고 하면 소의 생간을 의미하며, 빨리 부패하기 때문에 싱싱한 재료를 취급하는 곳 아니면 별로 나오지 않는다. 시뻘건 비주얼과 피맛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갈리며, 주로 천엽이랑 같이 나온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 문서 15597115판을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