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레 위키에서는 여러 가지 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서에 대한 주요 내용을 고지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사용처에 따라 알맞은 틀을 선택해 사용합니다.
현재 존재하는 틀 알람을 보려면 리브레 위키:틀을 참고해 주세요. 첫 사용자이거나 다룰 내용이 많지 않다면, 원하는 내용이 없다고 해서 무리해서 새로 틀을 만들기보다는 쓸 수 있는 기존 틀을 활용하며 필요시 문서 내에서 서술할 것을 권장합니다.
틀 종류[원본 편집]
틀:고지 상자[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의 거의 모든 머릿글에서 쓰이는 스타일. 다른 틀과 다르게 배경색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엔 테두리가 1px이었지만 3px으로 굵어졌고 제목과 테두리색을 통일해 쓰고 있다. 제목에 링크를 걸 경우 색이 달라지나 {{색}} 틀을 사용해 링크 색을 제목과 통일해 사용한다.
고지상자 틀을 이용해 틀을 만드는 방법[원본 편집]
혹시 필요한 틀이 있으신가요? 그럼 틀 ABCD를 만들다고 하면 틀:ABCD 문서를 만들어서 수정하시면 돼요. 리브레 위키의 틀에는 다양한 종류의 틀이 있지만, 이를 정리하면[1]
- 고지상자 틀 : 틀:암묵의 룰이 해당돼요. 주로 문서나 그 문서의 부분의 상태를 소개하는데 쓰입답니다.
- 쉬운 작성용 틀 : 문서를 만드는 데 좀 더 쉽게 만들려고 쓰는 틀이에요. 틀:취소선, 틀:색, 틀:주석 등이 해당돼요.
- 운영용 틀 : 리브레 위키의 운영을 위해서 만든 틀이에요. 분류:저작권 틀 등이 해당돼요.
- 정보상자 틀 : 정보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쓰는 틀이에요. 틀:영상물 정보, 틀:게임 정보 등이 해당돼요.
그럼 일단 만들기 쉬운 고지상자 틀을 만들어 보자고요.
{{고지 상자 |테두리색 = |배경색 = |제목 = |제목색 = |내용 = |내용색 = }}
고지상자 틀을 이용해서 만든 틀로는 대표적으로 틀:군사 관련 정보가 있어요.이것의 정보는
<onlyinclude> {{고지 상자 |배경색=#E8F5E93E |테두리색=#2E7D32 |제목색=#2E7D32 |제목= [[파일:군사 리브렌 배경 수정.png|60px|left]]{{{1|이 문서는 군사 관련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내용= {{{2|국가 안보와 관련된 민감한 내용 기재에는 유의해주시고, 지나치고 세밀한 설명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br /><del>누군가가 당신덕분에 절대시계를 득템할지도 모릅니다</del>}}} }}{{#if:{{{분류제외|}}}||{{분류|군사}}}}</onlyinclude}
여기서 #xxxxxx는 색상 코드를 의미해요.[2] 제목에 있는 [[파일:xxxx]]는 틀에 있는 리브렌의 이미지를 의미하고, 제목, 내용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할게요. 밑에 if가 들어가 있는대괄호가 보이는데, 이는
{{군사 관련 정보|분류제외=분류제외}}
라고 쓰시면 해당 문서는 분류:군사에서 제외가 돼요. 이를 응용해서 큐베 틀을 만드는 방법을 공개할게요!
{{고지상자 |배경색=#000000<!-- 배경은 검은색이에요 --> |테두리색=#000000<!-- 테두리도 마찬가지구요 --> |제목색=#FFE4E1<!-- 제목은 이 색이 맞겠죠? --> |제목=<center>나랑 계약해서 영리활동에 이용되어 줘!</center><!--가운데 정렬을 해주는 코드에요--> |내용=[[파일:QB 1.jpg|가운데]]<!--마우스질하는 큐베하는 이미지를 짤라서 붙어넣었어요--><br /><!-- 개행용 코드에요--><center>청동을 위해서 열정페이를 할 생각이 있다면 언제든 말해줘!<br />이 나라에선 백수를 니트라고 한다지? 그렇다면 위키를 하는 너희들은 위키니트라고 불러야 되겠네<br />20만개가 넘는 문서에, 너희가 손 댄 문서는 극히 일부일 뿐인데 왜 그렇게 단일 문서에 그렇게 야단이야?<br />계약에 관해서는 {{색|#FFFF00|2015년 리그베다 영리화 사태}} 문서와 {{색|cyan|위키 게시판}}에서 '''{{색|#FFE4E1|계약의 내용을 확인}}'''해 줘<br />또한 무분별한 반달 및 트롤링은 자제해 주길 바래</center> |내용색=#FFFFFF}}<!--이 코드를 사용하면 편집 시에만 보이고 문서에는 보이지 않아요.-->
틀:둘러보기 상자[원본 편집]
각 문서를 잇는 메타 틀이 필요할 때 이용한다. 분류:둘러보기 틀 참고.
틀:정보상자[원본 편집]
정보상자 틀을 여러 개 쌓으면 훌륭한 우측 플로팅 상자 틀이 된다.
틀:알림바[원본 편집]
틀 삽입[원본 편집]
일반적인 삽입법[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
안내 · 도구 | |
---|---|
규정 · 운영 | |
요청 · 소통 | |
당신의 도움이 필요해요! | |
둘러보기 |
대다수의 둘러보기 들, 단순 정보 제공 틀은 저렇게 한 줄만 집어넣으면 넣은 자리에 출력됩니다. 문서 내용에 관한 주의, 경고, 정보 틀은 리브레 위키: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가 있는 틀[원본 편집]
정보상자 틀[원본 편집]
사용한 틀:웹사이트 정보 | |||||||||||||||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웹사이트 정보 |이름=리브레 위키 |패비콘=Libre_favicon.png |로고=Libre_Wiki-Logo.png |로고 크기=250px |로고설명= |그림=리브레 위키 마스코트.png |그림2=리브렌_100_배경_수정.png |그림3=Ledibug.png |그림 크기=80px |슬로건=펜을 쥔 모든 손에 권리를. |종류=[[위키]] |회원 가입=선택적 |언어=[[한국어]] |콘텐츠 라이선스=[[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 BY-SA]] |프로그래밍 언어=[[미디어위키]] |소유자= |운영자=[[사용자:Itsurea|Itsurea(이츠레아)]] |시작일=[[2015년]] [[4월 16일]] |현재 상태=운영중 }} |
| ||||||||||||||
틀 생성[원본 편집]
어떤 문서A 내에서, 문서A의 밖에 있는 다른 문서B의 내용을 불러와 문서A 안에 그대로 보여주는 것을 '끼워넣기'라고 부릅니다. 틀이란 방금 예시에서 B의 역할, 즉 다른 문서들에 끼워넣어질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특수한 문서들을 말합니다. 틀을 사용하면 어떤 문서에서든 동일안 내용을 일관성 있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모니위키에도 같은 개념이 있습니다.
틀을 사용하는 방법(=틀 안에 있는 내용을 끼워넣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와 }}
사이에 틀의 이름을 넣으면 됩니다. 즉, {{틀 이름}}
을 틀 내용을 보여주고 싶은 곳에 작성하면 됩니다.
※표에서 사용한 {|
, |}
와 이후 설명할 매개 변수를 나타내는 기호인 {{{
, }}}
와는 다릅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1번의 내용 | |||||
---|---|---|---|---|---|
''틀 내용이 여기에 이렇게 끼워 넣어 집니다!'' {| class="wikitable" | 표나 사진 등등 | 틀 안의 내용이 몽땅 |- | 같이 끼워 넣어 | 집니다 |} |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가나다라마바사 {{도움말 예시 1번}} ABCDEFG |
가나다라마바사 틀 내용이 여기에 이렇게 끼워 넣어 집니다!
|
이런 틀 문서를 만드는 방법 자체는 간단합니다. 검색창에 틀:(원하는 이름)
을 검색하고 붉은 글씨를 클릭해 만들면 됩니다. 일반적인 새 문서를 만드는 방법과 완전히 같습니다.
해당 틀 문서에 대한 설명문서는 {{설명문서}}를 <noinclude></noinclude> 태그 안에 서술하시면 됩니다. 이외에<noinclude></noinclude>안에 있는 내용은 틀을 삽입할 때 출력되지 않는 것을 이용해서 틀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틀에 대한 부가적 설명을 쓰실 수 있습니다.
해당 틀을 삽입할 때 자동으로 특정한 분류 안에 넣기 위해서는 <includeonly></includeonly> 태그 사이에 해당 틀을 삽입할 때 넣고 싶은 분류를 쓰시면 됩니다. 그밖에 분류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는 옵션을 넣고 싶을 때에는 if 파서 함수와 "분류제거" 변수명을 활용해서 {{#if:{{{분류제거|}}}| |[[분류:(원하는 분류명)]]}}를 includeonly 태그 안에 삽입하면 됩니다. 이때에 틀에 분류제거=예 등을 입력하면 분류가 제거되고, 분류제거 변수를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분류가 붙게 됩니다.
매개 변수를 이용해서 틀 만들기[원본 편집]
틀에서는 매개 변수(parameter)라는 특별한 기능을 이용해서 훨씬 기능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매개 변수란, 쉽게 말해 틀에서 사용하는 미지수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틀 안에 X라는 미지수를 만들어 두었다면 이후 다른 문서에서 X 자리에 대신해서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해 줄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이 기능을 이용하면 특정한 자리에 들어갈 문자열을 매 상황에 따라 바꿔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틀을 작성할 때, 매개 변수가 들어갈 곳은
{{{변수 번호}}}
를 입력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1}}}이 첫 번째 매개 변수, {{{2}}}가 두 번째 매개 변수, {{{3}}}이 세 번째 매개 변수, ... 가 되는 식이며, 이 개수의 제한은 없습니다.
- 다른 문서에서 틀을 사용할 때,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하려면 틀 이름 뒤에
|
를 사용해서 나타냅니다.{{틀 이름|{{{1}}}에 들어갈 내용|{{{2}}} 매개변수에 들어갈 내용|{{{3}}}에 들어갈 내용|...}}
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바꿔 말하면, 첫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1}}}의 자리에 들어가고, 두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2}}}의 자리에 들어가고, 세 번째 칸에 들어간 문자열은 {{{3}}}의 자리에 들어가고, ... 의 식입니다.
말로 하는 것보다, 직접 보는 게 훨씬 좋겠네요. 일단 아래 예시를 봅시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2번의 내용 | |||||||
---|---|---|---|---|---|---|---|
{| class="wikitable" | {{{1}}} | '''{{{2}}}''' | style="color: red;" | {{{3}}}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4}}} |} |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도움말 예시 2번|ㄱㄴㄷㄹ|ABCD|ㅏㅑㅓㅕ|abcd}} |
| ||||||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저녁|하루}} |
|
첫 번째 예시에서 {{도움말 예시 2번|ㄱㄴㄷㄹ|ABCD|ㅏㅑㅓㅕ|abcd}}
와 같이 입력했으므로 틀:도움말 예시 2번의 {{{1}}}
의 자리에 ㄱㄴㄷㄹ, {{{2}}}
의 자리에 ABCD, {{{3}}}
의 자리에 ㅏㅑㅓㅕ, {{{4}}}
의 자리에 abcd가 들어간 모습이 나타납니다.
두 번째 예시에서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저녁|하루}}
와 같이 입력했으므로 틀:도움말 예시 2번의 {{{1}}}
의 자리에 아침, {{{2}}}
의 자리에 점심, {{{3}}}
의 자리에 저녁, {{{4}}}
의 자리에 하루가 들어간 모습이 나타납니다.
|
와 |
사이를 비워두면 해당 변수도 비워져서 나타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
{{도움말 예시 2번|아침|점심||하루}} |
|
세 번째 변수 자리를 비웠기 때문에 {{{3}}}
의 자리가 비워진 채로 나타납니다.
변수를 번호가 아닌 이름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변수 이름}}}
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을 지정할 때는 |(변수 이름)=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
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3번의 내용 | |
---|---|
{{{A}}} 더하기 {{{A}}}은 {{{무언가}}} {{{B}}} 더하기 {{{B}}}도 {{{무언가}}} |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도움말 예시 3번|A=일|B=이|무언가=귀요미}} |
일 더하기 일은 귀요미 이 더하기 이도 귀요미 |
필요하다면 매개 변수를 구분하는 각각의 |
를 한 줄 띄워서 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매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이 길 때 이렇게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도움말 예시 3번 |A=일 |B=이 |무언가=귀요미}} |
일 더하기 일은 귀요미 이 더하기 이도 귀요미 |
참고로, 변수 변호를 쓸 때에도 위와 같은 방법처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
{{도움말 예시 2번 |1=아침 |2=점심 |3=저녁 |4=하루}} |
|
매개 변수안에 |
를 사용해서 변수에 들어갈 문자열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대체할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기본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수 이름|기본 값}}}
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사용한 틀:도움말 예시 4번의 내용 | |||
---|---|---|---|
{| class="wikitable" | {{{A|A에 입력 안 됨}}} |- | {{{B|B에 입력 안 됨}}} |} | |||
다른 문서에 이렇게 입력하면 | 이렇게 나옵니다 | ||
{{도움말 예시 4번 |A=사과 |B=오렌지}} |
| ||
{{도움말 예시 4번 |A=사과}} |
| ||
{{도움말 예시 4번 |B=오렌지}} |
| ||
{{도움말 예시 4번}} |
|
틀의 범위 지정[원본 편집]
틀 문서에 부연 설명을 넣고자 할 때는, 틀로 쓰고 싶은 부분만 <onlyinclude>(틀 내용)</onlyinclude>로 감싸 주면 됩니다.
- 틀 작성
- 틀 이름: 예제
- 틀 내용: 운영자 OUT! 시민의 승리를 보여주마! <onlyinclude>{{{1}}}는 {{{2}}}보다 {{{3}}}고, {{{4}}}은 {{{5}}}에 대한 {{{6}}}이다. {{{4}}}으로 {{{1}}} {{{7}}}.</onlyinclude>
- 틀 사용
- 다른 문서에서 입력: {{예제|운영자|유저|약하|혁명|복종|저항|축출}} 또는 {{예제|1=운영자|2=유저|3=약하|4=혁명|5=복종|6=저항|7=축출}}
- 출력 : 운영자는 유저보다 약하고, 혁명은 복종에 대한 저항이다. 혁명으로 운영자 축출.
파서 함수를 이용해서 틀 만들기[원본 편집]

미디어위키에서는 파서함수를 이용해서 조건에 따른 분기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if:(조건식)|(참일 때 출력결과)|(거짓일 때 출력 결과)}}
를 통해 두 가지 경우를 분기하거나
{{#switch:(변수명)|변수명1=(변수명이 변수명1일때 출력)|변수명2=(변수명이 변수명2일 때 출력)| ...|#defalut=(변수명이 앞에 입력한 어떠한 변수명에도 해당되지 않을 때 출력)}}
를 이용해서 여러 개의 내용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 틀 작성 예제 (if 문 사용하기)
- 틀 이름 : 넘겨주기2
- 틀 내용 : 이 문서는 {{{1}}}에 관한 설명이예요. 혹시 {{{2}}}{{#if:{{{받침}}}|을|를}} 찾으셨나요???
- 틀 사용
- 다른 문서에서 입력: {{넘겨주기2|망둑어과의 물고기|공산주의자에 대한 비하적 표현|받침=예}}
- 출력: 이 문서는 망둑어과의 물고기에 관한 설명이예요. 혹시 공산주의자에 대한 비하적 표현을 찾으셨나요?
둘러보기 상자 만들기[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
안내 · 도구 | |
---|---|
규정 · 운영 | |
요청 · 소통 | |
당신의 도움이 필요해요! | |
둘러보기 |
현재 대문에 있는 틀입니다. 이런 틀을 둘러보기 상자라고 하는데요, 관련된 항목을 빠르게 오가기 위한 링크를 모아두는 곳입니다.
비슷한 주제의 문서를 생성하다 보면 [[분류:]]만으로는 뭔가 불편하고 부족한 느낌이 들죠. 그럴 때는 둘러보기 틀을 만드는 겁니다!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연습장 |제목 = [[리브레 위키:연습장]] |제목style = background:#FFECB4; |묶음style = background:#FFECB4; |내용class = hlist |묶음1 = [[묶어보자]] |내용1 = *[[항목1]] *[[항목2]] *[[항목3]] |묶음2 = 묶어묶어 |내용2 = *[[항목1]] *[[항목2]] *[[항목3]] }}
기본 구성입니다.
- 이름에는 틀의 이름이 들어갑니다. 여기는 위키 문법을 적용하면 안 되며 틀:을 제외한 문서 제목과 동일해야 합니다.
- 제목에는 틀 상단에 위치할 문구가 들어갑니다. 이는 문서 제목과 달라도 되고, 위키 문법이 적용됩니다.
- 제목모양은 상단 제목부분의 색깔을 정합니다.
- 묶음모양은 좌측 묶음부분의 색깔을 정합니다.
- 내용속성은 그대로 놔두세요. 미디어위키 문법을 깊게 배웠다면 굳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
- 묶음은 분류입니다.
- 내용은 각 항목이 들어갑니다.
위의 둘러보기 툴은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음, 이 문서에 틀이 2개 이상 있어서 접혀 있네요. 오른쪽의 '펼치기'를 눌러보세요.
묶어보자 | |
---|---|
묶어묶어 |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연습장 |제목 = [[리브레 위키:연습장]] |제목style = background:#FFECB4; |묶음style = background:#FFECB4; |내용class = hlist |묶음1 = [[묶어보자]] |내용1 ={{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1 = [[묶어]] |내용1 = *[[항목1]] *[[항목2]] *[[항목3]] |묶음2 = [[보자]] |내용2 = *[[항목1]] *[[항목2]] *[[항목3]] }} |묶음2 = 묶어묶어 |내용2 = *[[항목1]] *[[항목2]] *[[항목3]] }}
대분류가 있으면 소분류가 있어야겠죠? 이는 중첩 둘러보기 상자를 이용하면 됩니다. 내용에 둘러보기 상자를 하나 더 집어넣는다는 느낌으로 만들면 됩니다. 저기 묶음1에 적용되어 있군요.
묶어보자 | |
---|---|
묶어묶어 |
틀스타일(TemplateStyles) 사용하기[원본 편집]
틀스타일은 문서에 CSS를 삽입하여 디자인을 조정할 수 있는 확장기능으로, 틀이나 대문처럼 스타일이 많이 들어가는 문서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inline style 삽입의 경우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쿼리를 지원하므로 모바일에서 잘 보이는 문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CSS는 틀: 이름공간 아래에 .css로 끝나는 문서에 작성하면 됩니다. 예: 틀:가사/styles.css
다른 문서에 해당 CSS를 삽입하려는 경우 문서 최상단에 <templatestyles src="CSS 문서명" />
을 넣으면 됩니다.
문서 외부에 영향을 미치거나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CSS 코드는 자동으로 안전하게 제거됩니다.
각주
- ↑ 주의! 독자연구입니다!
- ↑ 색상코드에 대한 설명은 나무위키:헥스 코드를 참고해주세요!
기초 사용법 | |
---|---|
위키 문법 | |
특수 기능 |
안내 · 도구 | |
---|---|
규정 · 운영 | |
요청 · 소통 | |
당신의 도움이 필요해요! | |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