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 기하학

(결합기하학에서 넘어옴)

결합 기하학(Incidence Geometry)은 기하학공리 체계 중 하나이며,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리가 단 3개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 기하학만으로는 뭘 제대로 증명할 수 없지만, 결합 기하학의 세 공리는 유클리드 기하학쌍곡 기하학의 토대가 되는 절대 기하학의 공리 체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모델[편집 | 원본 편집]

무정의 용어 중, 점은 집합의 원소와 비슷하게 생각한다. 즉, 결합 기하학을 전체 집합으로 본다면, 점은 그 전체 집합의 원소. 선은 전체 집합의 부분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점을 원소로 갖는다. "선 위에 존재한다", 혹은 "선이 점을 지난다"라는 관계는 "선이라는 부분집합에 점이 원소로서 포함되어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두 선이 교차한다"는 "두 선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공선점은 "같은 부분집합에 모두 속한다"라고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사실, 이러한 해석은 우리가 그림을 그렸을 때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기하학의 시스템을 집합론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한 것에 불과하다. 이제 결합 기하학 모델의 세 공리를 알아보자.

공리 1 (I1)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점에 대해, 그 두 점을 지나는 유일한 선이 존재한다.

공리 2 (I2)

임의의 선은 반드시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난다.

공리 3 (I3)

공선점이 아닌 세 점이 존재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세 점 기하학[편집 | 원본 편집]

I3 때문에, 결합 기하학은 최소 3개의 점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실제로 점 3개만을 사용하여 결합 기하학의 모델을 만들 수 있는데, 그게 바로 세 점 기하학(3 point Geometry)이다. 세 점 기하학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점: A, B, C
  • 선: {A, B}, {B, C}, {C, A}

이게 끝이다. 정말 간단하기 짝이 없다. 이 시스템이 결합 기하학의 모델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I1, I2, I3이 성립하는지 살펴보면 된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직접 해보자.

파노 기하학[편집 | 원본 편집]

세 점 기하학보다 조금 더 복잡해졌지만, 여전히 간단한 기하학. 이탈리아의 수학자 지노 파노(Geno Fano)가 연구했기 때문에 파노 기하학(Fano's Geometry)이라 부른다. 파노 기하학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점: A, B, C, D, E, F, G
  • 선: {A, B, C}, {C, D, E}, {E, F, A}, {A, G, D}, {C, G, F}, {E, G, B}, {B, D, F}

역시 간단하게 이 시스템이 결합 기하학의 모델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데카르트 평면[편집 | 원본 편집]

가장 익숙할 기하학 체계. 점들의 집합은 [math]\displaystyle{ \left\{\left(x,y\right)|x,\,y\in\mathbb{R}\right\} }[/math]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과 동일하며, 선은 직선의 방정식을 생각하면 된다. I1, I2, I3이 성립함을 역시 쉽게 보일 수 있다.

클라인 디스크[편집 | 원본 편집]

벨트라미-클라인 모델(Beltrami–Klein model)이라고도 부른다. 데카르트 평면과 다 똑같지만, 영역이 으로 제한되었다. 클라인 디스크는 영역이 [math]\displaystyle{ \left\{\left(x,y\right)|x^2+y^2\lt 1\right\} }[/math]인 경우를 부르는 특수한 경우. 데카르트 평면에서 영역을 제한한 것이기 뿐이기 때문에 I1, I2, I3이 당연히 성립한다. 클라인 디스크가 중요한 이유는, 주어진 한 선에 평행하고, 선 밖에 있는 주어진 한 점을 지나는 선이 무수히 많기 때문. 여기서 평행이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평행이 아니라, 교집합이 공집합인 두 선을 뜻한다.

구면 기하학[편집 | 원본 편집]

일단 결론부터 말하면, 구면 기하학은 결합 기하학이 아니다. 일단 (특수한 경우의) 구성을 살펴보자.

  • 점: [math]\displaystyle{ \mathbb{S}^2=\left\{\left(x,y,z\right)|x^2+y^2+z^2=1,\quad x,\,y,\,z\in\mathbb{R}\right\} }[/math]
  • 선: 두 점을 지나는 대원(great circle).

세 공리 중 어느 것을 만족시키지 못하는지 생각해 보자.

해설
I1을 만족하지 못한다. 북극점과 남극점을 지나는 선이 유일하지 않고 무한하기 때문이다(모든 경도가 그러한 선이 된다).

결합 기하학의 정리[편집 | 원본 편집]

저 세 가지로 무슨 기하학 명제를 증명하냐 싶지만, 몇몇 (당연해 보이지만) 중요한 성질을 증명할 수 있다.

두 선의 교점은 유일하다[편집 | 원본 편집]

서로다른 두 선 [math]\displaystyle{ l,\,m }[/math]이 점 [math]\displaystyle{ P }[/math]에서 교차한다고 가정하자. 이제, [math]\displaystyle{ P'\neq P }[/math]인 점 [math]\displaystyle{ P'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P'\in l\cap m }[/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I1에 의해, 점 [math]\displaystyle{ P,\,P' }[/math]을 지나는 유일한 선이 존재한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left\{P,P'\right\}\subseteq l,\,m }[/math]이고, [math]\displaystyle{ l\neq m }[/math]이므로, 이는 I1의 유일성에 모순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선의 교점은 (존재한다면) 유일하다.

선 위에 존재하지 않는 점이 존재한다[편집 | 원본 편집]

임의의 선이 하나 있다고 하자. 그럼, I2에 의해 선 위에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한다. 만약, 이 선 밖에 점이 없다면, 모든 점은 이 선 위에 있게 되고, 이는 I3에 모순이다. 따라서, 임의의 선 밖에 적어도 하나의 점이 존재한다.

한 선과 교차하는 서로 다른 두 선이 존재한다[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 }[/math]이 주어진 한 선이라 가정하자. 그럼, I2에 의해 [math]\displaystyle{ l }[/math] 위에 서로 다른 두 점 [math]\displaystyle{ P,\,Q }[/math]가 존재한다. 또한, 바로 위 명제에 의해, [math]\displaystyle{ l }[/math] 밖에 점 [math]\displaystyle{ R }[/math]이 존재한다. 이제, I1에 의해 [math]\displaystyle{ P,\,R }[/math]을 지나는 선 [math]\displaystyle{ m }[/math][math]\displaystyle{ Q,\,R }[/math]을 지나는 선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한다. 그럼, [math]\displaystyle{ m,\,n }[/math][math]\displaystyle{ l }[/math]과 분명히 교차하고, [math]\displaystyle{ l\neq m,\,l\neq n }[/math]이다. 더욱이, [math]\displaystyle{ m\neq n }[/math]인데, 만약 [math]\displaystyle{ m=n }[/math]일 경우, [math]\displaystyle{ R\in l }[/math]이고, 이는 [math]\displaystyle{ R }[/math]의 정의에 모순되기 때문이다.

확장[편집 | 원본 편집]

전술했듯이, 결합 기하학은 너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복잡한 기하학적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하학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평행선 공준을 바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고, 평행선 공준을 제외한 다른 공리·공준을 받아들여 유클리드 기하학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모두 똑같이 쓸 수 있는 기하학을 중간 과정으로 쓰게 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