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apacitor (커패시터 / 캐패시터 / 콘덴서 )
'''축전기'''(築電機)는 적은 양의 [[전기]]를 모으고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부품이다. <s>초축전지를 보니까, 적은 양이 아닌 것 같긴 하다만….</s> [[영어]]로는 '''커패시터'''(Capacitor) 또는 '''콘덴서'''(Condenser)라고 한다.
 
적은양의 전기를 모으고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부품.


== 원리 ==
== 원리 ==
두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 (공기, 세라믹 등등)가 들어가 있는 구조다. 양쪽에 전압을 걸면 양극에 전하가 유도되어서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고 이 인력으로 전하가 모여있게 되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된다.
두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공기]], [[세라믹]] 등등)가 들어가 있는 구조다. 양쪽에 전압을 걸면 양극에 전하가 유도되어서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고 이 인력으로 전하가 모여 있게끔 되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math>Q=CV</math>
<math>Q=CV</math>
여기서 Q는 전하, C는 정전용량 (비례상수), V는 전압이다. 동일한 전압일때, C의 값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전하를 충전할수 있게된다.
여기서 Q는 전하, C는 정전용량 (비례상수), V는 전압이다. 동일한 전압일 때, C의 값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에서 정전 용량 C는 <math>\epsilon_r \frac{A}{d}</math> 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ath>\epsilon_r</math>은 절연체의 상대 [[유전율]], <math>A</math>는 도체판의 단면적, <math>d</math>는 도체판 사이의 거리다. <ref>단면적과 거리는 각각 m<sup>2</sup>(제곱미터), m(미터)로 포현한다.</ref>


정전 용량 C는
<math>\frac{\epsilon A}{d}</math> 로 표현할수 있다. 여기서 <math>\epsilon</math>은 절연체의 [[유전율]], <math>A</math>는 도체판의 단면적, <math>d</math>는 도체판 사이의 거리다. <ref>단면적과 거리는 각각 m<sup>2</sup>(제곱미터), m(미터)로 포현한다.</ref>
=== 충전되는 에너지 ===
=== 충전되는 에너지 ===
위 식 <math>q=Cv</math> 에서 <math>v=\frac{q}{C}</math>가 될수 있고
일률 <math>\displaystyle P = \frac{dw}{dt} = VI = \frac{Vdq}{dt}</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dw = Vdq = \frac{qdq}{C}</math>이다.
 
필요한 일을 <math>dW_e = v dq = \frac{q}{c} dq</math> 라고 하자. 여기서 q 를 0에서 Q 까지 옮기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math>W_e = \int_{0}^{Q} \frac{q}{c} dq  = \frac{Q^2}{2C}</math> 이다. 그런데. <math>C=\frac{Q}{V}</math> 이므로
 
<math>W_e = \frac{1}{2}CV^2 [J] </math> 이다.


<math>\displaystyle W = \int_{0}^{W} dw = \int_{0}^{Q} \frac{q}{C} dq  = \frac{Q^2}{2C}</math> 이다.


<ref>Fawwaz T. Ulaby "Fundamentals of Applied Electromagnetics" p.227 , ISBN 9780132550086</ref>
여기서 <math>\displaystyle Q = CV</math> 이므로, <math>\displaystyle W = \frac{1}{2}CV^2 [J] </math> 이다.


== 종류 ==
== 종류 ==
* 전해축전기
* 전해축전기 : 극성이 있다.
* 가변축전기 (축전기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 가변축전기 : 축전기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 초축전기 ==
== 초축전기 ==
Supercapacitor  
'''초축전기'''(超築電機, Supercapacitor)는 말 그대로 용량이 큰 축전기다. 1F 짜리는 기본이고 아래영상같이 '''2600F''' 급도 있다. 일반적인 전해 축전기가 1mF도 큰 용량임을 감안하면 매우 큰 셈이다.
말 그대로 용량이 큰 캐패시터다. 1F 짜리는 기본이고 아래영상같이 '''2600F''' 급도 있다. 일반적인 전해 캐패시터가 1mF도 큰용량임을 감안하면 매우 큰 .


{{youtube|EoWMF3VkI6U}}
{{youtube|EoWMF3VkI6U}}


==== 이차 전지 대비 장점 ====
==== 이차 전지 대비 장점 ====
* 단위무게당 전력 밀도가 크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력밀도는 0.01~0.5(W/kg)정도지만 초축전기는 1~5(kW/kg)정도다. <ref name="FAE">Fawwaz T. Ulaby "Fundamentals of Applied Electromagnetics" p.230 , ISBN 9780132550086</ref>
* 단위 무게당 전력 밀도가 크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력밀도는 0.01~0.5(W/kg)정도지만 초축전기는 1~5(kW/kg)정도다. <ref name="FAE">Fawwaz T. Ulaby "Fundamentals of Applied Electromagnetics" p.230 , {{ISBN|9780132550086}}</ref>
* 충방전 가능횟수가 많다. 이차전지를 1000번 충방전 하면 용량이 감소해서 (70% 이하) 교체 대상이 되지만 초축전기는 100만번 이상 충방전이 가능하다. <ref name="FAE" />
* 충방전 가능 횟수가 많다. 이차전지를 1,000번 충방전 하면 용량이 감소해서 (70% 이하) 교체 대상이 되지만 초축전기는 100만 번 이상 충방전이 가능하다. <ref name="FAE" />
*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수십~수백A의 전류만 공급할수 있다면, '''분 단위 완충도 가능하다.'''
*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수십~수백 A의 전류만 공급할 수 있다면, '''분 단위 완충도 가능하다.'''
* 고속방전이 가능하다. 일반 배터리(내부저항 100mΩ)로 100A 전류를 뽑아낼려고 하면 내부 저항의 열로인해 '''폭발할수 있다!''' 하지만, 초축전지는 내부저항이 0.3mΩ (=0.0003Ω) 정도로 작아서 가능하다. <ref>[https://www.youtube.com/watch?v=EoWMF3VkI6U]</ref>
* 고속방전이 가능하다. 일반 배터리(내부저항 100mΩ)로 100A 전류를 뽑아낼려고 하면 내부 저항의 열로 인해 '''폭발할 수 있다!''' 하지만 초축전지는 내부저항이 0.3mΩ (=0.0003Ω) 정도로 작아서 가능하다. <ref>[https://www.youtube.com/watch?v=EoWMF3VkI6U]</ref>
* 저온에서도 성능저하가 낮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온도가 낮으면 문제가 생길수도 있지만<ref>[http://hrmac.tistory.com/239 아이폰이 저온에 약한이유]</ref> 초축전지는 이런일이 없다.
* 저온에서도 성능 저하가 낮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온도가 낮으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만<ref>[http://hrmac.tistory.com/239 아이폰이 저온에 약한 이유]</ref> 초축전지는 이런 일이 없다.


==== 단점 ====
==== 단점 ====
* 가격이 비싸다. 일반 배터리보다 수배~수십배 비싸다. <s>[[공돌이]]가 더 갈리면 해결될 문제구만. [[공밀레]]</s>
* 가격이 비싸다. 일반 배터리보다 수배~수십 배 비싸다. <s>[[공돌이]]가 더 갈리면 해결될 문제구만. [[공밀레]]</s>
* 단위무게당 에너지 저장량이 떨어진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에너지 저장밀도가 150(Wh/kg)이지만 초축전지는 기껏해봤자 10(Wh/kg)이다.<ref name="FAE" />
* 단위 무게당 에너지 저장량이 떨어진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밀도가 150(Wh/kg)이지만 초축전지는 기껏해봤자 10(Wh/kg)이다.<ref name="FAE" /> 이러면 흔히 말하는 배터리 용량이 적어진다. <s>[[엔지니어]]가 더 갈리면 해결될 문제. [[공밀레]]</s>


== 관련항목 ==  
== 관련 문서 ==  
* [[배터리]]
* [[배터리]]
* [[전기]]
* [[전기]]
50번째 줄: 42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전자기학]] [[분류:전자공학]]
[[분류:전자기학]] [[분류:전자공학]]
[[분류:기계]]

2019년 12월 5일 (목) 01:58 기준 최신판

축전기(築電機)는 적은 양의 전기를 모으고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부품이다. 초축전지를 보니까, 적은 양이 아닌 것 같긴 하다만…. 영어로는 커패시터(Capacitor) 또는 콘덴서(Condenser)라고 한다.

원리[편집 | 원본 편집]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공기, 세라믹 등등)가 들어가 있는 구조다. 양쪽에 전압을 걸면 양극에 전하가 유도되어서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고 이 인력으로 전하가 모여 있게끔 되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math]\displaystyle{ Q=CV }[/math] 여기서 Q는 전하, C는 정전용량 (비례상수), V는 전압이다. 동일한 전압일 때, C의 값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에서 정전 용량 C는 [math]\displaystyle{ \epsilon_r \frac{A}{d} }[/math] 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ath]\displaystyle{ \epsilon_r }[/math]은 절연체의 상대 유전율, [math]\displaystyle{ A }[/math]는 도체판의 단면적, [math]\displaystyle{ d }[/math]는 도체판 사이의 거리다. [1]

충전되는 에너지[편집 | 원본 편집]

일률 [math]\displaystyle{ \displaystyle P = \frac{dw}{dt} = VI = \frac{Vdq}{dt}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displaystyle dw = Vdq = \frac{qdq}{C} }[/math]이다.

[math]\displaystyle{ \displaystyle W = \int_{0}^{W} dw = \int_{0}^{Q} \frac{q}{C} dq = \frac{Q^2}{2C} }[/math] 이다.

여기서 [math]\displaystyle{ \displaystyle Q = CV }[/math] 이므로, [math]\displaystyle{ \displaystyle W = \frac{1}{2}CV^2 [J] }[/math] 이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전해축전기 : 극성이 있다.
  • 가변축전기 : 축전기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초축전기[편집 | 원본 편집]

초축전기(超築電機, Supercapacitor)는 말 그대로 용량이 큰 축전기다. 1F 짜리는 기본이고 아래영상같이 2600F 급도 있다. 일반적인 전해 축전기가 1mF도 큰 용량임을 감안하면 매우 큰 셈이다.

이차 전지 대비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단위 무게당 전력 밀도가 크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력밀도는 0.01~0.5(W/kg)정도지만 초축전기는 1~5(kW/kg)정도다. [2]
  • 충방전 가능 횟수가 많다. 이차전지를 1,000번 충방전 하면 용량이 감소해서 (70% 이하) 교체 대상이 되지만 초축전기는 100만 번 이상 충방전이 가능하다. [2]
  •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수십~수백 A의 전류만 공급할 수 있다면, 분 단위 완충도 가능하다.
  • 고속방전이 가능하다. 일반 배터리(내부저항 100mΩ)로 100A 전류를 뽑아낼려고 하면 내부 저항의 열로 인해 폭발할 수 있다! 하지만 초축전지는 내부저항이 0.3mΩ (=0.0003Ω) 정도로 작아서 가능하다. [3]
  • 저온에서도 성능 저하가 낮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온도가 낮으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만[4] 초축전지는 이런 일이 없다.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가격이 비싸다. 일반 배터리보다 수배~수십 배 비싸다. 공돌이가 더 갈리면 해결될 문제구만. 공밀레
  • 단위 무게당 에너지 저장량이 떨어진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밀도가 150(Wh/kg)이지만 초축전지는 기껏해봤자 10(Wh/kg)이다.[2] 이러면 흔히 말하는 배터리 용량이 적어진다. 엔지니어가 더 갈리면 해결될 문제. 공밀레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단면적과 거리는 각각 m2(제곱미터), m(미터)로 포현한다.
  2. 2.0 2.1 2.2 Fawwaz T. Ulaby "Fundamentals of Applied Electromagnetics" p.230 , ISBN 9780132550086
  3. [1]
  4. 아이폰이 저온에 약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