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2020년: 두 판 사이의 차이

< 추석
(새 문서: {{토막글}} {|class="wikitable" |+연도별 명절 |추석/2019년 설날/2020년 추석/2020년 설날/2021년 추석/2021년 |} {|class="wikitable" |9월 29...)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연도별 명절
|+연도별 명절
25번째 줄: 24번째 줄:


[[명절 열차표 예매]]는 창구예매 없이 인터넷, 전화로만 진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907000916 창가 좌석만 발매]했다.
[[명절 열차표 예매]]는 창구예매 없이 인터넷, 전화로만 진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907000916 창가 좌석만 발매]했다.
== 물가 ==
차례상 비용은 소비자단체협의회 조사 결과 [http://price.consumer.or.kr/DR3001/DR3000_VE.php?gubun=B&seq=261 274,768원]으로 조사되었다. 2019년보다 5.3% 올랐다. [[2020년 집중호우]]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분류:2020년]][[분류:연도별 추석]]
[[분류:2020년]][[분류:연도별 추석]]

2020년 9월 16일 (수) 22:40 판

연도별 명절
추석/2019년 설날/2020년 추석/2020년 설날/2021년 추석/2021년
9월 29일 대수송 기간 시작
9월 30일 추석 연휴
10월 1일 추석
10월 2일 추석 연휴
10월 3일 개천절
10월 4일

끝나지 않은 코로나19

바로 전의 설날 연휴부터 우리나라에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19가 추석 연휴 2주 전에 일일 확진자 수가 100명대를 기록할 정도로 잠잠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정부는 이 연휴를 특별방역기간으로 정하고 귀성을 자제하도록 하고 있다. 벌초는 대행업체 이용을 권하고 있고 추석 연휴에 사람이 몰리지 않게 하기 위해 추모공원 중에서 연휴 동안에는 문을 닫거나 사전 예약을 해야 들어갈 수 있는 경우가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도록 하자. 성묘는 연휴가 아닌 때에 하는 게 좋다. 아니면 9월 21일부터 열리는 온라인 추모, 성묘하기 서비스를 이용해도 좋다.

교통

위에서 말한 코로나19로 인한 귀성 자제 권고 때문에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때 걷은 통행료는 휴게소 방역, 휴게소 운영업체 지원 등에 쓸 예정이다.

명절 열차표 예매는 창구예매 없이 인터넷, 전화로만 진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창가 좌석만 발매했다.

물가

차례상 비용은 소비자단체협의회 조사 결과 274,768원으로 조사되었다. 2019년보다 5.3% 올랐다. 2020년 집중호우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