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무선전화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6일 (수) 00:31 판 (불필요한 공백 제거)
Zugfunkanlage MESA .jpg

철도무선전화는 철도에서 사용하는 무선통신으로, 철도 관제, 철도 기관사, 열차 차장, 역무원이 무선으로 소통하기 위해 구축한 통신망이다.

특징

역원 사령전화

철도무선전화가 등장하기 전에는 기관사 및 승무원이 철도사령(관제)과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은 사령의 지시를 받은 각 역의 역무원(로컬관제)을 만나거나 선로변의 사령전화를 사용하는 것 뿐이었다. 특정 거점에서만 사령 전파가 가능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느릴 수밖에 없었고,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 애를 먹었다.

  • 통화권역
    일반 무선통신망과 달리 선로변을 따라 구축되기 때문에 기지국을 격자형으로 배치할 수 없어 배치를 잡는 데 다소 애를 먹는다. 그래서 대형 기지국 보다 소형 기지국을 다수 세우는 방향으로 설치한다.
  • 신뢰성
    필요할 때 항상 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기지국 1개가 죽더라도 주변 기지국에서 비는 통화권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어야 하고, 명료한 통화를 보장해야 한다.

종류

  • VHF
    1세대 무선통신망으로, 평범한 무전기다. 단문 메시지는 커녕 디지털화도 되어 있지 않은 아날로그 통신망으로 통화가 명료하지 못하고 통달거리도 짧으며, 지하 등 음영지역도 많아 운용에 애로사항이 많다. 전파를 방수하는 것도 가능하여 보안성도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 하지만 지정된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기라면 자유롭게 망에 들어갈 수 있으며, 통달거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TRS처럼 통화자가 지역 전체를 점유하여 다른 이용자가 쓰지 못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 지하구간 등에서는 전파가 제대로 통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구간 전체에 걸쳐 누설동축케이블(LCX)를 적용하여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지하구간 전체에 걸쳐서 통신이 가능하다.
  • TRS
    VHF를 디지털화하여 조금 발전한 것으로 기지국 개념이 생겨서 인접한 열차 2대가 동시에 키를 잡아서 혼선이 빚어지는 일은 없다. 대신 한 무선국이 통신중에는 다른 무선국이 개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긴 하다. 간단한 단문 송수신도 가능. 한국의 경우 고속철도에 도입되어 있으며 도입 시기에 따라 모토롤라 ASTRO와 TETRA 2가지 시스템으로 나뉜다.
  • GSM-R
    UIC가 처음으로 표준화를 주도한 무선통신망으로 GSM에 기반한 통신망이다. 간단한 단문도 전송할 수 있으며 유럽 철도의 표준 통신망으로 채택되어 CBTC(ETCS)의 기반이 되었다.
  • LTE-R
    LTE에 기반한 통신망으로 GSM을 도입하지 않았던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발했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