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아인슈타인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울름에서 출생하여, [[1955년]] [[4월 18일]] [[미국]] [[뉴저지]] 주에서 사망했다. 우리에게는 고전물리학의 정의를 뿌리채 뒤흔든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하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무려 [[사고 실험]](!)을 통해 정립했다. 괜히 천재의 대명사로 줄기차게 거론되는 게 아니다. <s>재수없다</s>  
아인슈타인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울름에서 출생하여, [[1955년]] [[4월 18일]] [[미국]] [[뉴저지]] 주에서 사망했다. 우리에게는 고전물리학의 정의를 뿌리채 뒤흔든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하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무려 [[사고 실험]](!)을 통해 정립했다. 괜히 천재의 대명사로 줄기차게 거론되는 게 아니다. <s>재수없다</s>  


==연구==
==업적==


==여담==
==여담==

2015년 11월 5일 (목) 20:38 판

틀:토막글

개요

Albert Einstein Head.jpg

Albert Einstein

인류 최고의 물리학자

현대물리학의 시작

아인슈타인 우유 만드신 분

아인슈타인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울름에서 출생하여, 1955년 4월 18일 미국 뉴저지 주에서 사망했다. 우리에게는 고전물리학의 정의를 뿌리채 뒤흔든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하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무려 사고 실험(!)을 통해 정립했다. 괜히 천재의 대명사로 줄기차게 거론되는 게 아니다. 재수없다

업적

여담

1921년 아인슈타인에게 노벨상을 가져다 준 업적은 상대성 이론이 아닌 광전 효과에 관한 연구였다. 노벨상은 실험적으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만 수상되기 때문에, 1921년 당시까지 그 어떤 실험적 증거도 얻어내지 못했던 상대성 이론에 노벨상을 수여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노벨상 위원회 측에서는 "상대성 이론 그거 쩌는 이론이긴 한데 우리가 상 주는 원칙에 들어맞는 이론이 아니라서 상을 못 줌" 이라는 입장이었으나, "그게 노벨상을 받을 발견이 아니면 뭐가 노벨상을 받을 발견이냐" 라며 물리학자들이 노벨상을 무시할 움직임이 보이자 궁여지책으로 실험적 데이터를 얻기가 아주 쉬운 이론인 광전 효과에 노벨상을 수여한 것. 물론 두 이론 모두 노벨상을 받기에 손색이 없을만큼 훌륭한 물리학 이론임에는 틀림없고, 광전 효과의 이론적 설명을 아인슈타인이 아니라 다른 물리학자가 써냈다면 그 사람은 광전 효과 업적 하나만으로 물리학사에 자기 이름을 새길 수 있었을 것이다. 내가 못 알아듣거든

원래 독일 태생이었던 그가 미국으로 이주한 것은 독일의 유대인 탄압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핵분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 역시 맨해튼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편지를 써 프로젝트의 시작에 한 부분을 차지했다. 다만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독일은 애초에 핵무기를 만들 능력과 의지가 없었음이 밝혀지자, "이걸 진작에 알았더라면 내가 1905년에 쓴 공식을 찢어버렸을 것이다" 라며 강하게 후회하기도 했다. (오히려 핵무기를 만드는 데는 일본이 독일보다 기술이 앞서 있었으나, 독일에서 우라늄을 수입해 오던 중에 독일이 항복을 해버려서 핵무기를 만들지 못했다고.)

평생 양자역학을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라며 확률에 의존하는 양자역학에 거부반응을 일으킨 것이 한 예.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자신도 모르게 불확정성 원리에 기여하였으며, "양자"라는 개념을 맨 처음 도입한 것이 아인슈타인 본인이 쓴 광전 효과 이론 때문이었음을 생각해 본다면 아이러니도 이런 아이러니가 없다.

독특하게도 그의 뇌는 세계 여러 연구기관에 의해 조사되고 있다. 그 결과 신경세포의 밀도가 일반인에 비해 높았다든가, 두정엽의 넓이가 일반인보다 15%가량 넓다는 등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뇌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논문들이 꽤 많이 발표되었다. 흔히들 아인슈타인도 평생 뇌의 15%밖에 사용하지 못했다며 인간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언급하는데 진짜인지는 잘 모르겠다. 이 글을 읽는 위키러들이 커서 훌륭한 뇌과학자가 되어 진실을 밝혀보도록 하자. 이미 다 큰 위키러라면 후손을 노려보자 후손이 없을 것 같다면... 안습

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