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바운드/도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다목적 도구 : 물질 조작기 (Matter Manipulator) ==
== 다목적 도구 : 물질 조작기 (Matter Manipulator) ==
[[File:Starbound Matter Manipulator.png|100px|right]]
[[File:Starbound Matter Manipulator.png|100px|right]]
[[File:Starbound_Matter_Mode1.png|200px|right]]
게임 시작시 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블럭이나 가구를 배치할때<ref>이걸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블럭등을 들면 이걸 든다.</ref> 사용된다. 본 기능인 채광 모드를 비롯해 여러가지로 사용되는만큼 인벤토리로 가지 않고 단축찬의 전용의 칸에 고정된다는 특징또한 가지고 있으며 따로 단축키까지 배분되어있다.<ref> 이 단축키는 옵션에서 바꿀 수 있다. 참고로 원래는 아이템인지라 일반 아이템 소환 커멘드로도 불러올 수 있다.</ref> 외형상으로나 용도으로나 모티브는 게임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의 등장 공구인 플라스마 커터로 추정.<s>하지만 공격은 안된다.</s> 참고로 첫 베타 트레일러에서 아예 등장하지 않는것으로 볼때<ref>트레일러에서 가구나 블럭을 설치할때 테라리아처럼 손에 직접 들고 배치를 한다.</ref> 처음부터 기획된 아이템은 아닌것으로 보인다.
게임 시작시 인공지능에게서 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블럭이나 가구를 배치할때<ref>이걸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블럭등을 들면 이걸 든다.</ref> 사용되며 얻었을때 부터 2x2 사이즈의 느린 속도를 가진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가 활성화되어있다.
<br><br>
<br><br>
[[File:Starbound_Matter_Upgrade.png|물질 조작기 업그레이드 인터페이스]]<br>
[[File:Starbound_Matter_Upgrade.png|물질 조작기 업그레이드 인터페이스]]<br>
게임 화면 오른쪽의 메뉴를 통해서 업그레이드 를 해줄 수 있다. 모든 업그레이드는 한번당 '''조작기 부품 (Manipulator Module)''' 다섯개씩 요구한다. 자세한 업그레이드 내역은 아래 참고.
게임 화면 오른쪽의 메뉴를 통해서 업그레이드 를 해줄 수 있다. 모든 업그레이드는 한번당 '''조작기 부품 (Manipulator Module)''' 다섯개씩 요구한다.
<br><br>
<br><br>
외형상으로나 원래 목적으로나 모티브는 게임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의 등장 공구인 플라스마 커터로 보인다. 참고로 데이터 상의 명칭은 Beamaxe. 현재는 전용 칸에 고정되어서 인벤토리에 방해가 되지 않지만 원래는 아이템이여서 아이템 소환 커맨드로 불러와보면 그대로 소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전용 칸에 커맨드로 넣을려면 다른 커맨드를 써야된다.
===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 ===
<br><br>
[[File:Starbound_Matter_Mode1.png|200px|right]]
=== 물질 파괴 단위 (Matter Proc Unit) ===
물질 조작기를 처음 손에 넣으면 처음부터 활성화 되어있는 모드로 짧은 사정거리에 2x2 크기만큼 느리게 부술 있는 매우 빈약한 채광도구의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업그레이드를 거치면서 점차 쓸모가 있어지기 때문에 조작기 부품을 빨리 입수하는것이 게임 플레이를 여러가지로 편하게 해준다.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으로 한번에 부술 수 있는 크기를 늘려준다.<br>
3x3 / 4x4 / 5x5 순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공사를 고려한다면 4x4까지만 채광에만 써먹을 거라면 끝까지 업그레이드 하는것이 좋다.
<br><br>
=== 발전기 (Power Generator) ===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 의 채광속도를 증폭시켜준다.<br>
100% / 200% / 300% 순으로 업그레이드 할 있다. 업그레이드를 하면 속도가 눈에 띌 정도로 증가하기에 풀 업글은 필수.
<br><br>
=== 광학 (Optics) ===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 의 사정거리를 늘려준다.<br>
2칸 / 4칸 / 6칸 순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처음의 물질 조작기의 사정거리가 생각이상으로 긴데 이를 이용해서 그것을 보완해 줄 수 있다.
<br><br>
=== 확장 기능 (Expansion Slot) ===
물질 조작기에 각종 기능을 추가해준다.
<br><br>
첫번째 업그레이드는 '''액체 수집 기능'''으로 사실상 필수 기능. 꼭 업그레이드 하자.<ref>건축 등지에의 활용을 배제하더라도 '''액화 에르키우스 연료 (Liquid Erchius Fuel)'''을 보충하기 위해서라도 이 기능은 써야된다.</ref>
<br><br>
두번째 업그레이드 부터는 아래 단락을 참고.
<br><br>
<br><br>
==== 채색 모드 (Paint Mode) : Y 키 ====
위의 업그레이드 인터페이스를 봐도 알 수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업그레이드는 채광 모드와 관련되어있다.
* 물질 파괴 단위 (Matter Proc Unit)<br>한번에 부술 수 있는 크기를 3x3 / 4x4 / 5x5 순으로 늘려준다. 다만 블럭을 설치하는것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발전기 (Power Generator)<br>채광속도를 100% / 200% / 300% 순으로 증폭시켜준다. 채광 속도가 정말 눈에 띄게 빨라지므로 우선 순위로 두는것이 좋다.
* 광학 (Optics)<br>채광 사정거리를 2칸 / 4칸 / 6칸 순으로 늘려준다. 처음에는 짧은 사정거리 탓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지만 대처 수단은 넘치고 넘치는 게임인지라 우선순위로 두기에는 애매한 편.
* 확장 기능 (Expansion Slot)<br>물질 조작기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 첫 업그레이드인 액체 수집 기능은 사실상 필수이므로<ref>건축 등지에의 활용을 배제하더라도 '''액화 에르키우스 연료 (Liquid Erchius Fuel)'''을 보충하기 위해서라도 이 기능은 써야된다.</ref> 역시 업그레이드 해주는것이 좋다. 이후 업그레이드는 아래 단락을 참고.
<br>
=== 채색 모드 (Paint Mode) : Y 키 ===
[[File:Starbound_Matter_Mode2.png|200px|right]]
[[File:Starbound_Matter_Mode2.png|200px|right]]
확장 기능의 두번째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우스 왼쪽 클릭으로 블럭과 플랫폼, 벽지에 색을 입히거나 탈색 시키며 오른쪽 클릭으로 색종류및 탈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테라리아]]의 비슷한 시스템과는 달리 원료등의 재료를 요구하지 않지만 가구를 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확장 기능의 두번째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우스 왼쪽 클릭으로 블럭과 플랫폼, 벽지에 색을 입히거나 탈색 시키며 오른쪽 클릭으로 색종류및 탈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테라리아]]의 비슷한 시스템과는 달리 원료등의 재료를 요구하지 않지만 가구를 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48번째 줄: 36번째 줄:
순으로 전환된다.
순으로 전환된다.
<br><br>
<br><br>
==== 전선 모드 (Wire Mode) : T 키 ====
=== 전선 모드 (Wire Mode) : T 키 ===
[[File:Starbound_Matter_Mode3.png|200px|right]]
[[File:Starbound_Matter_Mode3.png|200px|right]]
확장 기능의 마지막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인크래프트]]의 레드스톤이나 [[테라리아]]의 와이어기능와 비슷하게 각종 스위치와 문등의 연결이 가능한 기구들을 연결해 각종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걸들어 임무등 블럭 파괴가 안되는 곳에서의 전선이 어디로 연결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확장 기능의 마지막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인크래프트]]의 레드스톤이나 [[테라리아]]의 와이어기능와 비슷하게 각종 스위치와 문등의 연결이 가능한 기구들을 연결해 각종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걸들어 임무등 블럭 파괴가 안되는 곳에서의 전선이 어디로 연결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br><br>
<br><br>
== 일반 채광 도구 ==
== 일반 채광 도구 ==
=== 곡괭이 (Pixaxe) ===
=== 곡괭이 (Pixaxe) ===
70번째 줄: 57번째 줄:
일반 채광 도구군 중 하나로 3x3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 초반 물질 조작기를 대신할 수 있지만 낮은 내구도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제작또 한 불가능해 지속적인 사용에는 무리가 있다.
일반 채광 도구군 중 하나로 3x3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 초반 물질 조작기를 대신할 수 있지만 낮은 내구도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제작또 한 불가능해 지속적인 사용에는 무리가 있다.
<br><br>
<br><br>
==== 에너지 곡괭이 (Energy Pickaxe ====
==== 에너지 곡괭이 (Energy Pickaxe) ====
[[file:Starbound_Pickaxe_Energy.png]]
[[file:Starbound_Pickaxe_Energy.png]]
1.0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된 곡괭이류 도구로 말그대로 스타워즈의 라이트 세이버 마냥 곡괭이 대부분이 빛으로 이뤄져있다. 들고 만 있을때는 손잡이만 있지만 사용을 시작하면 곡괭이 부분이 나오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소모해 캐게 된다. 즉, 사용자의 에너지 = 내구도에 가깝다. 물론 에너지가 재충전되면 다시 쓸 수 있다.
1.0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된 곡괭이류 도구로 말그대로 스타워즈의 라이트 세이버 마냥 곡괭이 대부분이 빛으로 이뤄져있다. 들고 만 있을때는 손잡이만 있지만 사용을 시작하면 곡괭이 부분이 나오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소모해 캐게 된다. 즉, 사용자의 에너지 = 내구도에 가깝다. 물론 에너지가 재충전되면 다시 쓸 수 있다.

2016년 5월 23일 (월) 10:08 판

개요

게임 스타바운드에 등장하는 도구계열 아이템에 대한 항목.

다목적 도구 : 물질 조작기 (Matter Manipulator)

게임 시작시 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블럭이나 가구를 배치할때[1] 사용된다. 본 기능인 채광 모드를 비롯해 여러가지로 사용되는만큼 인벤토리로 가지 않고 단축찬의 전용의 칸에 고정된다는 특징또한 가지고 있으며 따로 단축키까지 배분되어있다.[2] 외형상으로나 용도으로나 모티브는 게임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의 등장 공구인 플라스마 커터로 추정.하지만 공격은 안된다. 참고로 첫 베타 트레일러에서 아예 등장하지 않는것으로 볼때[3] 처음부터 기획된 아이템은 아닌것으로 보인다.

물질 조작기 업그레이드 인터페이스
게임 화면 오른쪽의 메뉴를 통해서 업그레이드 를 해줄 수 있다. 모든 업그레이드는 한번당 조작기 부품 (Manipulator Module) 다섯개씩 요구한다.

채광 모드 (Mining Mode) : R 키

Starbound Matter Mode1.png

물질 조작기를 처음 손에 넣으면 처음부터 활성화 되어있는 모드로 짧은 사정거리에 2x2 크기만큼 느리게 부술 수 있는 매우 빈약한 채광도구의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업그레이드를 거치면서 점차 쓸모가 있어지기 때문에 조작기 부품을 빨리 입수하는것이 게임 플레이를 여러가지로 편하게 해준다.

위의 업그레이드 인터페이스를 봐도 알 수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업그레이드는 채광 모드와 관련되어있다.

  • 물질 파괴 단위 (Matter Proc Unit)
    한번에 부술 수 있는 크기를 3x3 / 4x4 / 5x5 순으로 늘려준다. 다만 블럭을 설치하는것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발전기 (Power Generator)
    채광속도를 100% / 200% / 300% 순으로 증폭시켜준다. 채광 속도가 정말 눈에 띄게 빨라지므로 우선 순위로 두는것이 좋다.
  • 광학 (Optics)
    채광 사정거리를 2칸 / 4칸 / 6칸 순으로 늘려준다. 처음에는 짧은 사정거리 탓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지만 대처 수단은 넘치고 넘치는 게임인지라 우선순위로 두기에는 애매한 편.
  • 확장 기능 (Expansion Slot)
    물질 조작기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 첫 업그레이드인 액체 수집 기능은 사실상 필수이므로[4] 역시 업그레이드 해주는것이 좋다. 이후 업그레이드는 아래 단락을 참고.


채색 모드 (Paint Mode) : Y 키

Starbound Matter Mode2.png

확장 기능의 두번째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우스 왼쪽 클릭으로 블럭과 플랫폼, 벽지에 색을 입히거나 탈색 시키며 오른쪽 클릭으로 색종류및 탈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테라리아의 비슷한 시스템과는 달리 원료등의 재료를 요구하지 않지만 가구를 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빨강 파랑 초록 노랑 주황 분홍 검정 하양 탈색

순으로 전환된다.

전선 모드 (Wire Mode) : T 키

Starbound Matter Mode3.png

확장 기능의 마지막 업그레이드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마인크래프트의 레드스톤이나 테라리아의 와이어기능와 비슷하게 각종 스위치와 문등의 연결이 가능한 기구들을 연결해 각종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걸들어 임무등 블럭 파괴가 안되는 곳에서의 전선이 어디로 연결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일반 채광 도구

곡괭이 (Pixaxe)

구리 곡괭이
(Copper Pickaxe)
은 곡괭이
(Silver Pickaxe)
금 곡괭이
(Gold Pickaxe)
백금 곡괭이
(Platinum Pickaxe)
다이아몬드 곡괭이
(Diamond Pickaxe)
파일:Starbound Pickaxe Copper.png 파일:Starbound Pickaxe Silver.png 파일:Starbound Pickaxe Gold.png 파일:Starbound Pickaxe Platinum.png 파일:Starbound Pickaxe Diamond.png

일반 채광 도구군 중 하나로 3x3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 초반 물질 조작기를 대신할 수 있지만 낮은 내구도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제작또 한 불가능해 지속적인 사용에는 무리가 있다.

에너지 곡괭이 (Energy Pickaxe)

파일:Starbound Pickaxe Energy.png 1.0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된 곡괭이류 도구로 말그대로 스타워즈의 라이트 세이버 마냥 곡괭이 대부분이 빛으로 이뤄져있다. 들고 만 있을때는 손잡이만 있지만 사용을 시작하면 곡괭이 부분이 나오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소모해 캐게 된다. 즉, 사용자의 에너지 = 내구도에 가깝다. 물론 에너지가 재충전되면 다시 쓸 수 있다.

드릴 (Drill)

구리 드릴
(Copper Drill)
은 드릴
(Silver Drill)
금 드릴
(Gold Drill)
백금 드릴
(Platinum Drill)
다이아몬드 드릴
(Diamond Drill)
파일:Starbound Drill Copper.png 파일:Starbound Drill Silver.png 파일:Starbound Drill Gold.png 파일:Starbound Drill Platinum.png 파일:Starbound Drill Diamond.png

일반 채광 도구군 중 하나로 2x2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고 곡괭이와 마천가지로 구리, 은, 금, 백금, 다이아몬드 드릴이 존재한다. 초기 물질 조작기와 같은 사이즈지만 도구 힘은 더 높다. 최종 드릴인 다이아몬드 드릴의 경우 도구 힘 강화를 모두 마친 물질 조작기 보다 더 빠른 채광 속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사이즈와 더불어 내구도의 존재때문에 결과적으로 물질 조작기에게 밀릴 수 밖에 없는것이 현실이다. 본 역할보다는 건축의 보조 도구로써 좀 더 써먹을 수 있기는 하다.

농사 관련 도구

호미 (Hoe)

Starbound Tool Hoe.png
제작 법
수렵 탁자 (Foraging Table)
에서...
목재
(Timber)
25 개
구리 괴
(Copper Bar)
4 개

(Sting)
1 개
(으)로 1 개 만듬

작물을 기르기 위해선 거진 필수로 챙겨야되는 농사 관련 도구. 기본적으로 야생에서 자라난 작물을 부수면[5] 씨앗을 얻게 되는데 이걸 일반적인 땅으로 다시 심을 수 는 없게 되어있다. 흙 블럭(Dirt Block) 을 이것으로 개간하여야만 작물들을 그 위에다가 심어 키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개간한 흙은 밟거나 해도 사라지지 않으며 개간된 흙을 도구로 한번 건드리게 되면 사라진다. 참고로 코알라 시절에는 돌 호미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홀로 사는 NPC들이 이걸 들고 개간을 시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다만 뭔갈 심거나 하지는 않았다.

나무 물 뿌리개 (Wooden Watering Can)

Starbound Tool Water1.png
제작 법
수렵 탁자 (Foraging Table)
에서...
나무 판자
(Wood Planks)
30 개
구리 괴
(Copper Bar)
1 개
(으)로 1 개 만듬

Pleased Giraffe 부터 등장한 농사 관련 도구. 이 도구의 등장과 동시에 작물들에게 물을 주지 않고는 자라나지 않게 조정되었기 때문에 필수 도구로 승직 되는가... 싶었지만 자라는 속도가 짧은 작물들은 비만 와도 순식간에 폭풍 성장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비가 전혀 오지 않는 행성이나 우주선 내부에서 재배를 시도한다면 얘기가 달라지긴 한다.

물 뿌리개 (Wooden Watering Can)

Starbound Tool Water2.png
제작 법
수렵 탁자 (Foraging Table)
에서...
텅스턴 괴
(TungsTen Bar)
2 개
빨강색 염료
(Red Dye)
1 개
초록색 염료
(Green Dye)
1 개
(으)로 1 개 만듬

추가 바람

등반 관련 도구



화석 관련 도구

본 단락은 본 게임에 적용되지 않는 내용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나서 수정이 필요합니다.



광원 도구

손전등 (Flashlight)

일반 손전등 녹색 손전등
파일:Starbound Flashlight Common 파일:Starbound Flashlight Green
붉은 손전등 노란 손전등
파일:Starbound Flashlight Red 파일:Starbound Flashlight Yellow

제작 불가능의 한손 광원 도구로 들고 있으면 조준된 방향으로 빛을 내뿜는다. 우주선 보관함에서 일반 손전등이 나오며 이후 마을이나 던전에서 여러 색상의 손전등을 찾을 수 있다. 일반 손전등을 제외한 다른 색상의 손전등의 설명문은 DC코믹스사의 그린랜턴 시리즈의 패러디이다.

등불 (Lanturn)

제작 법
제작 기구 (Name)
에서...
이름
(Name)
0 개
이름
(Name)
0 개
(으)로 0 개 만듬

추가 바람

신호탄 (Flare)

제작 법
제작 기구 (Name)
에서...
이름
(Name)
0 개
이름
(Name)
0 개
(으)로 0 개 만듬



기타 도구



각주

  1. 이걸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블럭등을 들면 이걸 든다.
  2. 이 단축키는 옵션에서 바꿀 수 있다. 참고로 원래는 아이템인지라 일반 아이템 소환 커멘드로도 불러올 수 있다.
  3. 트레일러에서 가구나 블럭을 설치할때 테라리아처럼 손에 직접 들고 배치를 한다.
  4. 건축 등지에의 활용을 배제하더라도 액화 에르키우스 연료 (Liquid Erchius Fuel)을 보충하기 위해서라도 이 기능은 써야된다.
  5. 열매를 지속적으로 여는 작물 한정. 밀이나 감자등은 수확히 작물이 파괴되어 식물 섬유, 씨앗을 함께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