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법인 정보 *\n *\| *법인이름 *=(.*)\n *\| *원어이름 *=(.*)\n *\|로고 *=(.*)\n *\|로고설명 *=.*\n +{{법인 정보\n|법인이름 =\1\n|원어이름 =\2\n|로고 =\3\n|그림 = \n|그림설명 = \n))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대학 정보
|법인이름 = 구글
|이름    = 중앙대학교
|원어이름 = Google
|교훈     = 의에 죽고 참에 살자
|로고     = [[파일:Google_2015_logo.svg]]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법인종류 = [[유한회사]]
|그림크기 =  
|주식코드 =  
|설립    = 1916년(중앙유치원)
|분야     = [[인터넷]]<br />[[휴대전화]]<br />[[소프트웨어]]
|개교     = 1949년<ref>1946년 중앙여자전문대학이 중앙여자대학이라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며 중앙대학으로 교명 변경되었다.</ref>
|창립자  =  
|폐교    =  
|창립일  = [[1998년]] [[9월 4일]]
|종류    = 사립대(4년제)
|해산일   =  
|설립자   = 임영신
|이전회사 =  
|총장    = 박상규(제16대)
|이후회사 =  
|부총장  = 교학부총장 : 백준기<br />행정부총장 : 이산호<br />의무부총장 : 홍창권<br />안성부총장 : 최재원<br />연구부총장 : 김원용
|본사     = [[미국]]
|학장     =  
|지사수  =  
|국가    = 대한민국
|인물     = 에릭 슈밋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흑석캠퍼스) <br />경기도 안성시(안성캠퍼스)
|자본금  =  
|규모    =  
|매출액  =  
|학부    =  
|영업이익 =  
|대학원  =  
|순이익   =  
|학생수   =  
|자산총액 =  
|교직원수 =  
|주주     =  
|상징     = 청룡
|모회사   =  
|학교색   =  
|자회사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종업원  =  
|종교    =  
|웹사이트 = https://www.google.com
|기타    =  
|비고    =
|웹사이트 = https://www.cau.ac.kr/
}}
}}
'''구글'''(Google)는 [[미국]]의 [[기업]]이다.
 
<big>'''중앙대학교'''</big>
<big>'''C'''hung '''A'''ng '''U'''niversity</big>
 
<gallery>
파일:CAU_maingate.jpg|중앙대학교 정문
파일:CAU_logo.jpg|중앙대학교 로고
</gallery>


== 개요 ==
== 개요 ==
구글은 웹 검색, 광고 등의 사업을 하는 [[미국]][[다국적 기업]]이다. [[1998년]] [[래리 페이지]][[세르게이 브린]]에 의해 설립되었다.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흑석캠퍼스)과 [[경기도]] [[안성시]] 내리(안성캠퍼스)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 대학교이다.
== 역사 ==
=== 설립 초기 ===
[[1916년]] 교육을 통한 민족 실력 향상과 민족 독립이라는 뜻을 이루기 위해 민족교육을 목표로 중앙유치원이 설립되었다.
이후 유치원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해 중앙유치원 내에 사범과를 설치하여 여학생들을 모집하였으며, [[1922년]] 중앙유치원 사범과는 중앙보육학교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일제의 탄압과 운영자들의 재정적 사정이 겹쳐 [[1932년]]에는 학교를 개인 집으로 옮겨야 했으며, 그 학생수도 10여명에 불과했다. 이러한 어려움에 처한 중앙보육학교를 [[1933년]] 당시 34세의 [[임영신]] 선생이 인수하였다.
=== 발전과 탄압 ===
임영신 선생은 학교를 인수하고, 자신이 미국 유학중 모은 3만달러를 투입하여 교지를 흑석동에 마련하였으나 교육장이 마땅치 않아 피어선 성경학교 (현 평택대)를 빌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임영신 박사 개인의 사재는 한계를 드러냈고,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일제는 여러 명목으로 기부금도 금지시켜 학교 운영상 어려움은 계속 되었다.
=== 해방 이후 ===
=== 안성캠퍼스 설립 ===
임영신이 [[1977년]]에 사망한 후 [[1980년]]에 안성에 [[분교]]가 설립되었다.
 
=== 재단 파산과 인수 ===
안성캠퍼스 건설비와 방만한 경영이 더해져 부채가 700억원에 달해 재단 인수자를 찾던 도중 [[재일교포]] 실업가 김희수씨가 학교를 인수하고 부채를 단박에 갚았다. 그러나 일본의 거품 붕괴로 추가 출연은 못했다.
=== 두산그룹에 인수 ===
[[2005년]]에 [[박범훈]] 총장이  취임한 뒤 [[2007년]]에 또다시 빚이 수백억에 이르자 박범훈 총장이 김희수 이사장에게 [[두산그룹]]에 학교를 매각할 것을 제의했고, 두산이 1200억원을 김희수 이사장이 설립한 재단에 출연하는 방식으로 매각되었다. 그러나 [[2015년]]에 들어서 비리 문제가 불거져 논란이 되고 있다.
 
== 캠퍼스 ==
=== 흑석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제1캠퍼스로 서달산이라는 조그만 산의 비탈을 깎아 조성되어있다. 그러기에 대학의 면적은 넓지 않으나 상당히 비탈져 있어서 올라가는 게 꽤 힘들다. 건물의 경우도 앞쪽 출입구는 예를 들어 지하 1~2층에 있는데 뒤쪽 출입구는 지상 3~4층에 나 있는 식이다. 일일히 계단을 타고가기 힘드니 건물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그나마 쉽게 올라가려는 학생들이 많다.
 
=== 안성캠퍼스 ===
경기도 안성시에 [[분교]]로 설립되었다가 2011년 교육부의 본.분교 통합 승인을 받고 이원화캠퍼스로 전환되었다.<ref>경희대의 경우도 중앙대 이후 교육부에 본.분교 통합 승인을 받았다.</ref>  안성캠퍼스는 분교 시절부터 예체능계열이 상당한 규모를 지니고 있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안성캠퍼스의 단점은 대덕면이라는 면 단위에 위치해있어 주변에 발전된 시설이 그리 없다. 그나마 후문쪽의 내리에 대학가?가 어느 정도 조성이 되어있었다는 것과 최근에 정문 건너편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왔다는 것이 다행. 안성캠 학생들 입장에선 대학측에서 안성캠에도 좀 투자를 제대로 해주길 원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 듯 하여 불만이 상당하다.
== 학부 ==
=== 흑석캠퍼스 ===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창의ICT공과대학
* 소프트웨어대학
* 경영경제대학
* 의과대학
* 약학대학
* 적십자간호대학
=== 안성캠퍼스 ===
* 생명공학대학
* 예술대학
* 예술공학대학
* 체육대학
== 대학원 ==
=== 흑석캠퍼스 ===
* 일반대학원
* 전문대학원
:* 국제대학원
:* 첨단영상대학원
:* 경영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사회복지대학원
:* 교육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건설대학원
:* 행정대학원
:* 의약식품대학원
:* 예술대학원
:*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 건강간호대학원
:* 심리서비스대학원
:* 보안대학원
 
=== 안성캠퍼스 ===
* 일반대학원
* 특수대학원
:* 국악교육대학원
 
=== 공통(흑석/안성) ===
* 특수대학원
:* 산업창업경영대학원
 
== 대학병원 ==
=== 중앙대학교병원 ===
원래 중앙대병원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이라 해서 중구 필동에 있었고 1984년 용산구에 있는 철도청 소유 철도병원을 임대해 중앙대 용산병원을 추가로 운영하였다. 그러다 중구 필동에 있던 부속병원은 동국대 측에 매각하고 2005년 흑석캠퍼스 바로 옆에 병원을 새로 지었다.  용산병원의 경우도 철도청(현 코레일)과 임대기간 등 문제로 인해 결국 운영을 정지하고 흑석동병원으로 흡수되었다.
===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예정) ===
2018년 7월에 착공하였으며 22년 개원 예정이라고 한다.
== 사건사고(대학교) ==
== 사건사고(대학병원) ==
=== 병원 의료진의 오진으로 환자 사망 논란 ===
* 청와대 국민청원에 한 청원인이 자기 부인이 지난해인 2020년 2월 중앙대학교병원에서 아이를 출산했는데 두달 뒤 몸에 이상이 생겨 중앙대병원에 입원했고 해당 병원 혈액내과의 유명한 담당 의사(교수)는 부인이 혈액암 초기라 진단해서 1,2차 항암주사를 맞았지만 차도가 없었고 의사는 신약 항암주사를 추천했다면서 신약 주사를 처음 2회 맞은 후 해당 의사가 조금 좋아졌으니 계속 그 주사로 치료하자고 해 2회 더 맞았다 한다. 신약 항암주사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1회에 600만원 정도 들었는데 문제는 아내의 상태가 점점 나빠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로 옮겨 진료를 받았는데 그 병원에서는 혈액암이 아닌 '만성 활성형 EB바이러스 감염증 및 거대세포바이러스'라고 진단했으며 그 병원 의료진은 "부인이 너무 안 좋은 상태로 왔고 기존 항암치료 또는 어떤 이유로 인해 몸의 면역력이 깨져 치료방법이 없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 꼴이다"라고 이야기했다 한다. 그러다 입원 중 부인은 지난달인 2021년 1월 14일 사망했고 중앙대병원의 해당 교수는 오진이 아니었단 말만 반복하며 소송하고 싶으면 하라고 한다며 수천만 원의 병원비로 파탄 위기고 엄마 없이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지 걱정이라며 원인과 잘못을 가리도록 진상규명을 하고 싶다는 내용의 청원을 2월 17일 올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37&aid=0000259377 "유명해서 믿었는데…대학병원 오진으로 아내 사망"] JTBC. 2021.02.18. 11:28</ref> 이에 대해 중앙대병원 측에선 2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본원 의료진은 정확한 검사를 통해 국제보건기구 WHO 분류에 따라 '악성림프종(혈액암)'으로 명확히 진단했으며 이후 표준 진료 지침에 따라 정상적인 진료 및 치료를 시행했다.  치료 기간 내내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승인받은 약제 조합만을 투여했으며 마지막에 사용한 고가 약제 역시 임상 시험약이 아니라 해당 림프종 치료에 승인받은 항암치료제" 라고 주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3078949 "오진으로 아내 사망" 청원에…중앙대병원 "혈액암 맞다"] 중앙일보. 2021.02.19. 18:01</ref>


초창기 이름은 BackRub이었다. 현재의 이름인 구글은 10의 100제곱을 뜻하는 '구골'에서 유래했다. 구글로 바뀐 이유는 '구골'이라는 도메인이 선점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출신인물 ==
=== ㄱ ===
* 농구 선수 강동희
* 배우 [[강리나]]
* 배우 [[강하늘]]
* 개그맨 [[고명환]]
* 배우 [[고소영]]
* 배우 [[고아라]]
* 배우 곽지민
* 축구 선수 곽태휘
* 국회 의원 권성동
* 배우 [[김강우]]
* 배우 김규리
* 배우 [[김래원]]
* 배우 [[김민재]]
* 배우 [[김범]]
* 배우 [[김상경]]
* 배우 [[김새론]]
* 배우 김석훈
* 배우 [[김소은]]
* 배우 [[김수현]]
* 농구 감독 김영만
* 농구 선수 김주성
* 배우 김을동
* 농구 선수 김유택
* 야구 선수 김용수
* 야구 선수 김태균
* 국회 의원 김학용
* 야구 선수 김한수
* 배우 김흥기
* 개그맨 김희원
* 배우 김희선
* 배우 [[김희정 (1970)]]
* 배우 [[김희정 (1992)]]


== 역사 ==
=== ===
구글의 원래 이름이었던 '구골'의 의미는, '엄청난 규모의 검색 엔진을 만들 것이다.' 라는 뜻이었다. ([[위키백과]] 참조.) 그러나 선점된 도메인이 이미 존재해 현재와 같은 구글로 바뀌었다.
* 배우 [[남궁민]]
* 국회 의원 노웅래
=== ㄷ===
* 야구 선수 동봉철
=== ㄹ ===
* 가수 [[루나 (f(x))]]
* 배우 [[류덕환]]
* 가수 린지 ([[피에스타]])
 
=== ㅁ ===
* 가수 [[미료]] (브라운 아이드 걸스)
 
=== ㅂ ===
* 배우 [[박근형]]
* 배우 박상아
* 배우 [[박신혜]]
* 배우 [[박예진]]
* 배우 [[박인환]]
* 배우 [[박중훈]]
* [[워너원]]의 [[박지훈]]
* 배우 [[박철민]]
* 배우 [[배종옥]]
* 배우 [[백윤식]]


[[1996년#1월|1996년 1월]], 스탠퍼드 대학의 박사과정에 있었던 [[래리 페이지]]는 프로젝트로서 '구글'을 시작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세르게이 브린]]이 합류하였다. 래리 페이지가 생각한 새로운 검색엔진의 작동 방식은, '웹사이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기존의 키워드 기반 페이지 순위 정렬보다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할 것이다.'였다. 당시 [[리얀 홍]]이라는 사람이 RankDex (랭크덱스)라는 검색 엔진에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 ㅅ ===
* 배우 [[서인석]]
* 배우 선우용녀
* 국회 의원 [[서청원]]
* 배우 [[손현주]]
* 배우 [[송재림]]
* 가수 [[수영 (소녀시대)]]
* 배우 [[신세경]]
* 배우 신애라
* 가수 선데이 (천상지희)
* 가수 스컬
* 가수 신성우
* 국회의원 [[심재철]]


이러한 가정 하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연구를 수행했다. 초기의 검색 엔진(이 프로젝트의 초기 이름은 "Backrup"이었다)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웹 사이트를 이용했다. [[1997년]] [[9월 15일]] "google.com" 도메인이 등록되었으며, 다음해 [[9월 7일]] [[캘리포니아주]] 먼로 파크의 친구 집 차고에서 "Google Inc."을 창립한다.
=== ㅇ ===
* 배우 [[여진구]]
* 배우 [[염정아]]
* 배우 오대규
* 배우 [[왕빛나]]
* 가수 [[유리 (소녀시대)]]
* 배우 [[유인영]]
* 배우 유인촌
* 배우 유지인
* 배우 유태웅
* 야구 선수 [[유희관]]
* 배우 [[윤문식]]
* 개그맨 이동엽
* 배우 [[이민우]]
* 배우 [[이범수]]
* 배우 [[이연희]]
* 배우 [[이윤지]]
* 배우 [[이재룡]]
* 국회의원 [[이재오]]
* 배우 [[이재은]]
* 배우 [[이정길]]
* 배우 이정현
* 경기도지사 [[이재명 (정치인)|이재명]]
* 개그맨 이홍렬
* 배우 임은경
* 배우 [[임수향]]
* 가수 겸 배우 [[임창정]]
* 배우 [[임채무]]


[[1993년#3월|1993년 3월]] Google은 [[팰러앨토]]로 사무실을 옮겼다. 이곳은 훗날 애플 등 거대 기업들이 성장하는 실리콘 밸리의 중심지이다(현재 애플의 본사도 이곳에 있다). [[1999년]] Google은 마운틴 뷰 앰피시어터 파크웨이 1600번지의 건물을 임대했고, 계속 이곳에 머물렀다.
=== ㅈ ===
* 배우 [[장나라]]
* 배우 전인화
* 국회 의원 장제원
* 배우 [[정보석]]
* 배우 정태우
* 가수 주현미
* 배우 [[진세연]]


2006년에 세계구급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를 16억5천만달러에 인수했다. 에릭 슈미트 구글 최고경영자(CEO) 주도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한다.<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163105.html 구글, 유튜브 16억5천만달러에 인수], 한겨레, 2006.10.10</ref>
=== ㅊ ===
* 가수 [[차오루]] ([[피에스타]])
* 배우 [[최우식]]
* 배우 [[최정윤]]
* 배우 [[최태준]]


2021년 6월 경부터 갑작스럽게 구글 산하 서비스들을 유료화하고 있다.
=== ===
{| class="wikitable"
* 배우 [[하정우]]
|-
* 배우 [[현빈]]
! style="width: 12%" | 서비스명
* 농구 감독 허재
! 유료화 이전
* [[홍유경]] ([[에이핑크]])
! 유료화 이후
|-
| [[구글 포토]]
| 무료로 사진 및 영상 저장가능함. 용량 제한 없음.
| 유료화 이후부터의 무료 저장용량이 15 GB로 제한됨.
|-
| [[유튜브]]
| 조건을 충족할 경우 동영상 광고 계약가능함. 이득은 유튜버가 55% 차지함.
| 모든 동영상에 광고가 강제 부착됨. 계약 안 맺었을 경우 이득은 구글이 100% 차지함.
|-
| [[구글 플레이]]
| 앱 유로 결제 수수료 없음.
| 인앱결제 시스템 의무화, 수수료 15~30%로 인상됨.
|-
| [[구글 클라우드]]<br />[[지메일]]
| 일반 무료제공 용량 15 GB, 대학교는 무료로 무제한 저장 가능함.
| 대학교 무료제공 용량 100 TB로 제한함.
|-
|}
== 대한민국에서 ==
2003년에 [[다음]]과 제휴하면서 한국시장에 첫발을 내딛었으며,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다음 웹문서 검색결과를 구글이 제공했고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다음의 광고외주를 맡았기도 했다. 본격적으로 구글코리아 설립하며 한국시장 공략에 나선것은 2006년도였는데 2000년대 후반기에는 저조한 점유율에 시달렸고 따라서 이 시기 구글 코리아의 수익은 다음과의 제휴로 얻어진것이다. 그러다가 2009년에 다음과 광고외주계약이 끝나고 다음에서 웹문서 검색시에 별도의 검색엔진을 쓰기로 함으로써 다음과 결별하였다.<ref>[http://ddaily.co.kr/news/article.html?no=44384 구글 한국진출 2년…성공? 실패?], 디지털데일리, 2008.11.25</ref> 이후 2010년대 들어와서는 안드로이드 폰의 보급으로 점유율이 급속히 올라갔으며, 2010년대 중반기 들어서는 자료별로 차이가 크기는 하지만 모바일에서는 2, 3위를 오가는 수준을 기록하고 있을 정도의 점유율은 기록하고 있다.
== 주요 제품 ==
* 구글 검색
* [[Flutter]]
* [[Gmail]]
* [[크로미움]]
* [[구글 크롬]]
* [[크로미움 OS]]
* [[크롬 OS]]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 [[구글 나우]]
* [[구글 넥서스]]
* [[구글 플레이]]
* [[애드센스]]
* [[애드워즈]]
* [[AdMob]]
* [[구글 애널리틱스|애널리틱스]]
* [[구글 드라이브]]
* [[유튜브]]
* [[구글 지도]]
* [[구글 스트리트 뷰]]
* [[구글+]]
* [[구글 행아웃]]
* [[구글 카드보드]]
* [[피카사]]
* [[구글 어스]]
* [[구글 클라우드]]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 아마존 웹 서비스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3개월 무료 크레딧 30만원을 제공하며 무료체험 기간이 끝나면 프리티어로 월 2코어, 1GB로 평생 무료를 써볼 수 있다.(compute engine)<ref>https://cloud.google.com/free/docs/gcp-free-tier/#compute</ref>
* [[구글 고글스]]
* [[구글 포토]]


== 같이 보기 ==
* [[구글 웹게임]]
{{각주}}
{{각주}}
{{미국의 포털 사이트}}
{{서울특별시의 대학}}
{{검색 엔진}}
{{경기도의 대학}}
[[분류:검색 엔진]]
 
[[분류:포털 사이트]]
[[분류:두산그룹]][[분류:1918년 개교]]
[[분류:구글| ]]
[[분류:중앙대학교| ]]
[[분류:컴퓨터 기업]]
[[분류:1998년 설립]]

2022년 4월 9일 (토) 17:22 판

틀:대학 정보

중앙대학교 Chung Ang University

개요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흑석캠퍼스)과 경기도 안성시 내리(안성캠퍼스)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 대학교이다.

역사

설립 초기

1916년 교육을 통한 민족 실력 향상과 민족 독립이라는 뜻을 이루기 위해 민족교육을 목표로 중앙유치원이 설립되었다. 이후 유치원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해 중앙유치원 내에 사범과를 설치하여 여학생들을 모집하였으며, 1922년 중앙유치원 사범과는 중앙보육학교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일제의 탄압과 운영자들의 재정적 사정이 겹쳐 1932년에는 학교를 개인 집으로 옮겨야 했으며, 그 학생수도 10여명에 불과했다. 이러한 어려움에 처한 중앙보육학교를 1933년 당시 34세의 임영신 선생이 인수하였다.

발전과 탄압

임영신 선생은 학교를 인수하고, 자신이 미국 유학중 모은 3만달러를 투입하여 교지를 흑석동에 마련하였으나 교육장이 마땅치 않아 피어선 성경학교 (현 평택대)를 빌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임영신 박사 개인의 사재는 한계를 드러냈고,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일제는 여러 명목으로 기부금도 금지시켜 학교 운영상 어려움은 계속 되었다.

해방 이후

안성캠퍼스 설립

임영신이 1977년에 사망한 후 1980년에 안성에 분교가 설립되었다.

재단 파산과 인수

안성캠퍼스 건설비와 방만한 경영이 더해져 부채가 700억원에 달해 재단 인수자를 찾던 도중 재일교포 실업가 김희수씨가 학교를 인수하고 부채를 단박에 갚았다. 그러나 일본의 거품 붕괴로 추가 출연은 못했다.

두산그룹에 인수

2005년박범훈 총장이 취임한 뒤 2007년에 또다시 빚이 수백억에 이르자 박범훈 총장이 김희수 이사장에게 두산그룹에 학교를 매각할 것을 제의했고, 두산이 1200억원을 김희수 이사장이 설립한 재단에 출연하는 방식으로 매각되었다. 그러나 2015년에 들어서 비리 문제가 불거져 논란이 되고 있다.

캠퍼스

흑석캠퍼스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제1캠퍼스로 서달산이라는 조그만 산의 비탈을 깎아 조성되어있다. 그러기에 대학의 면적은 넓지 않으나 상당히 비탈져 있어서 올라가는 게 꽤 힘들다. 건물의 경우도 앞쪽 출입구는 예를 들어 지하 1~2층에 있는데 뒤쪽 출입구는 지상 3~4층에 나 있는 식이다. 일일히 계단을 타고가기 힘드니 건물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그나마 쉽게 올라가려는 학생들이 많다.

안성캠퍼스

경기도 안성시에 분교로 설립되었다가 2011년 교육부의 본.분교 통합 승인을 받고 이원화캠퍼스로 전환되었다.[1] 안성캠퍼스는 분교 시절부터 예체능계열이 상당한 규모를 지니고 있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안성캠퍼스의 단점은 대덕면이라는 면 단위에 위치해있어 주변에 발전된 시설이 그리 없다. 그나마 후문쪽의 내리에 대학가?가 어느 정도 조성이 되어있었다는 것과 최근에 정문 건너편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왔다는 것이 다행. 안성캠 학생들 입장에선 대학측에서 안성캠에도 좀 투자를 제대로 해주길 원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 듯 하여 불만이 상당하다.

학부

흑석캠퍼스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창의ICT공과대학
  • 소프트웨어대학
  • 경영경제대학
  • 의과대학
  • 약학대학
  • 적십자간호대학

안성캠퍼스

  • 생명공학대학
  • 예술대학
  • 예술공학대학
  • 체육대학

대학원

흑석캠퍼스

  • 일반대학원
  • 전문대학원
  • 국제대학원
  • 첨단영상대학원
  • 경영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사회복지대학원
  • 교육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건설대학원
  • 행정대학원
  • 의약식품대학원
  • 예술대학원
  •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 건강간호대학원
  • 심리서비스대학원
  • 보안대학원

안성캠퍼스

  • 일반대학원
  • 특수대학원
  • 국악교육대학원

공통(흑석/안성)

  • 특수대학원
  • 산업창업경영대학원

대학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원래 중앙대병원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이라 해서 중구 필동에 있었고 1984년 용산구에 있는 철도청 소유 철도병원을 임대해 중앙대 용산병원을 추가로 운영하였다. 그러다 중구 필동에 있던 부속병원은 동국대 측에 매각하고 2005년 흑석캠퍼스 바로 옆에 병원을 새로 지었다. 용산병원의 경우도 철도청(현 코레일)과 임대기간 등 문제로 인해 결국 운영을 정지하고 흑석동병원으로 흡수되었다.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예정)

2018년 7월에 착공하였으며 22년 개원 예정이라고 한다.

사건사고(대학교)

사건사고(대학병원)

병원 의료진의 오진으로 환자 사망 논란

  • 청와대 국민청원에 한 청원인이 자기 부인이 지난해인 2020년 2월 중앙대학교병원에서 아이를 출산했는데 두달 뒤 몸에 이상이 생겨 중앙대병원에 입원했고 해당 병원 혈액내과의 유명한 담당 의사(교수)는 부인이 혈액암 초기라 진단해서 1,2차 항암주사를 맞았지만 차도가 없었고 의사는 신약 항암주사를 추천했다면서 신약 주사를 처음 2회 맞은 후 해당 의사가 조금 좋아졌으니 계속 그 주사로 치료하자고 해 2회 더 맞았다 한다. 신약 항암주사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1회에 600만원 정도 들었는데 문제는 아내의 상태가 점점 나빠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로 옮겨 진료를 받았는데 그 병원에서는 혈액암이 아닌 '만성 활성형 EB바이러스 감염증 및 거대세포바이러스'라고 진단했으며 그 병원 의료진은 "부인이 너무 안 좋은 상태로 왔고 기존 항암치료 또는 어떤 이유로 인해 몸의 면역력이 깨져 치료방법이 없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 꼴이다"라고 이야기했다 한다. 그러다 입원 중 부인은 지난달인 2021년 1월 14일 사망했고 중앙대병원의 해당 교수는 오진이 아니었단 말만 반복하며 소송하고 싶으면 하라고 한다며 수천만 원의 병원비로 파탄 위기고 엄마 없이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지 걱정이라며 원인과 잘못을 가리도록 진상규명을 하고 싶다는 내용의 청원을 2월 17일 올렸다.[2] 이에 대해 중앙대병원 측에선 2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본원 의료진은 정확한 검사를 통해 국제보건기구 WHO 분류에 따라 '악성림프종(혈액암)'으로 명확히 진단했으며 이후 표준 진료 지침에 따라 정상적인 진료 및 치료를 시행했다. 치료 기간 내내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승인받은 약제 조합만을 투여했으며 마지막에 사용한 고가 약제 역시 임상 시험약이 아니라 해당 림프종 치료에 승인받은 항암치료제" 라고 주장했다.[3]

출신인물

  • 야구 선수 동봉철

  • 가수 미료 (브라운 아이드 걸스)

각주

  1. 경희대의 경우도 중앙대 이후 교육부에 본.분교 통합 승인을 받았다.
  2. "유명해서 믿었는데…대학병원 오진으로 아내 사망" JTBC. 2021.02.18. 11:28
  3. "오진으로 아내 사망" 청원에…중앙대병원 "혈액암 맞다" 중앙일보. 2021.02.19.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