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 두 판 사이의 차이

76번째 줄: 76번째 줄:


=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
=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
[[수학]]에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ermelo-'''F'''raekel set theory, ZF)과 '''선택 공리를 포함하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 with the axiom of '''c'''hoice, ZFC)은 [[NBG 집합론]]과 함께 가장 보편적인 [[공리적 집합론]]의 일종이다. 표준적인 [[수학기초론]]으로 사용된다.
[[수학]]에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ermelo-'''F'''raekel set theory, ZF)과 '''선택 공리를 포함하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 with the axiom of '''c'''hoice, ZFC)은 [[폰 노이만-베르나이스-괴델 집합론|NBG 집합론]]과 함께 가장 보편적인 [[공리적 집합론]]의 일종이다. 표준적인 [[수학기초론]]으로 사용된다. ZF에서 몇 개의 공리<ref>정칙성 공리, 치환 공리꼴, 선택 공리</ref>를 제외한 것을 '''체르멜로 집합론'''(Zermelo set theory, Z)이라고 한다.
 
이 집합론은 [[게오르그 칸토어|Cantor]]의 [[순진한 집합론]]과 마찬가지로, 집합을 무정의 용어로 한다. 물론 순진한 집합론과는 다르게 집합이 될 수 있는 것에 제한(공리)을 두어 역설을 막는다. 이와 다르게, NBG 집합론에서는
 
== 진술 ==
=== Z ===
* '''확장 공리''' 또는 '''외연 공리'''(axiom of extensionality)
*: 두 집합의 상동을 정의하는 공리. 두 집합의 상동은 그 원소들만으로 결정된다. 확장 공리는 합집합 공리, 멱집합 공리, 치환 공리꼴, 선택 공리와 독립적(증명될 수 없음)임이 알려져 있다.
*: <math>\forall A \forall B[\forall x (x \in A \leftrightarrow x \in B)\Longrightarrow a=b].</math>
 
* '''짝 공리'''(axiom of pairing)
*: 어떤 두 집합을 원소로서 가지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공리이다. 더욱 특정하게, 그 두 집합'''만'''을 원소로 하는 집합이 존재한다고도 한다. 여기에서 [[순서쌍]]의 존재성이 증명될 수 있다.
*: <math>\forall x \forall y \exists A \forall z[z\in A \Longleftrightarrow (z=x \lor z=y)].</math>
 
* '''분류 공리꼴'''(axiom schema of specification, axiom schema of comprehension (restricted))
*: 어떤 집합과 성질이 정의되어 있을 때, '''그 집합의 원소들 중'''(restricted)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것들을 모은 집합이 존재한다. 범위를 주어진 집합보다 작게 제한한 이유는 모임이 너무 커서 생기는 [[러셀의 역설]] 등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집합이 아닌 class를 정의하는 공리계의 경우, 특정한 집합의 원소들만을 모을 필요가 없다. [[NBG]] 참조.
 
* '''합집합 공리'''(axiom of union)
*: 어떤 집합족이 주어지면, 그 합집합이 존재한다.
*: <math>\forall \mathcal F \exists U \forall x[x\in U \Longleftrightarrow \exists A(x\in A \wedge A \in \mathcal F) ]</math>
 
* '''멱집합 공리'''(axiom of power set)
*: 어떤 집합이 주어지면, 그 멱집합이 존재한다.
*: <math>\forall A \exists \mathcal P \forall B[\forall x(x\in B \rightarrow y\in A)\Longleftrightarrow B\in \mathcal P]</math>
 
* '''무한 공리'''(axiom of infinity)
*: 공집합을 포함하며, 어떤 원소의 successor 역시 원소로 가지는 집합이 존재한다. 무한공리는 ZFC의 다른 공리들과 독립적이며, ZF의 다른 공리들을 가정하면 다음 명제들과 동치이다:
*# 무한 집합이 존재한다. (이것이 이 명제의 이름을 결정했을 것이다.)
*# <math>\omega</math>가 집합이다.
*# [[귀납적]]인 집합(inductive set)이 존재한다.
 
=== ZF ===
* '''정칙성 공리'''(
 
 
 
=== C ===

2016년 1월 18일 (월) 18:38 판

결합기하학

결합기하학(incidence geometry)은 결합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석기하학과 달리 점, 선, 그리고 그 결합만을 생각한다.

결합구조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 [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math]\displaystyle{ \mathscr P \cap \mathscr L = \emptyset }[/math]) 와 [math]\displaystyle{ \mathscr I\subseteq \mathscr P \times \mathscr L }[/math]집합일 때, [math]\displaystyle{ \sigma = (\mathscr P, \mathscr L, \mathscr I) }[/math]결합구조(incidence structure), 또는 기하학적 구조(geometric structure)라 한다. 만약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유한이면, [math]\displaystyle{ \sigma }[/math]유한결합구조라 한다. 여기서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들의 집합이고, [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1]들의 집합이다.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교집합이라는 것은, 점과 선을 같은 것으로 보지 않겠다는 말이다.

주어진 점 [math]\displaystyle{ p, q\in\mathscr P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exists L \in \mathscr L \text{ s.t. } (p,L),(q,L)\in \mathscr I }[/math]이면 [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q }[/math]는 jointed라 하고, 만약 위를 만족하는 선 [math]\displaystyle{ L }[/math]이 단 하나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 }[/math][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q }[/math]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한다(선 [math]\displaystyle{ L }[/math][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q }[/math]join이라 하고 [math]\displaystyle{ pq:=L }[/math]로 쓴다.) 비슷하게, 주어진 [math]\displaystyle{ L, M\in \mathscr L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exists p \in \mathscr P \text{ s.t. } (p,L),(p,M)\in \mathscr I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 }[/math][math]\displaystyle{ M }[/math]이 만난다고 하며, 그러한 [math]\displaystyle{ p }[/math]가 유일하면 [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L }[/math][math]\displaystyle{ M }[/math]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한다(점 [math]\displaystyle{ p:=L\cap M }[/math][math]\displaystyle{ L }[/math][math]\displaystyle{ M }[/math]교점이라고 한다.) 또한 [math]\displaystyle{ p(\in\mathscr P)\in L (\in \mathscr L):{\Longleftrightarrow} (p, L) \in \mathscr I }[/math]로 쓰기도 하며, 기하학적 구조를 표기할 때 [math]\displaystyle{ \mathscr I }[/math]를 생략하기도 한다.

이하 대문자는 선으로, 소문자는 점으로 나타낸다.

평면

다음의 공리들을 만족하는 결합구조 [math]\displaystyle{ \pi=(\mathscr P , \mathscr L) }[/math]평면(planes)이라 정의한다:

  • 서로 다른 [math]\displaystyle{ p, q }[/math]에 대하여 두 점을 지나는 선 [math]\displaystyle{ L }[/math]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L }[/math] 위에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점이 존재한다.
형식적인 표현
  • [math]\displaystyle{ \forall p, q \in\mathscr P(p \ne q) \exists ! L \in \mathscr L \text{ s.t. }p, q\in L, }[/math] ([math]\displaystyle{ L=pq }[/math]로 표기한다.)
  • [math]\displaystyle{ \forall L\in\mathscr L \exists p, q\in\mathscr P (p \ne q) \text{ s.t. } p, q \in L. }[/math]

아핀 평면

다음의 공리들을 만족하는 결합구조를 아핀 평면(affine plane)이라 정의한다:

  • [math]\displaystyle{ L }[/math]이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L }[/math] 위에 서로 다른 [math]\displaystyle{ p, q }[/math]가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L }[/math] 위에 있지 않은 [math]\displaystyle{ r }[/math]가 존재한다.
  • 서로 다른 [math]\displaystyle{ p, q }[/math]에 대하여 두 점을 지나는 선 [math]\displaystyle{ L }[/math]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L }[/math] 위에 있지 않은 [math]\displaystyle{ r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r }[/math]을 지나고 [math]\displaystyle{ L }[/math]에 평행한 선 [math]\displaystyle{ M }[/math]이 존재한다.
형식적인 표현
  • [math]\displaystyle{ \exists L \in \mathscr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exists p, q\in \mathscr P (p \ne q) \text{ s.t. }p,q\in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exists r\in\mathscr P \text{ s.t. }r \notin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p,q \in \mathscr P (p\ne q)\exists ! L\in \mathscr L, }[/math] ([math]\displaystyle{ L=pq }[/math]로 표기한다.)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forall p (\notin L) \in \mathscr P \exists ! M \in \mathscr L \text{ s.t. } p \in M \wedge L \parallel M. }[/math] ([math]\displaystyle{ L \parallel M }[/math][math]\displaystyle{ \not \exists L \cap M }[/math]를 뜻한다.)

물론, 모든 아핀 평면은 평면이다.

실-아핀 평면

다음의 공리들을 만족하는 결합구조 [math]\displaystyle{ \alpha_\mathbb R }[/math]실-아핀 평면이라 한다:

  • [math]\displaystyle{ \mathscr P \subseteq \mathbb R^2, }[/math]
  • [math]\displaystyle{ L(\in \mathscr L) = \{(x,y)|ax+by+c=0 \wedge a, b, c\in\mathbb R \wedge \neg(a=0\wedge b=0) \}, }[/math]
  • [math]\displaystyle{ (x_0 , y_0) \in \{ (x,y)|ax+by+c = 0\} \Longleftrightarrow ax_0 + by_0 + c = 0. }[/math]

물론, 모든 실-아핀 평면은 아핀 평면이다. 정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아핀 평면은 좌표평면, 즉 표준적인 기저가 주어진 2 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과 그 위의 점으로 만들어지는 결합구조이다.

사영 평면

브룬 정리

브룬 정리(Brun's theorem), 또는 브룬 추측(Brun's conjecture)은 쌍둥이 소수의 역수의 합들을 모두 더한 것이 수렴한다는 정리이다. 이 수렴값은 브룬 상수(Brun's constant)로 불리우며 보통 [math]\displaystyle{ B_2 }[/math]로 표기한다.

진술

[math]\displaystyle{ p_1, p_2, \cdots }[/math]를 쌍둥이 소수 중 작은 수라 하자. 즉 [math]\displaystyle{ p_i\in\mathbb P \wedge (p_i+2)\in\mathbb P }[/math]를 만족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급수가 수렴한다:

[math]\displaystyle{ \sum_{i=1}^\infty \left(\frac{1}{p_i} + \frac{1}{p_i + 2}\right) = \left(\frac{1}{3} + \frac{1}{5}\right) + \left(\frac{1}{5} + \frac{1}{7}\right) +\left(\frac{1}{11} + \frac{1}{13}\right) +\cdots \lt \infty }[/math]

증명

이하 쌍둥이 소수 세기 함수를 [math]\displaystyle{ \pi_2 (x) = \# (p: \, p\le x \wedge p \in \mathbb P \wedge (p+2) \in\mathbb P) }[/math]로 정의한다.

Lemma. [math]\displaystyle{ \pi_2 (x) = O\left(\frac{x (\log \log x)^2}{(\log x)^2}\right) }[/math]
증명들

이 Lemma를 이용하면, 쉽게 Brun의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pi_2 (x) = O\left(\frac{x (\log \log x)^2}{(\log x)^2}\right) \lt \frac{x}{(\log x)^{3/2}} }[/math] for all [math]\displaystyle{ x\ge 2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n = \pi_2(p_n) \lt \frac{p_n}{(\log p_n)^{3/2}} \le \frac{p_n}{(\log n)^{3/2}} }[/math] for [math]\displaystyle{ n\ge 2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frac 1 {p_n} \lt \frac 1 {n(\log n)^{3/2}} }[/math] for [math]\displaystyle{ n\ge 2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ge 1}\left(\frac{1}{p_n}+\frac{1}{p_n + 2}\right) \lt \frac{16}{15} + 2\sum_{n\ge 2}\frac{1}{p_n} \lt \frac{16}{15} + 2 \sum_{n\ge 2} \frac 1 {n(\log n)^{3/2}}\lt \infty }[/math]

으로 증명이 완료된다.

브룬 상수의 값

Brun 상수의 정확한 값은 알려진 바가 없다. 2002 년에 Pascal Sebah와 Patrick Demichel이 1016 정도까지의 소수의 역수의 합을 구하여 외삽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Brun 상수의 값은 약 1.902160583104이다. Dominic Klyve은 확장된 리만 가설을 이용하여 [math]\displaystyle{ B_2 \lt 2.1754 }[/math]임을 증명하였다.


쌍둥이 소수 추측과의 관계

비록 Brun의 정리가 놀라운 결과이기는 하지만, 안타깝게도 쌍둥이 추측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물론 쌍둥이 소수의 빈도가 갈수록 작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이것이 쌍둥이 소수 추측을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수해라 일학자!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수학에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ermelo-Fraekel set theory, ZF)과 선택 공리를 포함하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 with the axiom of choice, ZFC)은 NBG 집합론과 함께 가장 보편적인 공리적 집합론의 일종이다. 표준적인 수학기초론으로 사용된다. ZF에서 몇 개의 공리[2]를 제외한 것을 체르멜로 집합론(Zermelo set theory, Z)이라고 한다.

이 집합론은 Cantor순진한 집합론과 마찬가지로, 집합을 무정의 용어로 한다. 물론 순진한 집합론과는 다르게 집합이 될 수 있는 것에 제한(공리)을 두어 역설을 막는다. 이와 다르게, NBG 집합론에서는

진술

Z

  • 확장 공리 또는 외연 공리(axiom of extensionality)
    두 집합의 상동을 정의하는 공리. 두 집합의 상동은 그 원소들만으로 결정된다. 확장 공리는 합집합 공리, 멱집합 공리, 치환 공리꼴, 선택 공리와 독립적(증명될 수 없음)임이 알려져 있다.
    [math]\displaystyle{ \forall A \forall B[\forall x (x \in A \leftrightarrow x \in B)\Longrightarrow a=b]. }[/math]
  • 짝 공리(axiom of pairing)
    어떤 두 집합을 원소로서 가지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공리이다. 더욱 특정하게, 그 두 집합을 원소로 하는 집합이 존재한다고도 한다. 여기에서 순서쌍의 존재성이 증명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forall x \forall y \exists A \forall z[z\in A \Longleftrightarrow (z=x \lor z=y)]. }[/math]
  • 분류 공리꼴(axiom schema of specification, axiom schema of comprehension (restricted))
    어떤 집합과 성질이 정의되어 있을 때, 그 집합의 원소들 중(restricted)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것들을 모은 집합이 존재한다. 범위를 주어진 집합보다 작게 제한한 이유는 모임이 너무 커서 생기는 러셀의 역설 등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집합이 아닌 class를 정의하는 공리계의 경우, 특정한 집합의 원소들만을 모을 필요가 없다. NBG 참조.
  • 합집합 공리(axiom of union)
    어떤 집합족이 주어지면, 그 합집합이 존재한다.
    [math]\displaystyle{ \forall \mathcal F \exists U \forall x[x\in U \Longleftrightarrow \exists A(x\in A \wedge A \in \mathcal F) ] }[/math]
  • 멱집합 공리(axiom of power set)
    어떤 집합이 주어지면, 그 멱집합이 존재한다.
    [math]\displaystyle{ \forall A \exists \mathcal P \forall B[\forall x(x\in B \rightarrow y\in A)\Longleftrightarrow B\in \mathcal P] }[/math]
  • 무한 공리(axiom of infinity)
    공집합을 포함하며, 어떤 원소의 successor 역시 원소로 가지는 집합이 존재한다. 무한공리는 ZFC의 다른 공리들과 독립적이며, ZF의 다른 공리들을 가정하면 다음 명제들과 동치이다:
    1. 무한 집합이 존재한다. (이것이 이 명제의 이름을 결정했을 것이다.)
    2. [math]\displaystyle{ \omega }[/math]가 집합이다.
    3. 귀납적인 집합(inductive set)이 존재한다.

ZF

  • 정칙성 공리(


C

  1. 흔히 생각하는 직선일 필요는 없다. 아래의 아핀 평면#예시 참조.
  2. 정칙성 공리, 치환 공리꼴, 선택 공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