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곡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제천관리역을(를) 추가함)
42번째 줄: 42번째 줄:
|후역폭=13em|후방면=[[경주역|경주]] 방면|후역=[[금교역|금교]]|후거리= 4.0 km}}
|후역폭=13em|후방면=[[경주역|경주]] 방면|후역=[[금교역|금교]]|후거리= 4.0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승하차량==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450px"
|-
| colspan="5"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삼랑진역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승차량
!rowspan="2" |하차량
! colspan="2" |승하차합
|-
! 총
! 월평균
|-
|'''2017'''
|25,031
|25,133
|'''50,164'''
|4,180
|-
|'''2016'''
| 28,576
| 28,972
|'''57,548'''
|
|-
|'''2015'''
|13,263
|13,892
|'''27,155'''
|
|-
|'''2014'''
|1,338
|1,793
|'''3,131'''
|
|-
|}
*[[원주혁신도시]]에 인접해 있는 역으로서, 혁신도시의 성장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폭팔적으로 성정하고 있다. RH시간대에만 부분적으로 정차하는 역임에도 그렇다.
*중앙선 서원주~봉양 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 이 역은 폐쇄된다. 이후 혁신도시 방면 수요는 [[남원주역]]이 분담하게 된다. 현 반곡역에 비해선 다소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접근성이 크게 나빠지는 것도 아니며, 늘어날 배차간격을 감안할 때 일정부분을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석}}
{{주석}}

2018년 6월 3일 (일) 15:51 판



틀:문화재

개요

강원도 원주시 반곡동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등록문화재 제165호로 지정된 역이기도 하다. 역 건물은 2007년 여객취급 중지 이후 2009년 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지역주민들에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벽체는 비닐판벽의 외장이었다가 후에 흙벽에 시멘트 마감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붕은 시멘트기와로 이어져 있다.

정차열차

본래 2007년에 여객취급이 중단되었으나 원주 남쪽의 혁신도시에 다시 사람들이 꾸역꾸역 유입되면서 인구가 늘게 되자 2014년 8월 18일부로 여객영업이 재게되었다. 정차패턴이 특이한 것이 아침시간대에는 제천 방향으로 2회 정차를, 저녁 시간대에는 청량리 방향으로만 2회 정차를 하는 통근수요 위주의 정차를 하고 있다.[1] 사실 혁신도시 덕분에 반곡동 일대가 완전히 갈아엎어져서 이용객이 한명도 없어서 여객취급을 중단했다가 다시 이 혁신도시 때문에 여객취급을 재개하게 되었으니 그야말로 새옹지마라고 해야 할 지경.

기타사항

  • MBC 베스트 극장 중 "곰스크로 가는 기차"라는 에피소드에서 "몬트하임역"으로 이 역이 등장하였었다.
  • 2017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이 역은 영업을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있고, 미술관까지 차려놓은 상황이라 함백역처럼 허물지는 않을 듯 싶다. 아마 같은 중앙선의 구둔역과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다.
  • 이 역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격전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유는 단순히 역의 양식이 특이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역사성까지 함께 고려가 된 듯.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13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2 중앙선
(107.2 km)
청량리 방면
유교 3.4 km
반곡 경주 방면
금교 4.0 km

승하차량

삼랑진역
연도 승차량 하차량 승하차합
월평균
2017 25,031 25,133 50,164 4,180
2016 28,576 28,972 57,548
2015 13,263 13,892 27,155
2014 1,338 1,793 3,131
  • 원주혁신도시에 인접해 있는 역으로서, 혁신도시의 성장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폭팔적으로 성정하고 있다. RH시간대에만 부분적으로 정차하는 역임에도 그렇다.
  • 중앙선 서원주~봉양 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 이 역은 폐쇄된다. 이후 혁신도시 방면 수요는 남원주역이 분담하게 된다. 현 반곡역에 비해선 다소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접근성이 크게 나빠지는 것도 아니며, 늘어날 배차간격을 감안할 때 일정부분을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각주

  1. 혁신도시에 한국광물자원공사한국관광공사를 비롯한 공기업과 공단이 들어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