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

개요 및 특성[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 한국에서 시작된 신학 해석의 한 갈래. 복음의 민중적 성격을 들어 ‘민중’이라는 용어를 처음 신학해석의 핵심틀로 사용하고, 영적 구원보다는 정치적 구원(민중의 구원)이 신학의 주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독교의 민중사(출애굽기마가복음의 예수운동)와 기존 한국민중사를 신학에 합류시킨 사조이다.

기존신학과 민중신학을 구분지을 수 있는 문장은 "예수민중이다." 가 아닌 "민중예수다."라 할 수 있다.

발생[편집 | 원본 편집]

특이하게도 민중신학은 한국에서 시작된 신학사조이다. 공식적인 용어의 사용은 1979년 한국에서 열린 CCA 신학협의회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그 후 라틴 아메리카의 상황신학인 해방신학과 마찬가지로 한국적 상황신학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민중신학의 시작은 박정희 정권의 개발독재가 시작된 1960년대에 태동했다고 보아야 한다.다만 이렇게 따지면 함석헌씨알에서부터 태동되었다고 봐야할지도 모른다. 당시에는 구체적으로 역사와 구원의 주체인 "민중"이 고려된 것은 아니었지만 개발독재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된 민중의 고난 현실과 그들의 저항에 접한 신학적, 신앙적 반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던 까닭이다. 뒤이어서 1970년 전태일 분신사건의 충격과 연이어 시작된 유신체제는 구체적으로 민중신학이 발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금 정확히는 1975년에 발표된 안병무의 글 민족·민중·교회를 본격적인 민중신학의 태동으로 보기도 한다.

의의와 한계[편집 | 원본 편집]

보수적인 개신교 교회가 민중에 무관심한 부분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으며,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에 맞는 상황신학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국 주류신학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고, 초대교회의 공동체 정신과 예수의 행적과 가르침에 대한 실천적인 것을 중시하기 때문에 단순히 예수천당 불신지옥을 외치는 것 보다 훨씬 더 실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비판점 역시 존재하는데 우선 보수 신학적인 측면에서 "예수와 초대교회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는 정치적 프로그램(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라고 할 수 있다. 까딱하면 성서로부터 뚜렷하게 벗어나는 방식으로 복음을 정치화 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비판 포인트는 민중신학에서는 대체로 사회주의(혹은 공산주의)로 쏠린 해결 방안이 나오는데 이쯤되면 이게 종교인지 정치운동인지 헷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 1세대 민중신학에선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2세대 민중신학은 기독교 세계관을 차용한 유물론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근데 초기 기독교의 모습에 신이라는 개념만 빼버리면 딱 나오는 사회주의 사회인지라(...) 또한 출애굽 사건과 이어지는 가나안 정복전쟁을 이집트를 탈출한 하비루(3D 업종에 종사하는 떠돌이 이주노동자)들과 가나안 땅에서 착취당하던 소작농들이 연대하여 지배계급을 박살내고 생산 수단을 차지한 계급투쟁으로 보는 견해도 존재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다만 민중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어느 순간 민중과 신의 위치가 뒤바뀌어서 종교혼합주의나 종교 다원주의같은 모습이 나오는데 이러면 자신의 종교에 대한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조금 비약해서 말하면 너무 나갈 경우 기독교 타이틀을 떼야 할 수도 있다) 또한 민중에 대한 강조가 지나쳐서 민중은 무조건 옳다는 잘못된 개념에 빠질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의 죄의 문제와 맞딱뜨릴 때 실제 현장과의 괴리감을 느낄 수도 있다. 서남동목사의 경우 한국민중의 삶이 실제적 텍스트이고 성서를 컨텍스트로 이해해야한다는 취지의 말을 하기도 했는데, 이는 보수 기독교계에선 기겁을 할 일이다.

사실 가장 결정적인 한계는... 대한민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신학사조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본고장에서는 철저하게 비주류 신학이라는 것이다. 애초에 뭐... 영향력이 있어야 뭘 하던지 말던지 하지... 이는 한국의 주류 개신교 신학 및 교회 지도자들이 해방 직후 미군정 및 권력층과 결탁하면서 이들의 행태가 권력층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보니 나타나는 상황이고 교회가 권력과 유착하면서 이러한 구도를 깨지 못한 것에 그 원인이 있다 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