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한것」(을)를 「한 것」(으)로)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무신론'''(無神論)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을 말한다. 유신론의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으며, 유신론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는 것처럼 무신론에도 다양한 입장이 있다.
'''무신론'''(無神論)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을 말한다. 유신론의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으며, 유신론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는 것처럼 무신론에도 다양한 입장이 있다.


기본적으로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회의 혹은 부정이라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의 무신론 활동 중에는 이보다 더 나아가서 모든 권위주의적인 도그마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모든 무신론 활동이 초자연적이라고 보이지 않은 부류까지 신이나 도그마로 취급한다고 볼 수는 없다.
기본적으로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회의 혹은 부정이라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의 무신론 활동 중에는 이보다 더 나아가서 모든 권위주의적인 도그마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모든 무신론 활동이 초자연적이라고 보이지 않은 부류까지 신이나 도그마로 취급한다고 볼 수는 없다.


== 무신론과 종교 ==
== 무신론과 종교 ==
8번째 줄: 8번째 줄:
대표적인 예가 [[유교]]로, 유교는 아예 그 시조인 [[공자]]가 "[[괴력난신]]을 논하지 않는다."라고 박아버림으로써 절대자니 [[내세]]니 하는 서양 종교에서 자주 다루는 떡밥 자체를 봉쇄하였다. 유교 자체가 유신론 무신론을 딱히 따지지 않는 불가지론이기 때문에 그 자체와의 마찰은 그다지 얺는 편이다.
대표적인 예가 [[유교]]로, 유교는 아예 그 시조인 [[공자]]가 "[[괴력난신]]을 논하지 않는다."라고 박아버림으로써 절대자니 [[내세]]니 하는 서양 종교에서 자주 다루는 떡밥 자체를 봉쇄하였다. 유교 자체가 유신론 무신론을 딱히 따지지 않는 불가지론이기 때문에 그 자체와의 마찰은 그다지 얺는 편이다.


[[불교]]는 [[부처]]나 [[관세음보살]] 등 초월적 존재를 상정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따르는 스승 같은 이미지로 기독교의 신과 같은 위치는 전혀 아니다.  
[[불교]]는 [[부처]]나 [[관세음보살]] 등 초월적 존재를 상정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따르는 스승 같은 이미지로 기독교의 신과 같은 위치는 전혀 아니다.


[[도교]]는 무위자연이 진리를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종교이니 역시 기독교에서와 같은 신 관념과는 관계가 없다.
[[도교]]는 무위자연이 진리를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종교이니 역시 기독교에서와 같은 신 관념과는 관계가 없다.


한국 [[무속 신앙]]에서도 거기서 나오는 신은 [[협상]]의 대상이자 심지어 [[협박]]의 대상이 되기까지 하니, 기독교의 신 관념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한국 [[무속 신앙]]에서도 거기서 나오는 신은 [[협상]]의 대상이자 심지어 [[협박]]의 대상이 되기까지 하니, 기독교의 신 관념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다만 신의 정의를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신이라는 것은 아브라함계 종교의 유일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힌두교]]나 [[신토]]의 수많은 잡신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신의 정의를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신이라는 것은 아브라함계 종교의 유일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힌두교]]나 [[신토]]의 수많은 잡신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20번째 줄: 19번째 줄:


== 무신론=반기독교? ==
== 무신론=반기독교? ==
언뜻 볼 때 무신론과 반기독교 세력은 같아 보이지만, 교집합이 있을 뿐이지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다. 쉽게 말해서, 기독교 신자가 되기 위해선 기독교의 신만을 믿으면 되지, 다른 신들의 실존을 믿을 의무가 없는 것처럼. 반 기독교는 다른 종교의 신들은 믿어도 상관없다 무신론자들이 기독교를 유달리 극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무신론이 체계적으로 등장한 서양에서는 사실상 [[기독교]] 지배 아래 있었고 다른 종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이유가 크며 <ref>우리나라의 무교에 해당하는 세력들이 서양에서는 기독교세력에 의해 철저하게  '밟혔기' 때문이다.</ref> [[대한민국]]의 경우는 서양의 영향과 기독교, 특히  [[개신교]] 내부의 [[창조과학|장대한]] [[개신교발 루머|뻘짓들]] [[신사도 운동|탓]]이 [[일기 방패|크다]].
언뜻 볼 때 무신론과 반기독교 세력은 같아 보이지만, 교집합이 있을 뿐이지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다. 쉽게 말해서, 기독교 신자가 되기 위해선 기독교의 신만을 믿으면 되지, 다른 신들의 실존을 믿을 의무가 없는 것처럼, 반기독교 딱지를 달기 위해 모든 신앙을 부정할 의무는 없다. 무신론자들이 기독교를 유달리 극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무신론이 체계적으로 등장한 서양에서는 사실상 [[기독교]] 지배 아래 있었고 다른 종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이유가 크며 <ref>우리나라의 무교에 해당하는 세력들이 서양에서는 기독교세력에 의해 철저하게  '밟혔기' 때문이다.</ref> [[대한민국]]의 경우는 서양의 영향과 기독교, 특히  [[개신교]] 내부의 [[창조과학|장대한]] [[개신교발 루머|뻘짓들]] [[신사도 운동|탓]]이 [[일기 방패|크다]].


== 무신론=과학? ==
== 무신론=과학? ==
과학자들이 과학 법칙을 탐구할 때 [[신|전능한 어떤 존재]]를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은 맞다. 그러나 유신론이 비과학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신]],[[러셀의 찻주전자|날아다니는 찻잔]]등의 부재 역시 증명이 [[악마의 증명 |불가능하므로]] 무신론 자체는 과학이 아니다. 신이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이유로 반증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 있어서 과학은 [[방법론적 자연주의|소극적이나마]] 무신론적인 성향을 지니게 된다.  
과학자들이 과학 법칙을 탐구할 때 [[신|전능한 어떤 존재]]를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은 맞다. 그러나 유신론이 비과학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신]],[[러셀의 찻주전자|날아다니는 찻잔]]등의 부재 역시 증명이 [[악마의 증명 |불가능하므로]] 무신론 자체는 과학이 아니다. 신이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이유로 반증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 있어서 과학은 [[방법론적 자연주의|소극적이나마]] 무신론적인 성향을 지니게 된다.
 
== 같이 보기 ==
불가지론(不可知論)도 있다. 신이 있는지 없는지 우리는 모른다라고 주장한다. 그 예로는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있다.


{{각주}}
{{각주}}
[[분류:무신론| ]]
[[분류:무신론| ]]

2021년 6월 15일 (화) 18:38 기준 최신판

무신론(無神論)은 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을 말한다. 유신론의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으며, 유신론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는 것처럼 무신론에도 다양한 입장이 있다.

기본적으로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회의 혹은 부정이라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의 무신론 활동 중에는 이보다 더 나아가서 모든 권위주의적인 도그마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모든 무신론 활동이 초자연적이라고 보이지 않은 부류까지 신이나 도그마로 취급한다고 볼 수는 없다.

무신론과 종교[편집 | 원본 편집]

굉장히 널리 퍼진 아브라함계 종교는 무신론과 병존하기가 어려운 편이나, 신이라는 존재를 두지 않는 종교나 불가지론 입장의 종교인 경우에는 최소한 겉보기로는 무신론과 큰 마찰 없이 양립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유교로, 유교는 아예 그 시조인 공자가 "괴력난신을 논하지 않는다."라고 박아버림으로써 절대자니 내세니 하는 서양 종교에서 자주 다루는 떡밥 자체를 봉쇄하였다. 유교 자체가 유신론 무신론을 딱히 따지지 않는 불가지론이기 때문에 그 자체와의 마찰은 그다지 얺는 편이다.

불교부처관세음보살 등 초월적 존재를 상정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따르는 스승 같은 이미지로 기독교의 신과 같은 위치는 전혀 아니다.

도교는 무위자연이 진리를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종교이니 역시 기독교에서와 같은 신 관념과는 관계가 없다.

한국 무속 신앙에서도 거기서 나오는 신은 협상의 대상이자 심지어 협박의 대상이 되기까지 하니, 기독교의 신 관념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다만 신의 정의를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신이라는 것은 아브라함계 종교의 유일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힌두교신토의 수많은 잡신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교의 경우 기원이 어떻든 어떤 분파가 어떤 주장을 했든, 원시천존이나 옥황상제같은 실존여부를 검증할 수 없는 존재가 있다고 상정하는 시점에서 이미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무속신앙의 온갖 잡다한 신들이 협상이나 협박의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것들 역시 신의 일종이라 그런 것이 존재한다고 전제하는 시점에서 아웃이다. 불교 역시 단순히 초월적 존재이자 깨달은 인간인 부처보살이 실존한다는 근거가 없으며,[1] 더더욱 기복신앙화되어 인간에게 복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믿어지는 상황이니 무신론과 거리가 멀다.

무신론=반기독교?[편집 | 원본 편집]

언뜻 볼 때 무신론과 반기독교 세력은 같아 보이지만, 교집합이 있을 뿐이지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다. 쉽게 말해서, 기독교 신자가 되기 위해선 기독교의 신만을 믿으면 되지, 다른 신들의 실존을 믿을 의무가 없는 것처럼, 반기독교 딱지를 달기 위해 모든 신앙을 부정할 의무는 없다. 무신론자들이 기독교를 유달리 극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무신론이 체계적으로 등장한 서양에서는 사실상 기독교 지배 아래 있었고 다른 종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이유가 크며 [2] 대한민국의 경우는 서양의 영향과 기독교, 특히 개신교 내부의 장대한 뻘짓들 크다.

무신론=과학?[편집 | 원본 편집]

과학자들이 과학 법칙을 탐구할 때 전능한 어떤 존재를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은 맞다. 그러나 유신론이 비과학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날아다니는 찻잔등의 부재 역시 증명이 불가능하므로 무신론 자체는 과학이 아니다. 신이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이유로 반증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 있어서 과학은 소극적이나마 무신론적인 성향을 지니게 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불가지론(不可知論)도 있다. 신이 있는지 없는지 우리는 모른다라고 주장한다. 그 예로는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있다.

각주

  1. 석가모니 이외의 여러 부처들의 경우를 말한다. 석가모니는 실존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2. 우리나라의 무교에 해당하는 세력들이 서양에서는 기독교세력에 의해 철저하게 '밟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