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루르 S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31번째 줄:
|-
|-
|}
|}
== 개요 ==
== 개요 ==
[[독일]]의 주요 경제권인 [[라인-루르]] 지방과 [[쾰른]]·[[본]]에서 운행하는 [[S반]] 시스템이다. 엄밀한 정의로 라인-루르 S반은 다른 교통조합에 속한 쾰른·본 지역을 포함하지 않으며, 쾰른 지역은 라인-지크 S반<ref>구 서독 수도 본에 S반 노선 S 23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쾰른 S반이었다.</ref>으로 별도의 체계로 취급한다. 그러나 노선 번호를 통합하여 안내하고 라인-루르 S반과 직통운전하며 연락 운송도 가능하기에, 일반적으로는 [[수도권 전철|하나의 시스템으로 본다]]. 보통 차량의 마킹이 Rhein-Ruhr/VRR이면 뒤셀도르프·에센에 배속된 차량이고, Köln이면 쾰른에 배속된 차량이다.  
[[독일]]의 주요 경제권인 [[라인-루르]] 지방과 [[쾰른]]·[[본]]에서 운행하는 [[S반]] 시스템이다. 엄밀한 정의로 라인-루르 S반은 다른 교통조합에 속한 쾰른·본 지역을 포함하지 않으며, 쾰른 지역은 라인-지크 S반<ref>구 서독 수도 본에 S반 노선 S 23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쾰른 S반이었다.</ref>으로 별도의 체계로 취급한다. 그러나 노선 번호를 통합하여 안내하고 라인-루르 S반과 직통운전하며 연락 운송도 가능하기에, 일반적으로는 [[수도권 전철|하나의 시스템으로 본다]]. 보통 차량의 마킹이 Rhein-Ruhr/VRR이면 뒤셀도르프·에센에 배속된 차량이고, Köln이면 쾰른에 배속된 차량이다.  


라인-루르 S반은 이전까지의 S반, 혹은 비슷한 시기 개통한 S반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라인-루르 지역은 본디 아주 큰 대도시는 없지만 공장 지대를 바탕으로 한 적당적당한 규모의 도시권역이 발달했고, 화물 운송을 위해 철도가 많이 깔리다보니, 기존 S반들처럼 확고한 중심도시 방향의 운송이 아니라,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에센]] 등 라인-루르 지대의 중심 도시들을 적당히 이으며 주변 소도시들을 거쳐가는 노선망으로 발달되게 되었다. 물론, 대도시인 뒤셀도르프나 에센 인근에서는 사실상의 [[도시철도]] 기능도 수행하지만, 대부분은 독일철도가 기존에 운행하는 지역 열차(RegionalBahn)들의 대체 성격이 강하다. 다만 S반이 정착된 현재는 지역 보통열차(RegionalBahn)의 정차역을 줄여나가 RB가 사실상의 급행 역할을 맡고 있다<ref>속달적 성격의 열차는 지역 급행열차(RegionalExpress)로, RB보다도 정차역이 더 적다.</ref>.
라인-루르 S반은 이전까지의 S반, 혹은 비슷한 시기 개통한 S반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라인-루르 지역은 본디 아주 큰 대도시는 없지만 공장 지대를 바탕으로 한 적당적당한 규모의 도시권역이 발달했고, 화물 운송을 위해 철도가 많이 깔리다보니, 기존 S반들처럼 확고한 중심도시 방향의 운송이 아니라,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에센]] 등 라인-루르 지대의 중심 도시들을 적당히 이으며 주변 소도시들을 거쳐가는 노선망으로 발달되게 되었다. 물론, 대도시인 뒤셀도르프나 에센 인근에서는 사실상의 [[도시철도]] 기능도 수행하지만, 대부분은 독일철도가 기존에 운행하는 지역 열차(RegionalBahn)들의 대체 성격이 강하다. 다만 S반이 정착된 현재는 지역 보통열차(RegionalBahn)의 정차역을 줄여나가 RB가 사실상의 급행 역할을 맡고 있다<ref>속달적 성격의 열차는 지역 급행열차(RegionalExpress)로, RB보다도 정차역이 더 적다.</ref>.
민영화 계획이 있으며, 2019년부터 [[오픈 억세스]] 정책을 통해 대부분의 계통이 민간 회사에 의해 운영될 예정이다.


== 차량 ==
== 차량 ==
52번째 줄: 55번째 줄:
* [[독일철도 BR 111]] + x-객차 (x-Wagen)
* [[독일철도 BR 111]] + x-객차 (x-Wagen)


==노선==
== 계통 ==
배차 간격은 20분 또는 30분이다.  
라인-루르 지역의 S반은 공식적으로 색상이 배정되어 있지 않다.<!-- 색상 추가 후: 여기서는 구분을 위해 편의적으로 색상을 입혀두었다. --> 반면 라인-지크 지역의 S반에는 색상이 지정되어 있으며, 라인-지크 지역에 들어오는 S 6도 라인-지크 지역의 S 반 색상이 배정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63번째 줄: 66번째 줄:
! 영업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시각표 번호
! 시각표 번호
! 배차 간격
! 비고
! 비고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1}};"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1}};" --> |  
| [[라인-루르 S1|S 1]]
| [[라인-루르 S1|S1]]
| [[도르트무트 중앙역]]
|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졸링엔 중앙역|졸링엔]]
| [[졸링엔 중앙역|졸링엔]]
| 97  
| 97.2
| 450.1
| 450.1
| 20분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2}};" --> |  
| rowspan="3"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2}};" --> |
| [[라인-루르 S2|S 2]]
| rowspan="3" | [[라인-루르 S2|S2]]
| [[도르트무트 중앙역]]
| rowspan="3" | [[도르트문트 중앙역]]
| [[헤르네 역|헤르네]] – [[뒤스부르크 중앙역|뒤스부르크]]/[[에센 중앙역|에센]]/[[레클링하우젠 중앙역|레클링하우젠]]
| [[레클링하우젠 중앙역|레클링하우젠]]
| (58/42/33)
| 33.2
| 450.2
| rowspan="3" | 450.2
|
| rowspan="3" | 20분<br />(각 1시간)
| rowspan="3" |
|-
| [[에센 중앙역|에센]]
| 52.6
|-
| [[뒤스부르크 중앙역|뒤스부르크]]
| 68.5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3}};"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3}};" --> |  
| [[라인-루르 S3|S 3]]
| [[라인-루르 S3|S3]]
| 오버하우젠
| [[오버하우젠 중앙역|오버하우젠]]
| [[하팅엔 중심 역|하팅엔 미테]]
| [[하팅엔 중심역|하팅엔]]
| 33 
| 31.9
| 450.3  
| 450.3  
| 20분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4}};"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4}};" --> |  
| [[라인-루르 S4|S 4]]
| [[라인-루르 S4|S4]]
| [[도르트문트 뤼트겐도르트문트 역|뤼트겐도르트문트]]
| [[도르트문트-뤼트겐도르트문트 역|도르트문트-뤼트겐도르트문트]]
| [[우나 역|우나]]
| [[우나 역|우나]]
| 30  
| 30.3
| 450.4
| 450.4
| 30분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5}};"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5}};" --> |  
| [[라인-루르 S5|S 5]]
| [[라인-루르 S5|S5]]
| [[도르트문트 중앙역]]
|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하겐 |하겐]]
| [[하겐 중앙역|하겐]]
| 31
| 31.3
| 450.5
| 450.5
| 30분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6}};"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6}};" |  
| [[라인-루르 S6|S 6]]
| [[라인-루르 S6|S 6]]
| [[에센 중앙역]]
| [[에센 중앙역]]
| [[쾰른 니페스 역|쾰른 니페스]]
| [[쾰른-니페스 역|쾰른-니페스]]
| 78
| 75.2
| 450.6
| 450.6
| 20분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7}};" --> |
| [[라인-루르 S7|S7]]
| [[졸링엔 중앙역|졸링엔]]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 41.0
| 450.7
| 20분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8}};" --> |
| [[라인-루르 S8|S8]]
| [[하겐 중앙역|하겐]]
| [[묀헨글라트바흐 중앙역|묀헨글라트바흐]]
| 81.7
| 450.8
| 20분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9}};" --> |
| [[라인-루르 S9|S9]]
| [[할테른암제 역|할테른암제]]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 89.4
| 450.9
| 20분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11}};" |
| [[라인-지크 S11|S11]]
| [[뒤셀부르크 공항터미널역|뒤셀부르크 <small>공항터미널</small>]]
| [[베르기슈글라트바흐 역|베르기슈글라트바흐]]
| 71.2
| 450.11
| 20분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12}};" |
| [[라인-지크 S12|S12]]
| [[호렘 역|호렘]]
| [[아우 (지크) 역|아우]]
| 84.6
| 450.12
| 20분<br />(1시간<ref>헤네프 (지크)–아우 (지크) 간</ref>)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23}};"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13}};" |  
| [[라인-루르 S23|S 23]]
| [[라인-지크 S13|S13]]
| 오이스키르헨
| [[뒤렌 역|뒤렌]]<ref>1일 1회 [[아헨 중앙역]]까지 연장 운행</ref>
| [[본 중앙역]]
| [[트로이스도르프 역|트로이스도르프]]
| 47
| 66.4
| 475
| 450.13
| 20–40분<ref>S19와 합산 20분 간격</ref>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RB|25}};"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19}};" |
| [[라인-루르 RB25|RB 25]]
| [[라인-지크 S13|S19]]
| [[쾰른 한자링 역|쾰른 한자링]]
| [[뒤렌 역|뒤렌]]
| 마이네츠하겐
| [[헤르헨 역|헤르헨]]
| 76
| 96.5
| 450.13
| 1시간<ref>S13와 합산 20분 간격</ref>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S|23}};" |
| [[라인-지크 S23|S23]]
| [[오이스키르헨 역|오이스키르헨]]
| [[본 중앙역|본]]
| 34.2
| rowspan="2" | 475
| 30분<ref>오이스키르헨에서 RB23과 1시간마다 접속</ref>
| rowspan="2" |
|-
| RB23
| [[바트뮌스터아이펠 역|바트뮌스터아이펠]]
| [[오이스키르헨 역|오이스키르헨]]
| 13.8
| 1시간<ref>오이스키르헨에서 S23과 1시간마다 접속</ref>
|-
| style="background-color: #c693c2;"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K|RB|25}};" --> |  
| RB25
| [[쾰른 한자링 역|쾰른 {{-1|한자링}}]]
| [[마이네어츠하겐 역|마이네어츠하겐]]
| 75.5
| 459
| 459
| 30분<ref>오버라트–마이네어츠하겐 간 1시간 간격</ref>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28}};"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28}};" --> |  
| [[라인-루르 S28|S 28]]
| [[라인-루르 S28|S28]]
| [[메트만 슈타트발트 역|메트만 슈타트발트]]
| [[메트만 슈타트발트 역|메트만 <small>슈타트발트</small>]]
| [[카르스터 제 역|카르스터 제]]
| [[카르스터 제 역|카르스터 <small></small>]]
| 34
| 33.5
| 450.28
| 450.28
| 20분
|  
|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NRW|S|68}};" --> |  
| <!-- style="background-color: {{독일 철도 노선색|RR|S|68}};" --> |  
| [[라인-루르 S68|S 68]]
| [[라인-루르 S68|S68]]
| [[부퍼탈 보빙켈 역|부퍼탈 보빙켈]]
| [[부퍼탈-보빙켈 역|부퍼탈-보빙켈]]
| [[랑엔펠트 역|랑엔펠트]]
| [[랑엔펠트 (라인란트) 역|랑엔펠트]]
| 39
| 38.3
| 450.68
| 450.68
| 첨두시
|  
|  
|}
|}

2017년 4월 2일 (일) 19:57 판

라인-루르 S반
S-Bahn Rhein-Ruhr
운행 국가 독일 독일
운행 지역 라인-루르 광역권
개통일 1967년 9월 28일
운임 방식 이동구간 거리비례제 (라인-루르 교통조합, 라인-지크 교통조합)
운행 회사 DB Regio NRW 외 다수
운행 계통 17개 계통
총 연장 676 km
역 수 124
이용객 (20년)

개요

독일의 주요 경제권인 라인-루르 지방과 쾰른·에서 운행하는 S반 시스템이다. 엄밀한 정의로 라인-루르 S반은 다른 교통조합에 속한 쾰른·본 지역을 포함하지 않으며, 쾰른 지역은 라인-지크 S반[1]으로 별도의 체계로 취급한다. 그러나 노선 번호를 통합하여 안내하고 라인-루르 S반과 직통운전하며 연락 운송도 가능하기에,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본다. 보통 차량의 마킹이 Rhein-Ruhr/VRR이면 뒤셀도르프·에센에 배속된 차량이고, Köln이면 쾰른에 배속된 차량이다.

라인-루르 S반은 이전까지의 S반, 혹은 비슷한 시기 개통한 S반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라인-루르 지역은 본디 아주 큰 대도시는 없지만 공장 지대를 바탕으로 한 적당적당한 규모의 도시권역이 발달했고, 화물 운송을 위해 철도가 많이 깔리다보니, 기존 S반들처럼 확고한 중심도시 방향의 운송이 아니라,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에센 등 라인-루르 지대의 중심 도시들을 적당히 이으며 주변 소도시들을 거쳐가는 노선망으로 발달되게 되었다. 물론, 대도시인 뒤셀도르프나 에센 인근에서는 사실상의 도시철도 기능도 수행하지만, 대부분은 독일철도가 기존에 운행하는 지역 열차(RegionalBahn)들의 대체 성격이 강하다. 다만 S반이 정착된 현재는 지역 보통열차(RegionalBahn)의 정차역을 줄여나가 RB가 사실상의 급행 역할을 맡고 있다[2].

민영화 계획이 있으며, 2019년부터 오픈 억세스 정책을 통해 대부분의 계통이 민간 회사에 의해 운영될 예정이다.

차량

네트워크가 방대하고 전화 노선과 비전화 노선이 섞여있어 차량 종류가 많다. S반과 RB를 막론하고 노선망이 꾸준히 팽창하여 차량 소요는 많은데 신규 차량 조달은 이를 적시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퇴역 직전의 차량들을 긁어모아서 신규차량 도입 전까지 들들 볶아대는 양상이 짙어서, 도입 30년이 다 되어가는 고속 화물형 전기 기관차인 BR 143이 비냉방 객차를 끌고 S반 운행을 나가는 이색적인 모습도 보인다. 이 동네는 불과 10여년 전에도 진록색 연방철도 시절 도색을 입은 객차가 예비차로 재적하고, 조금이라도 상태가 말짱하면 Verkehrsrot() 도색을 입혀서 영업운전에 집어넣곤 해서 신기한 일은 아니지만… 이 차량이 아직도 거기에 있어요? 아주 나쁜 차량

과거

계통

라인-루르 지역의 S반은 공식적으로 색상이 배정되어 있지 않다. 반면 라인-지크 지역의 S반에는 색상이 지정되어 있으며, 라인-지크 지역에 들어오는 S 6도 라인-지크 지역의 S 반 색상이 배정되어 있다.

색상 계통 번호 기점 종점 영업 거리 (km) 시각표 번호 배차 간격 비고
S1 도르트문트 졸링엔 97.2 450.1 20분
S2 도르트문트 중앙역 레클링하우젠 33.2 450.2 20분
(각 1시간)
에센 52.6
뒤스부르크 68.5
S3 오버하우젠 하팅엔 31.9 450.3 20분
S4 도르트문트-뤼트겐도르트문트 우나 30.3 450.4 30분
S5 도르트문트 하겐 31.3 450.5 30분
S 6 에센 중앙역 쾰른-니페스 75.2 450.6 20분
S7 졸링엔 부퍼탈 41.0 450.7 20분
S8 하겐 묀헨글라트바흐 81.7 450.8 20분
S9 할테른암제 부퍼탈 89.4 450.9 20분
S11 뒤셀부르크 공항터미널 베르기슈글라트바흐 71.2 450.11 20분
S12 호렘 아우 84.6 450.12 20분
(1시간[3])
S13 뒤렌[4] 트로이스도르프 66.4 450.13 20–40분[5]
S19 뒤렌 헤르헨 96.5 450.13 1시간[6]
S23 오이스키르헨 34.2 475 30분[7]
RB23 바트뮌스터아이펠 오이스키르헨 13.8 1시간[8]
RB25 쾰른 한자링 마이네어츠하겐 75.5 459 30분[9]
S28 메트만 슈타트발트 카르스터 33.5 450.28 20분
S68 부퍼탈-보빙켈 랑엔펠트 38.3 450.68 첨두시

운임

교통조합 구역 내 S반 단독 통행시 구간제에 의해 운임을 수수한다. 구간은 라인-루르 교통조합(VRR)과 라인-지크 교통조합(VRS) 양 지역 공히 A, B, C, D로 나뉜다. 양 교통조합의 관할 구역을 넘는 S 6과 S 11은 한 장의 승차권으로 연락 운송이 가능하다. 아헨 교통조합에 속하는 뒤렌, 루르-리페 교통조합에 속하는 우나로 여행하는 여객은 별도의 연락 운송 특약에 한한다. 차량에 편성된 1등석을 이용하는 경우, 자전거·애완동물과 함께 여행하는 경우에는 보충권(ZusatzTicket)을 발권·개찰하여 소지해야 한다.

이와 별도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내부에 한정되는 기획 운임인 NRW-Tarif를 사용할 수 있다.

각주

  1. 구 서독 수도 본에 S반 노선 S 23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쾰른 S반이었다.
  2. 속달적 성격의 열차는 지역 급행열차(RegionalExpress)로, RB보다도 정차역이 더 적다.
  3. 헤네프 (지크)–아우 (지크) 간
  4. 1일 1회 아헨 중앙역까지 연장 운행
  5. S19와 합산 20분 간격
  6. S13와 합산 20분 간격
  7. 오이스키르헨에서 RB23과 1시간마다 접속
  8. 오이스키르헨에서 S23과 1시간마다 접속
  9. 오버라트–마이네어츠하겐 간 1시간 간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