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대구역 (도시철도)|[[코레일]] 철도역|[[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다른 뜻|대구역 (도시철도)|[[코레일]] 철도역|[[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big>大邱驛 / Daegu Station</big>
<big>大邱驛 / Daegu Station</big>
{{철도역 정보/시작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배경색 = {{철도 노선색|KR}}
File:ㄷㄱㅇ.jpg|역사 전경
|글자색 = white
</gallery>
|그림 = ㄷㄱㅇ.jpg
|그림설명 = 역사 전경
|그림2 =
|그림설명2 =
|동영상 =
|동영상설명 =
 
|첫틀 =
 
|관할 = [[코레일]] 대구본부
|개업일 = [[1905년]] [[6월 10일]]
|폐지일 =
|종별 = 관리역
|등급 = 2급
|소재지 =
}}
{{철도역 정보/일반
|노선 = [[경부선]]
|역명 = 대 구
|배경색 =
|글자색 =
 
|전방면 = [[서울역|서 울]]
|전역 = [[지천역|지 천]]
|전거리 = 9.8
 
|후방면 = [[부산역|부 산]]
|후역 = [[동대구역|동대구]]
|후거리 = 3.2}}
{{철도역 정보/
|마지막틀= }}
==개요==
==개요==
[[경부선]]의 철도역, 경부선이 처음 개업한 1905년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경부선]]의 철도역, 경부선이 처음 개업한 1905년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44번째 줄: 13번째 줄: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함께 지나가나, 경부고속선이 지나는 4, 5번 플랫폼은 안전을 위해 폐쇄한 상태이고 경부선 플랫폼인 1, 2번 플랫폼(상행)과 5, 6번 플랫폼(하행)만 활용하고 있다.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함께 지나가나, 경부고속선이 지나는 4, 5번 플랫폼은 안전을 위해 폐쇄한 상태이고 경부선 플랫폼인 1, 2번 플랫폼(상행)과 5, 6번 플랫폼(하행)만 활용하고 있다.
== 특징 ==
== 특징 ==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경부선 대구역과 연결되어 있다.
일반철도역 중 대구 시내에서 제일 가까워서 동대구역 몫지 않게 철도 수요가 많다.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경부선 대구역과 연결되어 있다. 역사 옆에 번개시장, 교동시장이 존재하며 역 바로 건너편에 동성로 시내가 있다. 역사 바로 앞 지하도를 타고 건너가면 된다.  
 
번개시장, 교동시장, 대구시민회관 등이 근처에 있다.  
== 주요 계통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I}}; color:white;" | '''ITX-새마을'''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부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전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진주역|진주]] 방면</small>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M}}; color:white;" | '''무궁화호'''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부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신동역|신 동]]<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부선 ([[대전역|대전]]↔[[부산역|부산]])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전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진주역|진주]]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ref name="단">상하행 각각 1대가 [[신동역]]에 정차한다.</ref><br><small>[[정동진역|정동진]]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경북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진주역|진주]]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왜관역|왜 관]]<ref name="단"/><br><small>[[영주역|영주]]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충북선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동대구역|동대구]]<br><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
|}
== 사건사고 ==
== 사건사고 ==
* [[대구역 KTX 충돌 탈선 사고]]
* [[대구역 KTX 충돌 탈선 사고]]

2018년 5월 6일 (일) 12:29 판

大邱驛 / Daegu Station

개요

경부선의 철도역, 경부선이 처음 개업한 1905년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대구가 개발되면서 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지만, 역이 시가지에 있어서 확장이 불가능하여 동쪽에 동대구역을 따로 지었다. 그런데 그 역이 훨씬 더 커지는 바람에 위상이 심히 추락하여 1978년에는 역사 건물이 반토막나는 등 안습한 세월을 보내다 2003년에 민자역사를 신축했다. 무려 비수도권 최초의 민자 역사.

동대구역 개통 이후 1980년대까지만 해도 비둘기호통일호 일부 열차만 정차할 정도로 위상이 추락했던 적이 있다. KTX 개통 이전까지 새마을호 절대 다수가 무정차 통과하다가 개통 이후 필수정차역이 되었으나, 같은 해 7월 다시 편성이 대폭 삭제되었다. 그러나 배후 수요가 꽤 있는 역이라 2007년 6월 다시 필수정차역이 되었다.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함께 지나가나, 경부고속선이 지나는 4, 5번 플랫폼은 안전을 위해 폐쇄한 상태이고 경부선 플랫폼인 1, 2번 플랫폼(상행)과 5, 6번 플랫폼(하행)만 활용하고 있다.

특징

일반철도역 중 대구 시내에서 제일 가까워서 동대구역 몫지 않게 철도 수요가 많다.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경부선 대구역과 연결되어 있다. 역사 옆에 번개시장, 교동시장이 존재하며 역 바로 건너편에 동성로 시내가 있다. 역사 바로 앞 지하도를 타고 건너가면 된다.

사건사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