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암역

안암(고대병원앞)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인촌로 지하89
번호  639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27.9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000년 12월 15일
승강장 2면 2선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6호선지하철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동쪽으로 한 정거장 더 가면 고려대역이 있기는 하나, 고대생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안암역이 고대역 역할을 하고 있다. 이름과 실제가 다르다. 고려대역이 경영대, 사범대, 법대, 도서관, 본관 쪽으로 치우쳐 있는 반면, 안암역 역세권(?)은 동쪽 인문캠으론 정대(후문), 교양관, 학관, 문대까지 커버하고, 서쪽은 이과캠(애기능)을 모두 감싸안고 있다. 그러다보니 안암역 상권인 개운사길~고려대길(구, 인촌로)쪽이, 고려대 정문 앞(안암로20~26길)쪽보다 훨씬 번성한 편이다.

사실 원래는 정문앞 일대가 더 번성했으나, 90년대 중엽부터 내부순환로가 올라가고 애기능캠이 본격적으로 완성되면서 뒤집어졌다. 때문에 정문 앞 상점들은 많이 쇠퇴했긴 하지만 여전히 90~00년대 분위기가 남아있는 편이며, 오히려 (가격 경쟁력이 가장 중요한 대학가 상권 특성상) 안암역 인근의 비싼 임대료를 피해 그 정문 쪽으로 대피하는(?) 점포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추후 동북선 고려대역이 개통되면 양상이 조금 달라질지도 모른다.

출구 정보[편집 | 원본 편집]

  • 서쪽 / 보문역 대고개 방향
    • 1번 : 고대병원, 고려대 의과대학/간호대학, 안암동(안암초/용문고/성신여대, 성북04 마을버스※3번출구 인촌로쪽 정류장으로 대체 가능) 방향
    • 4번 : 고려대 이공계(애기능) 캠퍼스 (그 외 목적지는 보문역이 더 낫다.)[2]
  • 동쪽 / 고대앞사거리 → 고려대역 혹은 제기동 방향
    • 2번 : 고려대 인문캠 (좌회전정대후문 및 직진미디어관/교양관/학관 방면 측문) 방면
    • 3번 : 고대앞사거리 방면 / 인촌길(고려대로)~안암로(안암오거리~고대앞사거리) 상권 단지, 벽산아파트
  • 1번(엘리베이터 이용시)과 2번(계단 올라와서 뒤돌아서 회전) 사이 북쪽으로 개운사길이 있다. 자취방 주택단지 및 고대 기숙사가 자리하는데, 그 기숙사를 넘어가야 무한언덕을 넘어 개운사가 나온다.
  • 4번과 3번 사이(대개 고도가 낮은 3번을 이용함[3])로 남쪽에 인촌길(인촌로)이라 불리던 고려대길이 있다. 안암역 및 고대 상권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6호선
응암 순환
 638  보문
 639  안암 신내 방면
 640  고려대

각주

  1.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
  2. 애기능캠퍼스에서 서쪽(안암동 3가, 안암2구역)으로 나가는 출입구가 없다.
  3. 1번 및 4번에 반쪽짜리 에스컬레이터가 있어서 자칫 혹하기 쉬운데, 3번 출구가 이용하기 훨씬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