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Blue-lightweight-wheelchair.jpg

걷기 어려운 사람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바퀴 달린 의자를 말한다. 손으로 바퀴를 돌리거나 모터로 움직인다. 장애인의 상징이 되는 물건이다. 이걸 타는 사람에서 따온 픽토그램(♿︎)이 장애인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으로 쓰이고 있다.

종류

  • 수동식
    흔하게 볼 수 있는 휠체어로 탑승자가 손으로 바퀴를 굴리거나 조력자가 손잡이를 잡고 밀어주는 형태다. 접혀서 공간절약이 가능하다.
  • 전동식
    배터리와 모터가 내장된 휠체어로 조이스틱 조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움직이기 곤란하다.
  • 스포츠형
    수동식 휠체어를 스포츠에 맞게 변형한 것으로 페럴림픽 휠체어 경주, 휠체어 댄스 등에 사용한다.

탑승자의 이동

  • 일상생활
    휠체어 이용자에 맞춘 인테리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문턱을 없애고, 싱크대는 하단 수납장을 없애고 휠체어가 진입 가능한 구조로 하여 휠체어 이용자가 충분히 팔을 뻗을 수 있는 형태로 하는 등. 아파트는 건축법에 의해 강제되어 대부분 평면구조에 승강기 등의 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변화 폭이 적지만, 단독주택은 그런 배려가 적어 큰 폭의 공사가 필요하다.
  • 근거리 이동
    휠체어를 직접 끌고 근거리를 나서는 경우, 베리어프리가 어느정도 진척되어 엘리베이터, 경사로, 저상버스 등이 이동을 보조하나, 여전히 턱이 많은 곳에 산재해 있어 이동이 쉽지 않다. 전동식 휠체어 방전시 충전기를 찾아야 하는 데, 일부 공중전화 부스나 지하철역에 있는 정도다.
  • 차량 탑승
    장애인 콜택시리프트경사로가 설치된 전용차량으로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승차하거나, 일반 차량에 탑승하고 휠체어는 트렁크에 접어넣거나 보관하고 목적지의 다른 휠체어를 사용하는 식으로 장거리 이동할 수 있다.
    철도는 베리어프리가 거의 완료되었으나, 버스는 아직 시내버스에 제한적으로 저상버스를 투입한 정도에 불과하고 장거리 이동의 열쇠인 고속버스시외버스의 베리어프리는 아직 요원한 상태다.
  • 직접운전
    장애인 본인이 운전면허가 있고, 장애에 적합하게 개조된 차량이 있을 경우 직접 운전할 수 있다. 탑승은 전동시트를 이용해 할 수 있으나 문제는 휠체어의 처리인데, 장애인 혼자 휠체어를 수납할 수 있는 "체어탑퍼"가 개발되어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