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인

틀:넘겨주기 있음 heroine / ヒロイン

개요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1]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본래 의미

개요에서 언급되었다시피 히로인은 여성 영웅, 주인공을 의미하는 단어다보니 대표적으로는 《원더우먼》을 필두로 여성 영웅을 비롯해 픽션의 《나우시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료우기 시키》, 《마토이 류코》, 《임페라토르 퓨리오사》, 《캣니스 에버딘》, 《라라 크로프트》, 《제로 (드래그 온 드라군 3)》, 《앙쥴리제 이카루가 미스루기》, 《벨벳 크라우》, 《라이트닝 (파이널 판타지 13)》, 《갈리》 처럼 성별이 여성이면서 자신이 등장하는 작품의 메인 주인공이자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는 인물에게만 히로인을 쓰고 있으며 작품의 메인 주인공(Protagonist)이 아닐지라도 《헤르미온느 그레인저》나 《스칼렛 위치》, 《키류인 사츠키》, 《세라스 빅토리아》, 《인테그랄 페어브루크 윙게이츠 헬싱》, 《노엘 버밀리온》, 《아시 (사무라이 잭)》처럼 어느정도 영웅성을 가지고 있거나 서브 주인공급의 입지를 가졌을 경우에도 히로인을 쓰기도 한다.

왜곡된 의미 - 재플리쉬 히로인

단 주 소비자층이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년만화나 히어로, 액션물 등지에서는 남자가 메인 캐릭터(주인공)인 경우가 많으며 여성 주연 인물은 이런 주인공의 연인 역이나 수동적으로 구해줘야 할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일본 미디어 매체물은 미소녀 연애 게임의 영향과 능동적인 스토리, 비중을 가진 여성 주조연이 없다보니 히로인의 의미가 변질되어서 주인공의 연인이거나 연애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조연/ 연애물에서 공략이 가능한 상대역 여성 인물을 일컫는 은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여성향 매체물에서는 여주인공의 상대역 남자, 남성 주조연을 히어로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결론부터 언급하면 여성향 매체물의 등장하는 남성 캐릭터를 히어로라고 부를 수 없는 것처럼 소년만화를 비롯해 남성향 매체물에 나오는 여성 캐릭터는 절대 히로인으로 부를 수 없다. 대개 이런 여성 캐릭터들은 설정만 그럴싸하지(투희, 전교1등, 알파걸) 스토리상 주인공급으로 입지가 큰 것도 아니고 영웅적인 면모조차 없기 때문이며 설령 전투적인 능력이 있다해도 말그대로 전투 능력만 있지 남성 주인공하고 얽히면 심리적으로 약해지거나 휘둘리다가 끝내 수동적이고 평면적으로 구해지는 역할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굳이 따지면 남성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켜줄 서비스성 여캐 내지는 남자 주인공의 여성 동료, 연인이라는 포지션의 조연 여캐라고 보는 것이 옳다.

정 액션을 비롯한 남성향 매체물에서 여성 캐릭터가 히로인으로 불리려면 상단에 언급되었다시피 영웅적인 면모를 가지고 있는지, 스토리상으로 또 하나의 주인공으로 봐야 할 정도로 비중과 활약, 입지가 큰지를 기준으로 봐야하는데 대표적으로 《이누야샤》의 《히구라시 카고메》나 《헬싱》의 《세라스 빅토리아》와 《인테그랄 페어브루크 윙게이츠 헬싱》, 《사무라이 잭 시즌 5》의 《아시》가 주인공이 남성인 미디어 매체물의 여성 캐릭터중 본래 의미의 히로인에 가까운 인물이다. 이들은 단순한 이누야샤와 아카드, 잭의 들러리 여캐가 아닌 자신만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고 세컨드 주인공으로 봐야 할 정도로 비중과 입지가 매우 컸기 때문.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이 되는 바람에 연애 요소가 없는 작품이나 주인공과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주인공하고 이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페이크 히로인, 패배자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지거나 일본산 서브컬쳐가 중심인 커뮤니티와 나무위키등 엔하계 위키에서는 성별이 여성인 메인 주인공, 서브 주인공 인물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단지 주인공하고 (연애적으로) 인연이 있는 여성 인물들을 무조건 히로인이라고 부르거나 주인공하고 이어진 여성 인물을 진 히로인, 히로인으로 불려야 할 여성 캐릭터들은 단순히 주인공, 히로인이라 쓰고 세컨드 주인공을 덧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히로인의 세부 분류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메인 히로인

작품 속 스토리의 중심이자 이끌어나가는 여성 인물로 일반적인 여성 영웅/주인공이다. 남성이 주인공인 작품일 경우에는 작품 전개에 따라 본 스토리에서 중요한 여성 주연이자 장본인, 준 주인공(내지는 서브 주인공)급으로 나오기도 한다. 예전의 메인 히로인은 남성 주인공과 연애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클리셰들을 깨뜨리는 작품이 늘어남에 따라 남성 주인공하고 친구, 동료로만 남아 다른 남성 주조연하고 이어지거나 한술 더 떠서 연애 플래그조차 없는 메인 히로인이 늘어났다. 단 여성 주인공을 메인으로 내세웠거나 남성 주인공이 없는 단독인 작품은 메인 히로인보다는 여주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타이틀 히로인

작품의 타이틀, 간판을 장식하는 마스코트격인 여성 주연이다. 예전에는 메인 히로인이 타이틀 히로인도 겸하기도 했었지만 최근에는 캐릭터의 반전이나 러브라이브, 아이돌 마스터등 히로인들이 많은 작품들이 등장해 대표적인 여성 인물을 타이틀 히로인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서브 히로인

서브 주인공의 여성 버전으로 히로인이 주인공과 이어지는 것처럼 서브 히로인도 서브 주인공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브라는 특성상 등장빈도와 비중 둘다 낮은 편이다. 단 서브 히로인이지만 주인공과 이어지는 히로인은 팬덤에서 진 히로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페이크 히로인

페이크 주인공에서 파생된 단어로 말그대로 가짜 히로인. 스토리상 비중이 있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조연이거나 엑스트라, 악역인 여성 인물이거나 초반에 비중이 높았지만 갈수록 비중이 떨어져서 스토리의 중심이 못되거나 떨어져나가버린 여성 인물을 뜻하는 말이다. 반댓말은 진히로인.

진 히로인

페이크 히로인의 반댓말로 주인공과 이어지거나 메인 스토리의 진행에 있어서 복선, 반전 등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졌거나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메인 히로인을 뜻한다. 반전을 넣은 작품에서는 타이틀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내세우고 진 히로인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진 히로인은 위치 특성상 남성 주인공인 작품과 연애 게임에 많은 편이다.

히로인인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