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 버스

Ho95kr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0월 12일 (수) 22:13 판

2층 버스(Double-Decker Bus)는 일반적인 단층의 버스와는 달리 복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버스로서, 많은 사람을 실어 나를 때 사용된다. 2층 버스가 많은 나라로 영국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외의 여러 국가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장점

  • 많은 사람을 수송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굴절버스와 비슷하며, 탑승 가능 인원이 동일한 경우를 기준으로 굴절 버스에 비해 차량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 2층에서는 전망이 좋기 때문에 관광버스에도 쓰인다.

단점

  • 2층에서의 승하차 승객 동선이 길어져서 승하차 시간이 길어진다.
  • 차량의 높은 높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치된 도로 시설물의 통과가 어려워 운행 지장을 많이 받게 된다.
  • 2층 버스와 관련된 규정은 아직 대한민국에 없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2층버스의 전고는 4.0m를 넘기지 못하고 천장 높이가 낮아지게 되었다.
  • 국산화가 되지 않았다.
  • 천연가스버스로 만들기가 어렵다. 디젤보다 힘이 딸리는 것도 그렇지만 크고 아름다운 CNG 탱크를 어디에다가 배치할 지 한번 생각해보자. 좌석수를 줄이지 않는 이상 답이 나오지 않는다.

운행 사례

  • 대한민국의 경우, 서울특별시에서 1991년 9월 30일부터 서울시청 ~ 과천 간 노선에 승차인원 90명 수준의 2층 버스를 3대 투입하여 시험 운행하였으나, 차량의 높이가 도로 시설물들의 높이제한보다 높아 정식 운행은 성사되지 못하였다.[1]
  • 2011년 경기도에서 '2층 버스' 시범운행을 했지만 사실상 어려움이 많고 그중 버스 가격이 높아서 해외에서 생산하는 2층 버스는 대당 7억원으로, 국내 기존 버스 1억6000만원의 4배를 넘는다. 국내 생산을 해야 가격을 낮출 수 있는데 제조업체 측은 일정량 이상의 수요와 정부지원을 기대하고 있다.[3]
  • 볼보버스B8RLE 섀시를 기반으로 한 2층 버스를 출고하여 2015년 10월 22일부터 8601번을 시작으로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다. 노선은 8600번, 8601번, 8002번, 8012번, 1000-2번이다.

각주

  1. 2층버스 시범운행 시작, 《동아일보》 1991년 9월 30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어카이브)
  2. 부산시티투어, Open-Top 2층버스 운행, 《HNN 어니스트뉴스》, 2011년 9월 17일 확인.
  3. 경기도 '2층 버스' 시범운행…승차감·안전성은?, 《SBS》, 2011년 9월 17일 확인.
  4. http://news.donga.com/List/SocietyTraffic/3/0315/20141210/68457871/1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2층 버스 문서 16979363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