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K: Survival Evolved

Valkenheimr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13일 (목) 14:12 판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
ARK: Survival Evolved
ARK- Survival Evolved 표지.jpg
공식 이미지
게임 정보
배급사 Studio Wildcard
개발사 Studio Wildcard, Instinct Games, Efecto Games, Virtual Basement
장르 생존, 오픈월드, 샌드박스
출시일 2015년 6월 2일 (얼리 액세스, Steam)
2020년 6월 11일 (에픽게임즈)
플랫폼 윈도우즈, OS X, 리눅스, PS4, Xbox One, 닌텐도 스위치, 구글 스태디아
모드 싱글 / 멀티플레이 가능
언어 영어, 한국어 외 20개 언어 지원
엔진 언리얼 엔진
시리즈 아크 시리즈
후속작 아크 2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공식 유튜브 채널
공식 트위터
스팀 페이지
커뮤니티 위키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ARK: Survival Evolved)》미국의 스튜디오 와일드카드(Studio Wildcard)가 배급 및 서비스하는 오픈월드 생존 게임이다. 미지의 장소에서 공룡과 같은 멸종한 고생물들과, 와이번이나 그리핀 등의 신화 속 생물들, 거대 로봇이나 우주선과 같은 기계들 사이에서 생존하여 나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게임이다. 약칭으로는 아크(ARK), 아크 서바이벌로 표기된다.

PC판 기준으로 2015년 6월 2일 스팀에서 얼리 액세스 형식으로 출시하였으며, 2017년 8월 30일에 정식 발매되었다. PS4 / XB1 기준으로는 2016년, 닌텐도 스위치판은 2018년에 이식되었다. 그 외에도 모바일 버전이나 VR 버전 등이 출시되었으나, 콘솔 버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는 별개의 게임에 가깝다.

특징

테라리아마인크래프트와 유사한 장르의 게임으로, 넓은 맵을 돌아다니면서 생존을 해 나가는 것이 게임의 기본 골자다. 다만 주로 비교되는 게임들이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컨텐츠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아크 서바이벌의 경우 플레이어보다는 플레이어가 운용하게 되는 '생물(Creatures)' 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자원을 채집하고, 도구들을 만들어 생물들을 길들이고, 도구와 생물들을 이용해 생존 및 발전을 해 나가야 한다. 발전의 표면적인 목표는 맵 상의 고유한 보스들을 잡고, '테크(TEK)' 기술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는 세계관적으로는 더 깊게 엮여 있으며, PvP 모드의 경우 단순히 테크 기술이나 스토리를 보는 것에서 나아가 최종 생존 및 기지 유지를 목표로 한다.

주요 시스템

생물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메인 컨텐츠로, 다른 게임의 몬스터, 장비나 탑승물, 스킬의 역할을 수행한다. 플레이어는 맵 상의 생물들을 사냥하여 식량 혹은 전리품을 얻거나, 먹이나 특수한 과정으로 길들여야 한다.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인간)는 매우 형편없는 스탯을 가지고 있기에 게임을 하려면 필수적으로 생물을 길들여야 한다.

아크 서바이벌의 등장 생물들은 현실에 존재했던 고생물들이나, 혹은 현존하는 생물들을 기반으로 한 생물이나, 신화 속의 생물, 혹은 아크 세계관 고유의 생물 등이 등장한다. 가장 많은 유형으로는 고생물을 기반으로 한 생물군들로, 백 여종이 넘는 수가 존재하여 출시 초기 '공룡 게임' 이라는 인식을 심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다만 이러한 인식에 비해 아크 서바이벌 자체는 고유의 세계관이 존재하며, 공룡을 포함한 고생물을 그저 소재로만 차용한 수준에 가깝다. 유사한 공룡 소재의 게임과 비교했을 때, 고생물학계의 자문을 받아가며 제작한 게임 사우리안이나, 혹은 최신 학설과 복원도를 어느정도 반영한 프리히스토릭 킹덤, 패스 오브 타이탄과는 달리 아크의 고생물들은 학설과는 꽤나 멀다.

이는 특히나 고생물들의 크기나 특수능력 면에서 과장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장르 특성상 생물들이 다른 게임의 장비 및 이동수단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크다. 곤충과 같은 일부 생물의 경우, 탑승 문제보다는 가시성 문제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아크 서바이벌의 생물종은 피오르두르 DLC 출시 기준, 아종을 포함하여 약 490종의 생물종이 존재한다. 더미 데이터나 시스템상으로 개별 취급되는 것까지 포함 시 500종 이상이다.

맵 / DLC

ARK TheIsland.png
디 아일랜드의 인게임 지도

아크 서바이벌은 기본적으로 디 아일랜드(The Island)라는 섬 형태의 맵이 제공된다. 공식적으로 맵의 크기는 나온 바가 없으나, 대체로 36㎢로 인식된다. 아크의 모든 스토리와 생물, 동굴 탐험 및 바이옴 구조 등의 요소들은 아일랜드 맵에서 정립되었으며, 아래의 맵(주로 확장맵)들의 기본이 되거나 영향을 주었다. 약칭은 주로 아일, 아일랜드로 표기된다. 기본 맵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기본 맵 뿐만 아니라 공식에서 추가적인 맵이나 플레이 변경 요소들을 DLC 형태로 출시하기도 했는데, 그 중 대부분의 DLC는 게임상의 맵을 추가해주는 DLC다. 아크의 맵 DLC는 스토리의 연계 및 개발사의 개발 여부에 따라 확장팩(Expansion Pack)과 확장맵(Expansion Map)으로 나뉘며, 맵을 추가해주지는 않지만 게임의 유형을 바꾸는 토탈 컨버전(Total Conversion)이 존재한다.

확장팩(Expansion Pack)은 개발사가 공식으로 만드는 DLC로, 기본 맵인 디 아일랜드로부터 스토리가 연계되어 고유의 최종 보스와, 시네마틱이 존재한다. 이러한 스토리 연계 때문에 주로 '스토리 맵' , 값을 내고 구매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료 DLC' 로 표기된다. 출시 시 신규 리소스나 독특한 플레이 방식을 유도하는 기믹, 다수의 생물종과 사운드트랙이 추가된다.

확장맵(Expansion Map)은 유저의 맵 모드(Mod)를 기반으로 한 DLC로, 스토리가 연계되지 않으며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확장팩과 반대로 '비스토리 맵' 이나, '무료 DLC' 로 표기된다. 확장팩에 비해서 업데이트 요소가 적으며, 유저 제작이라는 한계 탓에 새로운 플레이 기믹이나 리소스 등이 나오지는 않고, 대체로 기존의 리소스를 유용한다.

토탈 컨버전(Total Conversion)은 맵이나 생물종 추가가 아닌 게임의 컨셉을 변경한다. 적용 시 기존 게임과는 다른 플레이 방식이 권장되며, 바닐라와 호환되지 않는다. 대체로 인기가 적은 편이며, 추가 개발 및 사후 지원 역시 중단되었다.

  • 토탈 컨버전(Total Conversion)
    • 프리미티브 플러스(Primitive Plus)
    • 서바이벌 오브 더 피티스트(ARK: Survival Of The Fittest)
      • 너티 오어 나이스(Naughty or Nice)
    • 프라이멀 서바이벌(Primal Survival): 개발 중지 상태. 인간이 아닌 공룡으로 플레이가 가능한 컨셉의 토탈 컨버전이었으나, 내부적인 사정으로 출시되지는 못했다.

세계관 및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