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사로

알베르-피에르 사로
Albert-Pierre Sarraut
파일:Premier Albert Sarraut.jpg
인물 정보
출생 1872년 7월 28일
프랑스 누벨아키텐 주, 지롱드 현
보르도 시
사망 1962년 11월 26일 (89세)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
정당 급진당

알베르 사로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과 두 차례 총리직을 역임한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관료, 변호사, 기자이다.

생애

초창기

알베르 사로는 1872년 보르도에서 지역 언론사 사주인 오메르 사로(Omer Sarraut)의 아들로 태어나, 툴루즈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졸업한 후로 얼마간 기자 생활을 하다가, 보르도 지역의 급진당 간부였던 아버지의 영향력과 더불어, 드레퓌스 사건불랑제 위기로 인해 발효된 1901년 결사법의 혜택에 힘입어 오드 지역의 하원의원으로 당선된다.

정계 초기

그렇게 하원의원이 된 사로는 1905년에 급진당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으로 발탁되었으며, 에밀 콩브 내각이 발의한 1905년 정교분리법의 찬성측 일원으로서 활동한다. 그리고 이듬해 1906년 7월 13일, 드레퓌스 사건의 당사자인 알프레트 드레퓌스 대위와, 조르주 피카르 중령의 복권에 대한 투표가 하원에 부의되었을 때, 사로는 당시 드레퓌스를 무고했던 오귀스트 메르시에의 일파였던 폴 푸글리시-콩티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결투를 선언당했고, 콩티의 칼이 사로의 폐부를 찌른 바람에 사로는 6주 동안 입원해 있어야 했다.

1907년 랑그도크 포도주 위기에서

1907년 랑크도크 포도주 위기가 일어날 당시, 사로는 조르주 클레망소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으로 입각해 있었는데, 프랑스 남부 출신이었던 덕분에 사로는 당시 시위를 일으킨 랑그도크를 비롯한 남부 양조업자들의 비참한 상황과 그 정당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사로는 시위의 주동자였던 마셀린 알베르와, 사실상 알베르가 이끄는 아르젤리에 위원회(Comité d'Argeliers)와의 협상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클레망소는 사로의 협상 제안을 "내가 남부 놈들을 잘 아는데, 결국 놀자판으로 끝나기 마련이라고!"(Je connais le Midi, tout ça finira par un banquet!)라는 비웃음 섞인 농담과 함께 거부했고, 6월 10일까지 사태가 가라앉길 기다렸으나 결국 사태는 곧 전국을 휩쓸 정도로 격화되고 말았다.

그리고 6월 11일, 뒤늦게서야 클레망소는 사로를 매개로 삼아, 저명한 사회주의자이자 아르젤리에 위원회와 끈이 닿아 있던 나르본 시장 에르네스트 페룰하고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이미 전날인 10일에 클레망소 내각에 대한 항의표시로 시장직을 사임한 페룰은 "우리 뒤에 있는 300만 명은 협상하지 않을 거요."(Quand on a trois millions d'hommes derrière soi, on ne négocie pas.)란 말과 함께 거부했다.

결국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격화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한 클레망소는 6월 17일 남부 지역에 군대를 내려보내 무자비하게 진압한 뒤, 내무차관인 사로에게 국가헌병대를 동원하여 시위 참가자들을 모조리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리나, 사로는 이를 거부하고는 내무차관직을 사임하기에 이른다.

인도차이나 총독으로서

전간기 거물 정치인으로서

국민혁명 합류

말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