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기지

국철진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17일 (토) 12:51 판 (새 문서: '''보수기지'''(保修基地)는 철도에서 그 시설물을 유지보수를 지원하기 위해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개요== 보수기지는 철도 운영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보수기지(保修基地)는 철도에서 그 시설물을 유지보수를 지원하기 위해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개요

보수기지는 철도 운영시에 그 시설물의 유지보수를 지원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철도 운영시 궤도, 구조물, 신호, 전기, 전차선 등 시설물의 기능유지를 위한 유지보수작업 시행을 위하여 분야별로 필요한 장비, 자재, 운영요원 등을 종합관리하기 위한 시설이다.[1]

보수기지는 철도의 건설공사 중에는 각 분야별 공사를 위한 전진기지로서 사용되며, 공사 이후에는 이후의 유지보수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보통 건설단계에서 그 적정한 위치나 규모, 구조를 결정해서 건설하는게 통례이며, 공사완료 이후의 활용방안 역시 포함되어서 검토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보수기지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시설물이 설치되는 경우는 고속선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기존선의 경우에는 대규모 집적 시설을 이루기 보다는 대개 이나 신호장에 분산 설치되어 있으며, 대개 역이나 신호장의 측선과 야적장을 보수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어 별도의 보수기지로 구분되는 경우가 드물다. 또한, 도시철도의 경우, 지하터널 내지 고가로 주로 이루어진 시설 여건상 보수기지를 별도로 두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차량기지 내에 보수기지가 병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세부적으로 궤도기지보수기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전자는 장대 레일이나 궤광[2], 분기기 등과 같은 철도 궤도및 그 재료의 제작과 시공, 관리에 초점이 맞춰진 시설물이라면, 후자는 좀 더 범용적인 시설물 유지관리 용도로 쓰이는 시설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용도 및 운영

보수기지의 기본적인 목적은 장비, 자재, 인원을 배치하여 두고, 재료의 준비나 가공, 조립 등 필요한 준비작업을 실시하여 필요시에 즉각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설단계

건설단계에서 보수기지는 모터카를 위시하여 궤도, 전차선 공사용 장비를 유치하여 두고, 토공, 도상, 궤도, 레일, 분기기, 전차선, 전주 등 각종 재료와 가공품류를 보관하였다가, 공정 진척에 맞춰서 이를 적시에 적재, 투입하는 것이 주된 용도이다. 또한, 이런 시공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시공인력과 그 지원인력이 근무할 수 있도록 사무실 등 지원시설을 두거나 가설해 두는 공간으로서도 쓰인다.

또한,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나 철거품, 폐기물 등을 유치하고 반출하는 거점으로서도 활용된다. 철도 건설 현장의 경우 자동차의 진출입이 까다로운 경우가 많고, 특히 공정이 진척될수록 차량 출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설되는 철도에 의해 취급해야 할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이 경우 보수기지는 이런 환적을 위한 거점이 되기도 한다.

유지보수 단계

철도 개통 이후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건설 단계와 같이, 보선 등 유지보수 업무에 필요한 각종 장비류를 유치하고 필요로 하는 각종 보수재료와 가공품류를 보관 이동하는 용도로 쓰인다. 따라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시설물을 두는 공간으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건설 단계에 비해서 재료의 소요량은 줄어들지만, 대신 모든 시설물이 설치가 완료된데다 영업 열차의 운행에 따라 작업시간과 여건의 제약이 커지기에 그 반출입이 더 까다로워지며, 또한 유지보수나 개량공사에 따라 발생하는 철거품류를 반출하는 경우도 늘어나게 된다.

주요 시설물

보통 유지보수의 주 대상이 되는 선로측의 출입선로 외에, 인근한 간선철도에 전용철도 등의 형태로 인입선로가 이어진다. 유지보수 작업용 장비나 자재의 반출입을 위해서는 기존선로를 통한 이동, 출입, 운반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각종 플랜트
장대 레일이나 교량의 거더류, 분기기 등의 경우 전문화된 공장설비에 의해 제조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한 제조설비 및 작업장으로, 주로 궤도기지에 설치된다.
  • 작업장
궤도 재료류를 가공하기 위한 시설로, 수평 등이 맞춰진 바닥이 다져지거나 포장된 공간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크레인 등과 같은 재료 취급용 장비가 부가되기도 한다.
  • 야적장
각종 재료를 야적하는 시설이다. 레일이나 침목, 도상용 자갈 등의 소요량은 시공 상황 또는 유지보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적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재고가 상시 확보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재고를 보관하는 시설이 야적장이다.
  • 유치선
자갈차와 같은 각종 작업용 화차류, 트롤리와 같은 작업장구류, 공사용 기관차나 모터카, 보선장비들이 대기하는 공간이다. 고속철도용 보수기지의 경우 그 소요량이 많기 때문에 상당한 규모의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정비고
화차나 모터카, 기관차 등을 정비하기 위한 차고이다. 차량기지에 있는 각종 차고시설물과 비슷하다.
  • 사무실 및 숙소, 기지운용실
보수기지 역시 수많은 인원이 상주하는 시설인 만큼 이들의 근무를 지원하는 시설이 붙어야만 한다. 또한 각종 유치선 들이 있는 만큼 이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신호취급 시설도 부수된다. 차량기지의 것과 유사하다.


각주

  1. 한국철도시설공단(2018). "공사계획수립",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 KR C-14110". pp.1.
  2. 레일과 침목의 조립체